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기호학으로의 초대

기호학으로의 초대 (Loan 14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Henault, Anne 홍정표
Title Statement
기호학으로의 초대 / 안느 에노 지음 ; 홍정표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어문학사 ,   1997.  
Physical Medium
177 p. ; 23 cm.
Varied Title
(Les)enjeux de la semiotique : introduction a la semiotique generale
ISBN
898670015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739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634829
005 20100806053525
007 ta
008 990427s1997 ulk 001a kor
020 ▼a 8986700158 ▼g 93700 : ▼c \65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49 1 ▼l 111119719 ▼l 111119720 ▼l 111119721
082 0 4 ▼a 401.41 ▼2 21
090 ▼a 401.41 ▼b 1997a
100 1 ▼a Henault, Anne ▼0 AUTH(211009)134193
245 1 0 ▼a 기호학으로의 초대 / ▼d 안느 에노 지음 ; ▼e 홍정표 옮김.
246 1 9 ▼a (Les)enjeux de la semiotique : introduction a la semiotique generale
260 ▼a 서울 : ▼b 어문학사 , ▼c 1997.
300 ▼a 177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홍정표 ▼0 AUTH(211009)19213
950 0 ▼b \65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111197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111197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111197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510790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510790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510790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5107909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111197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111197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111197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510790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510790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510790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401.41 1997a Accession No. 15107909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안느 에노(지은이)

1943년 태어나 프랑스 파리고등사범에서 수학하였으며, 고전문학 교수 자격을 취득하였다. 그레마스의 제자로서, 그의 기호학 이론을 심화시켜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현재 파리 10대학 언어학과에 출강하고 있으며, PUF에서 간행하는 총서 '기호학적 형식들 Formes Se'miotiques'의 책임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기호학으로의 초대 Les enjeux de la se'miotique>(1979) <서사, 일반 기호학 Narratologie, se'miotique ge'ne'rale>(1983) <기호학사 Histoire de la se'miotique>(1992) <정념으로서의 권력 Le Pouvoir comme passion>(1994) 등이 있다.

홍정표(옮긴이)

이화여고를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를 프랑스어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프랑스 소르본느대학과 국립칠레대학원을 수학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념의 기호학적 분석’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동안 고려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교에 출강하였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국립경찰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 연구소 지원’ 공동 프로젝트 “세계화와 북미·서유럽의 이문화 관리 연구”(2003~6)에 참여하였고, “김동인의 단편 소설 &lt;배따라기&gt;에 나타난 정념의 기호학적 분석”(2004), “김동리의 &lt;황토기&gt;에 나타난 질투의 기호학적 분석”(2005) 등 다수의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에 ‘이화를 빛낸 상’을 수상하였고, 2014년 현재 한국기호학회 이사로 있으며, 역서로 &lt;기호학으로의 초대&gt;, &lt;서사, 일반 기호학&gt;, 논문으로 ‘양태이론고찰’, ‘질투에 관해서’, ‘주체의 존재태 연구’,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 갈등 연구’ 등 다수가 있다. 현재 유럽 기호학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기호학 모델을 창출하는 데 관심을 두고 연구 중에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의 말 = 1

머리말(A. J. 그레마스) = 7

Ⅰ. 새로운 기호학적 사조 = 9

Ⅱ. 기호학에 대한 기본적인 일반 가설 = 20

 제1가설

  Ⅰ. 우리가 의미작용을 알 수 있는 것은 형식에 의해서이지, 실질에 의해서가 아니다 = 20

   《문화적》 변수 = 21

   개념적 변수 = 23

   어휘 - 통사론적 변수 = 24

  Ⅱ. 의미작용의 형식은 관계의 체계로 구성된다 = 27

   결론 = 32

    추상화 원칙 = 33

    기호학적 분석의 비《실질적》 성격 = 33

    기호학적 분석인 감축작용의 단계들 = 34

Ⅲ. 최소 단위로서의 의미 분석에 관한 가설. 의소의 개념 = 36

 제1가설 : 과학적 연구의 대상인 의미작용의 형식은 분절될수 있다 = 36

 제2가설 : 이러한 분절은 분석하려는 층위 자체에 의해 좌우된다 = 37

 제3가설 : 우리는 이항대립의 관계 - 그 극점이 《의소》라고 불리는 - 로 분절되는 의미작용의 최소 층위를 상정할 수 있다 = 42

  응용 = 43

  언어에서 의소분석의 몇 가지 예들 = 46

   포티에와 불어에서 《의자》의 어휘장 = 46

   그레마스와 불어에서 《머리》의 의미장 = 49

   의소이론과 담화분석 = 51

  적용 : 의소분석을 이용한 텍스트 독서의 예 : 앙드레 말로의 『침묵의 소리』 발췌문에 대한 분석 = 54

   Ⅰ. 텍스트 획정의 정당화 = 57

   Ⅱ. 예술에 대한 정의의 구성요소들 = 59

   Ⅲ. 시간성 계열체의 의소분석 = 65

Ⅳ. 기본 층위에서의 결합관계 : 분류소와 동위성 = 69

 제1가설 : 기본 층위에는 서로 유사하거나 양립 가능한 요소들의 반복으로 보장되는 담화의 일관성이 있다 = 70

 제2가설 우리는 같은 범주의 의미작용 요소들의 반복의 결과를 동위성이라고 부른다 = 71

 적용 : 동위성 개념에 의거한 텍스트 분석의 예 : = 84

  라 브뤼예르, 『인물론』, ⅩⅠ, 《인간에 관하여》, 단편 128 = 85

  랭보, 『계시』,ⅩⅩⅡ, 《새벽》 = 94

   비정상성과 애매성 = 96

   텍스트의 분류소적 비양립성과 일반적 일관성 = 101

Ⅴ. 기본 층위에서 의미작용의 구조화의 모델 : 기호 사각형 = 109

 가설 : 의미작용 요소와 그것의 부정이 전개된 명시적 관계맺음으로 성립된 두 번째 유형의 일관성을 기본 층위에서 관찰할수 있다 = 109

  Ⅰ. 반대와 모순 = 113

  Ⅱ. 기호 사각형의 성립 = 120

   A.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기호 사각형 응용의 예 = 122

   B. 텍스트 분석에서 기호 사각형 응용의 예 = 125

  Ⅲ. 기호 사각형과 설화성 = 131

 적용 : 디드로의 《소피 볼랑에게 보내는 편지》의 발췌문 독해를 위한 의소, 동위성, 기호 사각형 = 137

  디드로 1759년 10월 15일 『소피 볼랑에게 보내는 편지』《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 138

   《텍스트》의 획정 = 141

   독백의 분할 = 143

   동위성 찾기 = 145

   의소분석 = 149

   텍스트의 논리적 구성 = 154

어떻게 결론을 맺을 것인가? = 157

참고문헌 = 161

용어해설 = 164

찾아보기 = 171

그레마스에 대하여 = 1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