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地方自治辭典

地方自治辭典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한국지방자치학회
Title Statement
地方自治辭典 = Dictionary of local government / 韓國地方自治學會 編著.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普成閣 ,   1998.  
Physical Medium
855 p. ; 26 cm.
ISBN
8978398022
General Note
색인포함  
000 00606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634752
005 20100806053421
007 ta
008 990423s1998 ulk d 001 kor
020 ▼a 8978398022 ▼g 93300 : ▼c \5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21037667 ▼f R
082 0 4 ▼a 352.1403 ▼2 21
085 ▼a 6360 ▼2 KDCP
090 ▼a 352.1403 ▼b 1998
245 0 0 ▼a 地方自治辭典 = ▼x Dictionary of local government / ▼d 韓國地方自治學會 編著.
260 ▼a 서울 : ▼b 普成閣 , ▼c 1998.
300 ▼a 855 p. ; ▼c 26 cm.
500 ▼a 색인포함
710 ▼a 한국지방자치학회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ILL/DDS/ Call Number R 352.1403 1998 Accession No. 121037667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R 352.1403 1998 Accession No. 1510620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R 352.1403 1998 Accession No. 15114375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ILL/DDS/ Call Number R 352.1403 1998 Accession No. 121037667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R 352.1403 1998 Accession No. 1510620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R 352.1403 1998 Accession No. 15114375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허성관(지은이)

광주일고, 동아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은행 조사부 등에 근무하다 뉴욕주립대(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에서 경영학 석사(MBA)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뉴욕시립대(Baruch College)와 동아대학교 교수, 해양수산부?행정자치부 장관, 광주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다. 교수 재임 중 회계, 재무, 증권시장 등과 관련된 영향력 있는 논문들을 발표했고, 은퇴 후 정부 혁신을 설파한 『빛나는 롱런』과 참여정부 정책을 논한 『경국제민의 길』(공저)을 펴냈다. 조선조 말 우리 전통 회계인 개성상인 박영진가 송도사개치부 장부를 연구해 이 장부가 자본주의적 경영 기법을 반영한 완벽한 복식부기임을 밝히는 논문들을 주요 학술지에 발표해왔다. 이 연구 성과로 2014년 매일경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광복 후 청산되지 못한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는 데도 애쓰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산업안전 일반

