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낙관주의자가 건강한가, 건강한 사람이 낙관주의자인가

낙관주의자가 건강한가, 건강한 사람이 낙관주의자인가 (3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현수
서명 / 저자사항
낙관주의자가 건강한가, 건강한 사람이 낙관주의자인가 / 이현수 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1999.  
형태사항
230 p. ; : 삽도 ; 23 cm.
총서사항
팝사이컬러지 북스 ; 28
ISBN
8975482782
일반주기
부록 : 낙관주의 검사  
000 00753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635671
005 20100806054441
007 ta
008 990506s1999 ulka 00 a kor
020 ▼a 8975482782 ▼g 03180 : ▼c \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22361 ▼l 111122362 ▼f 개가 ▼l 111122363 ▼f 개가 ▼l 121039572 ▼f 과개 ▼l 121039573 ▼f 과개 ▼l 131005323 ▼f 의학
082 0 4 ▼a 150.2 ▼2 21
085 ▼a 1420 ▼2 KDCP
090 ▼a 150.2 ▼b 1999
100 1 ▼a 이현수
245 1 0 ▼a 낙관주의자가 건강한가, 건강한 사람이 낙관주의자인가 / ▼d 이현수 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1999.
300 ▼a 230 p. ; : ▼b 삽도 ; ▼c 23 cm.
490 0 0 ▼a 팝사이컬러지 북스 ; ▼v 28
500 ▼a 부록 : 낙관주의 검사
950 0 ▼b \8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11122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111223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111223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210395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3(동양서)/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21039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11122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111223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111223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210395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3(동양서)/ 청구기호 150.2 1999 등록번호 121039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부 청년발달의 기초

