목차
제1부 청년발달의 기초
제1장 청년발달의 본질과 쟁점 = 15
1. 유전과 환경 = 18
2. 성숙과 학습 = 19
3. 연속성과 불연속성 = 20
4. 결정적 시기 = 21
5. 초기경험과 후기경험의 중요성 = 22
제2장 청년발달의 이론 = 25
1. 초기 이론 = 27
1) 플라톤 = 28
2) 아리스토텔레스 = 29
3) 로크 = 30
4) 루소 = 31
5) 지 스탠리 홀 = 33
2. 정신분석 이론 = 36
1) 안나 프로이트 = 36
2) 설리반 = 42
3) 에릭슨 = 45
3. 인지발달 이론 = 51
1) 피아제 = 51
2) 콜버그 = 53
4. 학습 이론 = 54
1) 스키너 = 54
2) 반두라 = 55
5. 인본주의 이론 = 57
1) 로저스 = 58
2) 메슬로우 = 59
6. 생태학적 이론 = 60
1) 브론펜브렌너 = 61
2) 엘더 = 63
7. 동서양 이론의 비교 = 64
1) 동서양 이론의 차이점 = 65
2) 동서양 이론의 유사점 = 67
3) 공자의 효와 에릭슨의 의리 = 70
제3장 청년발달의 연구방법 = 73
1. 과학적 연구의 과정 = 75
2. 과학적 연구의 요소 = 77
3. 자료수집의 방법 = 78
1) 관찰법 = 78
2) 면접법과 질문지법 = 80
3) 사례연구 = 81
4) 검사법 = 81
5) 비교문화 연구 = 82
6) 다중측정법 = 83
4. 연구설계 = 84
1) 기술연구 = 84
2) 상관연구 = 85
3) 실험연구 = 86
5. 청년발달 연구의 접근법 = 88
1) 횡단적 접근법 = 88
2) 종단적 접근법 = 89
3) 순차적 접근법 = 91
6. 청년발달 연구에서의 윤리적 문제 = 92
제2부 청년기의 발달 특성
제4장 신체발달 = 97
1. 일반적인 신체발달 = 100
1) 신장과 체중의 성장 = 100
2) 그밖의 신체변화 = 102
3)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발육 상황 = 103
2. 내분비선의 변화 = 107
3. 사춘기와 성적 성숙 = 109
4. 성숙의 가속화 현상 = 112
5. 신체변화와 심리적 작용 = 114
1) 신체상 = 114
2) 조숙과 만숙 = 115
3) 개인차 = 117
6. 사춘기 변화와 행동에 관한 모형 = 118
1) 호르몬의 직접 효과 = 118
2) 2차 성징을 통한 간접 효과 = 118
3) 사회적 사건과의 연관 = 119
4) 사춘기 사회적 사건과 발달과정 = 119
제5장 인지발달 = 121
1. 인지란 무엇인가? = 123
2. 인지발달 이론 = 125
1) 피아제 이론 = 125
2) 학습 이론 = 127
3) 정보처리 이론 = 128
3. 청년기의 자아중심성 = 129
1) 상상적 관중 = 129
2) 개인적 우화 = 130
4. 청년기 이후의 사고 = 132
5. 청년기의 사회인지 = 133
1) 인상형성 = 133
2) 역할수용 = 134
6. 컴퓨터와 청년 = 136
7. 지능 = 137
1) 지능의 정의 = 137
2) 지능검사 = 140
3) 지능에 관한 쟁점 = 142
8. 창의성 = 144
제6장 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 = 147
1. 자아개념 = 150
2. 자존감 = 151
1) 청년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 152
2) 자존감의 변화와 안정성 = 153
3.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인가? = 153
4. 자아정체감은 왜 청년기에 문제가 되는가? = 155
5. 자아정체감의 형성 = 156
6. 마르샤의 자아정체감의 네 범주 = 157
1) 정체감 성취 = 157
2) 정체감 유예 = 158
3) 정체감 유실 = 159
4) 정체감 혼미 = 159
7. 자아정체감 상태와 관련변인 = 160
8. 자아정체감 발달에 있어서의 성차 = 162
9. 자아정체감과 문화 = 163
제7장 성역할 발달 = 165
1. 심리적 성차의 실상 = 168
2. 성역할 발달 이론 = 169
1) 정식분석 이론 = 170
2) 사회학습 이론 = 170
3) 인지발달 이론 = 170
4) 성역할 초월 모델 = 171
3. 성역할 발달과 영향요인 = 172
1) 생물학적 요인 = 172
2) 문화적 기대 = 173
3) 부모의 역할 = 174
4) 아버지 역할과 아버지의 부재 = 175
5) 형제의 역할 = 176
6) 도래 및 교사의 영향 = 176
7) 텔레비전의 영향 = 177