 제1장 산업안전 개요

  1.1 산업안전의 의의 = 23

   1.1.1 산업안전 정의 = 23

   1.1.2 산업안전 용어 = 24

   1.1.3 산업안전과 경영 = 31

  1.2 안전관리 조직 = 32

   1.2.1 조직의 목적 = 32

   1.2.2 조직의 의무 = 32

   1.2.3 산업안전보건위원회 = 34

   1.2.4 조직의 형태 = 35

 제2장 재해발생과 예방

  2.1 재해발생 이론 = 37

   2.1.1 H.W.Heinrich이론 = 37

   2.1.2 Frank Bird's이론 = 39

   2.1.3 Edward Adams이론 = 41

   2.1.4 D.A.Weaver이론 = 42

   2.1.5 Michael Zabetakis이론 = 43

   2.1.6 Bob Firenze이론 = 44

   2.1.7 Hugh Douglas이론 = 45

   2.1.8 Petersen이론 = 46

   2.1.9 Russell Ferrell이론 = 46

   2.1.10 Willard Verr이론 = 47

   2.1.11 기타 이론 = 48

   2.1.12 Huh 이론 = 51

  2.2 재해분석 = 53

   2.2.1 재해 사례연구 = 53

   2.2.2 재해율과 손실비용 = 55

   2.2.3 재해비용 산출방식 = 56

  2.3 재해예방 = 59

   2.3.1 재해예방 정의 = 59

   2.3.2 예방대책의 기본원리 = 61

   2.3.3 안전관리기법 = 63

   2.3.4 무재해운동 = 64

 제3장 안전검사

  3.1 안전점검 = 71

   3.1.1 점검 개요 = 71

   3.1.2 점검 종류 = 72

   3.1.3 점검체제 = 72

   3.1.4 점검 기준책 = 74

  3.2 자체검사 = 75

   3.2.1 검사 개요 = 75

   3.2.2 검사대상 기기 = 75

   3.2.3 검사실시 요령 = 76

   3.2.4 검사방법 = 77

   3.2.5 검사결과 및 처리 = 77

 제4장 안전 보호구

  4.1 보호구 = 81

   4.1.1 보호구 개념 = 81

   4.1.2 보호구 검정 = 82

  4.2 보호구 종류 = 83

   4.2.1 안전모 = 83

   4.2.2 안면 보호구 = 85

   4.2.3 호흡용 보호구 = 89

   4.2.4 소음방지용 보호구 = 94

   4.2.5 안전대 = 96

   4.2.6 발보호구 = 97

   4.2.7 손보호구 = 98

  4.3 안전표시 = 99

   4.3.1 안전표지 정의 = 99

   4.3.2 안전표지의 종류 = 100

   4.3.3 안전표지 규정 = 102

 제5장 안전교육

  5.1 안전교육 = 103

   5.1.1 교육의 필요성 = 103

   5.1.2 교육지도 = 104

   5.1.3 교육분류 = 105

  5.2 교육방법 = 107

   5.2.1 교육의 종류 = 107

   5.2.2 교육대상 = 110

  5.3 안전보건교육 = 112

   5.3.1 사내 안전보건교육 = 112

 제6장 교통안전

  6.1 교통안전의 중요성 = 121

   6.1.1 교통안전의 3요소 = 122

   6.1.2 교통안전의 문제점 = 122

   6.1.3 운전자 및 보행자 특성 = 124

  6.2 교통사고의 원인분석 = 125

   6.2.1 사고원인 = 125

   6.2.2 교통사고 유형 = 127

   6.2.3 원인분석 = 128

  6.3 교통사고 안전대책 = 130

   6.3.1 위험지역의 선정 = 130

   6.3.2 종합 교통 안전 기획 = 131

   6.3.3 안전관리자 의무 = 132

   6.3.4 안전비용 = 132

   6.3.5 안전대책 = 134

   6.3.6 교통과 환경 = 143

   6.3.7 종합대책 = 144

   6.3.8 교통문화의 현주소 = 146

 연습문제 = 149

제Ⅱ편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

 제1장 인간공학

  1.1 안전과 인간공학 = 153

   1.1.1 인간공학의 정의 = 153

   1.1.2 인간-기계 체계 = 154

   1.1.3 체계설계와 인간요소 = 156