 제1장 청년발달의 본질과 쟁점 = 15

  1. 유전과 환경 = 18

  2. 성숙과 학습 = 19

  3. 연속성과 불연속성 = 20

  4. 결정적 시기 = 21

  5. 초기경험과 후기경험의 중요성 = 22

 제2장 청년발달의 이론 = 25

  1. 초기 이론 = 27

   1) 플라톤 = 28

   2) 아리스토텔레스 = 29

   3) 로크 = 30

   4) 루소 = 31

   5) 지 스탠리 홀 = 33

  2. 정신분석 이론 = 36

   1) 안나 프로이트 = 36

   2) 설리반 = 42

   3) 에릭슨 = 45

  3. 인지발달 이론 = 51

   1) 피아제 = 51

   2) 콜버그 = 53

  4. 학습 이론 = 54

   1) 스키너 = 54

   2) 반두라 = 55

  5. 인본주의 이론 = 57

   1) 로저스 = 58

   2) 메슬로우 = 59

  6. 생태학적 이론 = 60

   1) 브론펜브렌너 = 61

   2) 엘더 = 63

  7. 동서양 이론의 비교 = 64

   1) 동서양 이론의 차이점 = 65

   2) 동서양 이론의 유사점 = 67

   3) 공자의 효와 에릭슨의 의리 = 70

 제3장 청년발달의 연구방법 = 73

  1. 과학적 연구의 과정 = 75

  2. 과학적 연구의 요소 = 77

  3. 자료수집의 방법 = 78

   1) 관찰법 = 78

   2) 면접법과 질문지법 = 80

   3) 사례연구 = 81

   4) 검사법 = 81

   5) 비교문화 연구 = 82

   6) 다중측정법 = 83

  4. 연구설계 = 84

   1) 기술연구 = 84

   2) 상관연구 = 85

   3) 실험연구 = 86

  5. 청년발달 연구의 접근법 = 88

   1) 횡단적 접근법 = 88

   2) 종단적 접근법 = 89

   3) 순차적 접근법 = 91

  6. 청년발달 연구에서의 윤리적 문제 = 92

제2부 청년기의 발달 특성

 제4장 신체발달 = 97

  1. 일반적인 신체발달 = 100

   1) 신장과 체중의 성장 = 100

   2) 그밖의 신체변화 = 102

   3)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발육 상황 = 103

  2. 내분비선의 변화 = 107

  3. 사춘기와 성적 성숙 = 109

  4. 성숙의 가속화 현상 = 112

  5. 신체변화와 심리적 작용 = 114

   1) 신체상 = 114

   2) 조숙과 만숙 = 115

   3) 개인차 = 117

  6. 사춘기 변화와 행동에 관한 모형 = 118

   1) 호르몬의 직접 효과 = 118

   2) 2차 성징을 통한 간접 효과 = 118

   3) 사회적 사건과의 연관 = 119

   4) 사춘기 사회적 사건과 발달과정 = 119

 제5장 인지발달 = 121

  1. 인지란 무엇인가? = 123

  2. 인지발달 이론 = 125

   1) 피아제 이론 = 125

   2) 학습 이론 = 127

   3) 정보처리 이론 = 128

  3. 청년기의 자아중심성 = 129

   1) 상상적 관중 = 129

   2) 개인적 우화 = 130

  4. 청년기 이후의 사고 = 132

  5. 청년기의 사회인지 = 133

   1) 인상형성 = 133

   2) 역할수용 = 134

  6. 컴퓨터와 청년 = 136

  7. 지능 = 137

   1) 지능의 정의 = 137

   2) 지능검사 = 140

   3) 지능에 관한 쟁점 = 142

  8. 창의성 = 144

 제6장 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 = 147

  1. 자아개념 = 150

  2. 자존감 = 151

   1) 청년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 152

   2) 자존감의 변화와 안정성 = 153

  3.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인가? = 153

  4. 자아정체감은 왜 청년기에 문제가 되는가? = 155

  5. 자아정체감의 형성 = 156

  6. 마르샤의 자아정체감의 네 범주 = 157

   1) 정체감 성취 = 157

   2) 정체감 유예 = 158

   3) 정체감 유실 = 159

   4) 정체감 혼미 = 159

  7. 자아정체감 상태와 관련변인 = 160

  8. 자아정체감 발달에 있어서의 성차 = 162

  9. 자아정체감과 문화 = 163

 제7장 성역할 발달 = 165

  1. 심리적 성차의 실상 = 168

  2. 성역할 발달 이론 = 169

   1) 정식분석 이론 = 170

   2) 사회학습 이론 = 170

   3) 인지발달 이론 = 170

   4) 성역할 초월 모델 = 171

  3. 성역할 발달과 영향요인 = 172

   1) 생물학적 요인 = 172

   2) 문화적 기대 = 173

   3) 부모의 역할 = 174

   4) 아버지 역할과 아버지의 부재 = 175

   5) 형제의 역할 = 176

   6) 도래 및 교사의 영향 = 176