4. 새로운 성역할 개념 = 179
1) 심리적 양성성 = 179
2) 성역할 측정도구 = 180
3) 심리적 양성성과 관련연구 = 181
5. 청년기의 성역할 강화 = 183
제8장 도덕성 발달 = 185
1. 도덕성 발달 이론 = 188
1) 인지발달 이론 = 188
2) 사회학습 이론 = 193
3) 정신분석 이론 = 194
2. 도덕성 발달에서의 성차 = 195
1) 프로이트와 콜버그의 이론 = 195
2) 길리간의 도덕성 발달 이론 = 196
3. 도덕성 발달과 영향요인 = 198
1) 부모의 영향 = 198
2) 또래의 영향 = 199
3) 대중매체의 영향 = 199
4. 친사회적 행동 = 200
1) 이타적 행동 = 201
2) 감정이입 = 202
제9장 학교생활과 성취행위 = 205
1. 학교의 크기와 풍토 = 208
1) 학교와 학급의 크기 = 208
2) 학급의 구조와 풍토 = 208
2. 교사의 영향 = 210
3. 학부모의 참여 = 211
4.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 = 212
5. 학업성취 = 213
1) 성취동기와 성취행위 = 213
2) 불안수준과 성취행위 = 214
3) 통제의 소재와 성취행위 = 215
4) 성취행위와 그외 관련변인 = 216
6. 학습장애 = 217
제10장 직업선택 = 219
1. 직업발달 이론 = 222
1) 긴즈버그의 절충 이론 = 222
2) 수퍼의 자아개념 이론 = 224
3) 홀랜드의 성격유형 이론 = 224
2. 직업선택과 영향요인 = 226
1) 부모의 영향 = 226
2) 사회계층 = 227
3) 지능, 적성, 흥미 = 227
3. 여성과 직업발달 = 229
4. 직업교육과 직업상담 = 230
제3부 청년기의 사회적 관계
제11장 청년과 가족 = 235
1. 청년과 부모와의 관계 = 237
2. 청년과 부모와의 갈등 = 239
3. 청년기 자녀의 부모 = 241
4. 청년과 부모의 의사소통 = 242
1) 의사소통망 = 243
2) '나' 전달법 = 243
3) 원활한 의사소통 지침 = 245
5. 효율적인 부모역할 = 246
1) 애정과 통제 = 246
2) 자애로움과 엄격함 = 247
3) 부자자효의 12덕목 = 250
6. 가족구조의 변화 = 253
1) 부모의 이혼 = 253
2) 편부모가족 = 255
3) 계부모가족 = 256
7. 형제관계 = 257
제12장 청년과 교우관계 = 259
1. 친구의 중요성 = 262
2. 우정 = 263
1) 설리반의 우정에 관한 이론 = 264
2) 청년기 우정의 기능 = 265
3) 청년기 우정의 발달 = 265
4) 청년기 우정의 성차 = 266
4) 청년기 우정에 관한 우리나라 연구 = 267
3. 또래집단 = 268
1) 또래집단의 기능 = 268
2) 또래집단에서의 인기도 = 269
3) 또래집단의 압력과 동조행동 = 273
제13장 이성교제와 청년기의 성 = 279
1. 이성교제 = 281
2. 청년기의 사랑 = 283
1) 사랑의 이론 = 283
2) 사랑의 유형 = 286
3. 배우자 선택 = 288
1) 배우자 선택의 기준 = 288
2) 배우자 선택시 유의할 점 = 289
4. 청년의 성에 관한 태도와 행동 = 290
1) 자위행위 = 291
2) 십대 임신 = 292
3) 성병 = 295
5. 성교육 = 300
제4부 청년기의 부적응
제14장 청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 307
1. 먹기장애 = 309
1) 비만 = 310
2) 거식증 = 311
3) 탐식증 = 312
2. 불안장애 = 313
3. 우울증 = 314
4. 자살 = 315
5. 성격장애 = 319
6. 정신분열증 = 320
제15장 청소년 비행 = 323
1. 비행 청소년의 특성 = 326
2. 비행 청소년의 가족 = 327
3. 우리나라 청소년 비행의 현황 = 327
4. 기타 청소년 비행 = 333
1) 약물남용 = 333
2) 음주 = 338
3) 흡연 = 340
5. 청소년 비행을 줄이기 위한 방안 = 341
제5부 청년기 연구에 대한 전망
제16장 청년발달 연구의 최근 동향 = 345
1. 청년기의 적응과 혼란 = 349
2. 사춘기의 변화 = 352
3. 청년과 가족관계 = 355
4. 청년기의 문제행동 = 357
5. 청년기의 건강과 스트레스 = 358
제17장 청년발달 연구의 전망 = 363
참고문헌 = 367
찾아보기 =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