   1.1.4 인간-기계 통합체계 = 157

   1.1.5 인간공학적 설계 = 159

  1.2 정보입력 표시장치 = 161

   1.2.1 시각적 표시장치 = 161

   1.2.2 청각적 표시장치 = 163

   1.2.3 촉각적 표시장치 = 164

   1.2.4 표시장치를 이용한 인간의 정보처리 = 164

  1.3 인체 계측 및 작업공간 = 165

   1.3.1 인체계측의 의의 = 165

   1.3.2 신체활동의 생리학적 측정법 = 167

   1.3.3 작업공간 및 작업자세 = 168

   1.3.4 인간의 특성과 안전 = 171

  1.4 작업환경 관리 = 174

   1.4.1 작업조건과 환경조건 = 174

   1.4.2 작업환경과 인간공학 = 175

 제2장 산업심리

  2.1 산업심리 이론 = 201

   2.1.1 산업심리 개념 = 201

   2.1.2 인간관계와 사회활동 = 202

  2.2 안전관리와 산업심리 = 203

   2.2.1 재해누발과 안전관리 = 203

   2.2.2 산업심리의 요소 = 203

   2.2.3 작업동기 = 204

  2.3 피로와 스트레스 = 206

   2.3.1 생체리듬 = 206

   2.3.2 피로 = 207

   2.3.3 스트레스 = 208

  2.4 인간 특성과 안전 = 210

   2.4.1 환경 및 동작 특성 = 210

   2.4.2 착오와 실수 = 211

   2.4.3 착시 = 212

 제3장 시스템 안전

  3.1 시스템안전과 안전성 평가 = 215

   3.1.1 시스템안전의 개요 = 215

   3.1.2 시스템 안전분석 기법 = 216

  3.2 안전성 평가 = 225

   3.2.1 안전성 평가의 개요 = 225

   3.2.2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 228

   3.2.3 화학설비의 안전성 = 230

   3.2.4 건설공사의 안전성 = 231

   3.2.5 기계설비의 안전성 = 232

 연습문제 = 234

제Ⅲ편 기계안전

 제1장 기계설비의 안전

  1.1 기계설비 안전 = 237

   1.1.1 기계배치의  안전 = 237

   1.1.2 기계설비의 안전화 = 239

   1.1.3 공구의 안전조건 = 241

  1.2 동력기계의 방호 = 243

   1.2.1 방호 기준 = 243

   1.2.2 동력 전달장치 = 243

  1.3 기타 기계설비 안전 = 245

   1.3.1 방호장치 = 246

 제2장 선반

  2.1 선반의 개념 = 249

  2.2 선반의 종류 = 250

  2.3 선반의 구조 = 253

  2.4 선반의 부속장치 = 254

  2.5 선반의 가공방법 = 255

  2.6 선반의 방호장치 = 256

  2.7 안전수칙 = 256

 제3장 드릴링

  3.1 드릴링의 개념 = 259

  3.2 구성요소 = 260

  3.3 종류 및 구조 = 260

  3.4 작업방법 = 261

  3.5 작업종류 = 262

  3.6 방호장치 = 263

 제4장 보링

  4.1 보링의 개념 = 265

  4.2 보링 머신의 종류 = 266

 제5장 밀링

  5.1 밀링의 개념 = 269

  5.2 밀링머신의 종류 = 270

  5.3 밀링가공 = 271

  5.4 밀링머신의 방호장치 = 272

  5.5 안전수칙 = 273

 제6장 셰이퍼, 슬로터 플레이너

  6.1 셰이퍼, 슬로터, 플레이너 = 275

  6.2 셰이퍼작업 = 276

  6.3 슬로터작업 = 276

  6.4 평삭작업 및 플레이너 작업 = 276

  6.5 안전수칙 = 277

 제7장 연삭기

  7.1 연삭기의 개념 = 279

  7.2 연삭기의 종류 = 280

  7.3 연삭작업의 특징 = 280

  7.4 연삭가공 = 280

  7.5 숫돌의 교환 = 282

  7.6 연삭기의 재해유형 = 282

  7.7 방호장치 = 283

  7.8 안전수칙 = 284

 제8장 목공기계

  8.1 둥근톱 = 287

  8.2 동력식 수동대패기 = 289

  8.3 안전수칙 = 291

 제9장 프레스기계

  9.1 프레스 개념 = 293

  9.2 프레스의 종류 = 293

  9.3 프레스 구조 = 296

   9.3.1 기계프레스 = 296