   7) 텔레비전의 영향 = 177

  4. 새로운 성역할 개념 = 179

   1) 심리적 양성성 = 179

   2) 성역할 측정도구 = 180

   3) 심리적 양성성과 관련연구 = 181

  5. 청년기의 성역할 강화 = 183

 제8장 도덕성 발달 = 185

  1. 도덕성 발달 이론 = 188

   1) 인지발달 이론 = 188

   2) 사회학습 이론 = 193

   3) 정신분석 이론 = 194

  2. 도덕성 발달에서의 성차 = 195

   1) 프로이트와 콜버그의 이론 = 195

   2) 길리간의 도덕성 발달 이론 = 196

  3. 도덕성 발달과 영향요인 = 198

   1) 부모의 영향 = 198

   2) 또래의 영향 = 199

   3) 대중매체의 영향 = 199

  4. 친사회적 행동 = 200

   1) 이타적 행동 = 201

   2) 감정이입 = 202

 제9장 학교생활과 성취행위 = 205

  1. 학교의 크기와 풍토 = 208

   1) 학교와 학급의 크기 = 208

   2) 학급의 구조와 풍토 = 208

  2. 교사의 영향 = 210

  3. 학부모의 참여 = 211

  4.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 = 212

  5. 학업성취 = 213

   1) 성취동기와 성취행위 = 213

   2) 불안수준과 성취행위 = 214

   3) 통제의 소재와 성취행위 = 215

   4) 성취행위와 그외 관련변인 = 216

  6. 학습장애 = 217

 제10장 직업선택 = 219

  1. 직업발달 이론 = 222

   1) 긴즈버그의 절충 이론 = 222

   2) 수퍼의 자아개념 이론 = 224

   3) 홀랜드의 성격유형 이론 = 224

  2. 직업선택과 영향요인 = 226

   1) 부모의 영향 = 226

   2) 사회계층 = 227

   3) 지능, 적성, 흥미 = 227

  3. 여성과 직업발달 = 229

  4. 직업교육과 직업상담 = 230

제3부 청년기의 사회적 관계

 제11장 청년과 가족 = 235

  1. 청년과 부모와의 관계 = 237

  2. 청년과 부모와의 갈등 = 239

  3. 청년기 자녀의 부모 = 241

  4. 청년과 부모의 의사소통 = 242

   1) 의사소통망 = 243

   2) '나' 전달법 = 243

   3) 원활한 의사소통 지침 = 245

  5. 효율적인 부모역할 = 246

   1) 애정과 통제 = 246

   2) 자애로움과 엄격함 = 247

   3) 부자자효의 12덕목 = 250

  6. 가족구조의 변화 = 253

   1) 부모의 이혼 = 253

   2) 편부모가족 = 255

   3) 계부모가족 = 256

  7. 형제관계 = 257

 제12장 청년과 교우관계 = 259

  1. 친구의 중요성 = 262

  2. 우정 = 263

   1) 설리반의 우정에 관한 이론 = 264

   2) 청년기 우정의 기능 = 265

   3) 청년기 우정의 발달 = 265

   4) 청년기 우정의 성차 = 266

   4) 청년기 우정에 관한 우리나라 연구 = 267

  3. 또래집단 = 268

   1) 또래집단의 기능 = 268

   2) 또래집단에서의 인기도 = 269

   3) 또래집단의 압력과 동조행동 = 273

 제13장 이성교제와 청년기의 성 = 279

  1. 이성교제 = 281

  2. 청년기의 사랑 = 283

   1) 사랑의 이론 = 283

   2) 사랑의 유형 = 286

  3. 배우자 선택 = 288

   1) 배우자 선택의 기준 = 288

   2) 배우자 선택시 유의할 점 = 289

  4. 청년의 성에 관한 태도와 행동 = 290

   1) 자위행위 = 291

   2) 십대 임신 = 292

   3) 성병 = 295

  5. 성교육 = 300

제4부 청년기의 부적응

 제14장 청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 307

  1. 먹기장애 = 309

   1) 비만 = 310

   2) 거식증 = 311

   3) 탐식증 = 312

  2. 불안장애 = 313

  3. 우울증 = 314

  4. 자살 = 315

  5. 성격장애 = 319

  6. 정신분열증 = 320

 제15장 청소년 비행 = 323

  1. 비행 청소년의 특성 = 326

  2. 비행 청소년의 가족 = 327

  3. 우리나라 청소년 비행의 현황 = 327

  4. 기타 청소년 비행 = 333

   1) 약물남용 = 333

   2) 음주 = 338

   3) 흡연 = 340

  5. 청소년 비행을 줄이기 위한 방안 = 341

제5부 청년기 연구에 대한 전망

 제16장 청년발달 연구의 최근 동향 = 345

  1. 청년기의 적응과 혼란 = 349

  2. 사춘기의 변화 = 352

  3. 청년과 가족관계 = 355

  4. 청년기의 문제행동 = 357

  5. 청년기의 건강과 스트레스 = 358

 제17장 청년발달 연구의 전망 = 363

참고문헌 = 367

찾아보기 = 40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