   9.3.2 액압프레스 = 300

  9.4 프레스 안전작업 = 302

  9.5 프레스 방호장치 = 302

  9.6 안전수칙 = 307

 제10장 금형

  10.1 금형의 개념 = 311

  10.2 파손위험 방지 = 312

  10.3 운반위험 방지 = 313

  10.4 안전수칙 = 313

 제11장 롤러

  11.1 롤러의 개념 = 315

  11.2 롤러기의 종류 = 316

  11.3 방호장치 = 316

  11.4 방호장치의 종류 = 317

   11.4.1 급정지장치 = 317

   11.4.2 울(guard) = 318

  11.5 안전수칙 = 319

 제12장 건설설비

  12.1 건설설비의 개념 = 321

  12.2 건설설비의 종류 = 322

 제13장 산업용 로봇

  13.1 로봇의 정의 = 325

  13.2 로봇 센서의 종류 = 329

  13.3 로봇의 안전 = 329

  13.4 로봇 안전 작업 = 331

  13.5 안전수칙 = 332

 제14장 가스용접장치

  14.1 개념 = 335

  14.2 가스의 폭발 = 335

  14.3 가스의 분류 = 336

  14.4 위험요인 = 337

  14.5 아세틸렌 = 338

  14.6 방호장치 = 340

 제15장 보일러

  15.1 보일러의 구조와 특성 = 343

   15.1.1 보일러의 정의 = 343

   15.1.2 보일러의 종류 = 343

  15.2 폭발재해의 원인 = 345

  15.3 폭발위험방지 = 346

  15.4 운전수칙 = 347

 제16장 압력용기

  16.1 적용범위 = 349

  16.2 구성 부품 = 350

  16.3 압력용기의 종류 = 350

  16.4 안전수칙 = 351

 제17장 원심기

  17.1 개요 = 353

  17.2 원심기의 종류 = 353

  17.3 원심기 재해위험 = 354

 제18장 공기압축기

  18.1 정의 = 355

  18.2 공기압축기의 종류 = 355

  18.3 공기압축기의 특징 = 356

  18.4 공기압축기의 운전방식 = 357

  18.5 이상원인 및 대책 = 358

  18.6 압축기의 종류 = 360

  18.7 안전수칙 = 361

 제19장 방적기, 제면기

  19.1 구조 및 기능 = 363

  19.2 방호장치 = 364

 제20장 지게차

  20.1 개념 = 367

  20.2 안전조건 = 368

  20.3 안전수칙 = 369

 제21장 컨베이어

  21.1 개념 = 371

  21.2 안전장치 = 371

  21.3 안전수칙 = 372

 제22장 리프트

  22.1 개념 = 373

  22.2 건설용 리프트 = 373

   22.2.1 종류와 구조 = 374

  22.3 간이리프트 = 375

  22.4 기계부분 = 375

  22.5 와이어로프와 체인 = 377

  22.6 방호장치 = 378

  222.7 안전수칙 = 378

 제23장 크레인

  23.1 개념 = 381

  23.2 크레인의 기본구조조건 = 382

  23.3 주행크레인(travelling crane)의 구조조건 = 383

  23.4 모노레일 크레인(monorail crane)의 세이프티 캐치(safety catch) = 387

  23.5 지브크레인(jib crane) = 388

  23.6 이동상 호이스트 및 더링호이스트(tearing hoist) = 388

  23.7 전기호이스트(electric hoist) = 390

  23.8 공기호이스트(air hoist) = 391

  23.9 크레인 방호장치 = 391

 제24장 승강기

  24.1 개념 = 395

  24.2 승강기의 구조별 특성 = 396

  24.3 승강기 방호장치 = 397

 제25장 곤돌라

  25.1 개념 = 401

  25.2 방호장치 = 402

 연습문제 = 405

제Ⅳ편 전기안전

 제1장 전기안전 개요

  1.1 전기안전 일반 = 409

   1.1.1 전기의 위험성 = 409

   1.1.2 전기 기기의 안전 개요 = 411

   1.1.3 전기 기기의 점검 = 416

  1.2 전기작업 안전 = 417

   1.2.1 정전작업 = 417

   1.2.2 활선작업 = 418

   1.2.3 배선작업 = 419

 제2장 전기재해 및 방지대책

  2.1 전격재해 일반 = 423

   2.1.1 전격재해 = 423

   2.1.2 전격재해 요인 = 425

  2.2 전격재해 예방 = 426

   2.2.1 누전차단기 감전 예방 = 426

   2.2.2 전격재해 예방 = 427

   2.2.3 안전대책 = 428

   2.2.4 전격재해 조치 = 429

   2.2.5 절연용 안전장구 = 438

 제3장 전기화재

  3.1 전기화재 일반 = 441

   3.1.1 전기화재 원인 = 441

   3.1.2 정전기 화재 = 443

  3.2 전기화재 예방 = 446

   3.2.1 비충전부분의 접지 = 446

   3.2.2 접지공사 = 447

   3.2.3 피뢰설비 = 449

   3.2.4 화재경보기 = 450

   3.2.5 화재 대책 =  451

   3.2.6 기타 위험방지 = 452

 제4장 전기설비의 방폭

  4.1 방폭 이론 = 457

   4.1.1 방폭 개요 = 457

   4.1.2 방폭설비 = 458

  4.2 방폭대책 = 461

   4.2.1 방폭구조의 종류 = 461

   4.2.2 전기화재의 방폭대책 = 465

   4.2.3 방폭설비의 보수 = 466

   4.2.4 기타 방지대책 = 466

 연습문제 = 468

제Ⅴ편 화공안전

 제1장 위험물 및 유해물 안전

  1.1 위험물 안전 = 471

   1.1.1 위험물 종류 = 471

   1.1.2 위험물 취급 = 473

   1.1.3 위험물 안전 = 474

   1.1.4 안전수칙 = 474

  1.2 유해물 안전 = 475

   1.2.1 유해물 종류 = 475

   1.2.2 유독물 종류 = 476

   1.2.3 유해물 안전 = 478

   1.2.4 안전수칙 = 479

   1.2.5 합성화합물질 = 480

   1.2.6 중금속 중독 = 481

 제2장 화재예방 및 소화방법

  2.1 연소 및 소화 = 493

   2.1.1 연소이론 = 493

   2.1.2 연소의 종류 = 494

   2.1.3 화재이론 = 495

   2.1.4 소화이론 = 499

   2.1.5 소방시설 = 501

  2.2 폭발방지 대책 = 504

   2.2.1 폭발조건 = 504

   2.2.2 폭발대책 = 505

  2.3 고압가스 안전 = 507

   2.3.1 고압가스 일반 = 507

   2.3.2 고압가스 용기 = 508

   2.3.3 시설기준 = 509

   2.3.4 고압가스재해 = 510

 제3장 화학설비 안전

  3.1 화학설비  = 513

   3.1.1 계측기기 = 513

   3.1.2 반응기 = 514

   3.1.3 증류장치 = 515

   3.1.4 안전장치 = 516

   3.1.5 안전밸브의 고장방지 = 518

   3.1.6 화학설비의 부식방지 = 518

  3.2 건조설비 = 519

   3.2.1 건조설비의 종류 = 519

   3.2.2 건조설비의 안전 = 520

   3.2.3 재해 형태 및 대책 = 521

   3.2.4 폐기물의 처리와 공해 대책 = 522

 연습문제 = 527

제Ⅵ편 건설안전

 제1장 건설안전 개요

  1.1 건설의 안전성 = 531

   1.1.1 공사의 안전 = 531

   1.1.2 재해의 요인 = 533

   1.1.3 공사의 특성 = 534

   1.1.4 공사의 연혁 = 535

  1.2 지반의 안전성 = 538

   1.2.1 점검사항 = 538

   1.2.2 주요 지반 조사 방법 = 538

   1.2.3 토석붕괴의 원인 및 형태 = 540

   1.2.4 토석붕괴 예방대책 = 542

  1.3 표준 안전관리비 = 543

 제2장 건설장비 및 설비안전

  2.1 건설장비 = 545

   2.1.1 수공구 = 545

   2.1.2 셔블계 굴착용기계 = 546

   2.1.3 트랙터계 = 547

   2.1.4 수송기계 = 549

   2.1.5 포장기계 = 551

   2.1.6 건설차량계 = 551

   2.1.7 건설기계의 위험방지 = 552

   2.1.8 건설기계의 안전점검 = 553

   2.1.9 건설기계의 안전수칙 = 554

  2.2 건설설비안전 = 557

   2.2.1 재해안전 = 557

   2.2.2 추락재해 = 558

   2.2.3 붕괴재해 = 561

   2.2.4 건설재해 대책 = 561

 제3장 건설작업안전

  3.1 기초공사 = 563

   3.1.1 토공사 = 563

  3.2 가설공사 = 566

   3.2.1 가설구조물 = 566

   3.2.2 가설통로 = 567

   3.2.3 통로발판 설치기준 = 569

   3.2.4 계단 = 569

   3.2.5 사다리 = 571

   3.2.6 승강로 = 571

  3.3 비계 = 571

   3.3.1 비계재료 = 572

   3.3.2 조립 = 572

   3.3.3 통나무비계 = 573

   3.3.4 강관비계 = 573

   3.3.5 달비계 = 574

   3.3.6 달대비계 = 575

   3.3.7 이동식 비계 = 575

   3.3.8 말비계 = 576

   3.3.9 가설도로 = 576

  3.4 구조공사 = 576

   3.4.1 철근콘크리트공사 = 576

   3.4.2 철골공사 = 578

   3.4.3 마감·해체공사 = 580

  3.5 굴착·터널공사 = 581

   3.5.1 굴착공사 = 581

   3.5.2 터널공사 = 585

   3.5.3 발파공사 = 587

 제4장 운반하역 및 기타 작업안전

  4.1 운반작업 = 589

   4.1.1 운반작업 유의사항 = 589

   4.1.2 운반작업 안전수칙 = 590

   4.1.3 운반기계 안전수칙 = 590

   4.1.4 인력운반 안전수칙 = 590

   4.1.5 운반시 구내 통행 안전수칙 = 591

   4.1.6 손수레 안전수칙 = 592

  4.2 중량물 취급·안전 = 592

   4.2.1 공동작업 안전수칙 = 592

   4.2.2 인력운반 재해원인 = 592

   4.2.3 인력운반작업 안전책임과 의무 = 593

  4.3 하역운반 = 594

   4.3.1 검토사항 = 594

   4.3.2 항만하역 안전수칙 = 596

  4.4 고소작업 = 596

   4.4.1 안전수칙 = 596

   4.4.2 기타 운반안전과 관련된 중요사항 = 597

  4.5 건설재해의 원인 및 대책 = 597

 제5장 안전수칙

  5.1 고소작업안전수칙 = 601

   5.1.1 일반사항 = 601

   5.1.2 발판(족장) 위에서의 작업 = 602

   5.1.3 발판(족장) 설치 및 해체시 안전수칙 = 603

   5.1.4 사다리작업 = 603

   5.1.5 개구부, 피트 부근의 작업 = 603

   5.1.6 옥상(지붕) 위의 작업 = 604

   5.1.7 낙하방지 = 604

   5.1.8 비계작업 = 604

  5.2 중량물취급 안전수칙 = 606

   5.2.1 체인블록 = 606

   5.2.2 호이스트 작업 = 606

   5.2.3 크레인 = 607 

   5.2.4 짐걸이작업 = 609

   5.2.5 짐걸이 보관 = 612

   5.2.6 곤돌라 보관 = 614

   5.2.7 지게차 안전 = 615

   5.2.8 전동차 = 616

   5.2.9 리프트 = 617

   5.2.10 화물용 승강기 = 617

   5.2.11 엘리베이터 = 618

   5.2.12 기중기 작업 = 618

   5.2.13 카 크레인 = 620

   5.2.14 스키드 스티어로더 = 620

   5.2.15 트럭의 로프 걸기 작업 = 621

 연습문제 = 622

제Ⅶ편 안전실무

 제1장 안전실무 양식

  1.1 아차사고 사례개발 = 625

  1.2 안전관리 목표설정 = 627

  1.3 안전관리 활동계획 = 628

  1.4 안전관리 조직 = 629

  1.5 협력업체 안전회의 = 630

  1.6 교육일지 및 보호구 = 631

  1.7 안전관리비 사용계획 및 실적 = 634

  1.8 일반작업 안전점검 = 639

 제2장 안전 체크리스트

  2.1 점검표 사용방법 = 643

  2.2 일반 정보사항 = 644

  2.3 일반점검표 = 645

  2.4 작업점검표 = 655

 제3장 재해개선 사례

  3.1 개선실행 기본요령 = 667

  3.2 실행방법 = 668

  3.3 개선점검표 = 673

  3.4 개선 사례 = 67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