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장 理念論 = 11
理念論 : 무엇이 문제인가 = 13
1. 理念의 개념과 관련된 주변 用語들의 槪念定義 = 13
2. 理念과 이데올로기의 槪念問題 = 14
3. 通念上의 이데올로기 槪念 = 14
4. 이데올로기와 政治이데올로기 = 15
5. 理念의 主體 = 16
6. 理念論 論議 자체의 問題 = 16
제1절 理念 論議의 대두 = 17
제2절 理念論 論議의 展開와 그 問題點 = 19
1. 플라톤 = 20
2. 마키아벨리 = 21
3. 베이컨 = 22
4. 홉스 = 24
5. 엘베시우스와 홀바흐 = 25
6. 트라시 = 26
7. 나폴레옹 = 28
8. 마르크스 = 29
9. 만하임 = 31
10. 最近의 理念論 = 34
11. 脫이데올로기 現象의 문제 = 35
제3절 理念論의 定立 = 38
1. 理念과 관계되는 用語의 槪念區分 = 38
(1) 思想 = 39
(2) 理念 = 40
(3) 主義 = 40
(4) 信念 = 41
(5) 이데올로기 = 41
2. 理念의 槪念과 分類 = 42
(1) 理念의 槪念 = 43
(2) 理念의 分類 = 45
3. 理念의 特性과 機能 = 47
(1) 理念의 特性 = 47
(2) 理念의 機能 = 51
제4절 國家理念論 = 54
1. 國家理念의 定義 = 55
2. 國家思想과 國家理念 = 57
3. 國家目標의 國家理念化 = 57
4. 國家理念의 分類와 주요 國家理念 = 59
제Ⅱ장 民主主義에 대한 基礎的 理解 = 63
問題意識 : 民主主義論, 무엇이 문제인가 = 65
제1절 民主政治와 民主主義 = 66
제2절 democracy와 democratism = 67
제3절 直接民主政治와 間接民主政治 = 68
제4절 民主化의 槪念 = 71
제Ⅲ장 民主主義의 定着過程 = 73
제1절 古代의 民主政治 = 75
1. 民主政治의 발단 = 75
(1) 그리스의 民主政治 = 75
(2) 로마의 民主政治 = 75
2.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政治形態論 = 76
제2절 中世의 政治思想 = 79
제3절 近代 民主政治 = 82
1. 中世의 沒落과 近代國家의 成立 = 82
(1) 르네상스의 宗敎改革 = 82
(2) 絶代主義의 출현 = 83
마키아벨리의 「君主論」 = 86
君主가 되는 方法 = 86
君主의 資質 = 87
君主의 役割 = 90
2. 近代 民主政治思想의 發展 = 91
(1) 로크의 「統治論」 = 96
(2) 루소의 「社會契約論」 = 101
3. 近世 中期 = 106
(1) 近世 中期 民主國家體制 = 106
(2) 近世 民主國家의 定着過程 = 106
(3) 三大 市民革命 = 107
4. 近世 後期 = 117
(1) 資本主義의 발전 = 118
(2) 帝國主義 정치이념 = 119
(3) 全體主義 정치이념 = 125
(4) 民族主義 정치이념 = 134
(5) 共産主義 理念의 擴散 = 142
5. 現代 民主國家社會 = 144
(1) 兩次 世界大戰과 民主國家의 擴散 = 144
(2) 現代 民主國家體制의 特徵 = 145
(3) 古代 民主政治와 現代 民主政治의 差異 = 148
제Ⅳ장 民主政治의 本質 = 153
제1절 民主主義의 根本理念 = 155
1. 人間尊重 = 155
2. 自由 = 157
3. 平等 = 160
제2절 現代 民主政治의 基本原理 = 163
1. 代議政治의 原理 = 163
2. 主權在民의 原理 = 165
3. 法治主義의 原理 = 166
4. 權力分立의 原理 = 167
5. 多數決原理 = 168
6. 政黨政治原理 = 170
제Ⅴ장 現代 民主政治의 諸制度 = 171
제1절 政府形態 = 173
1. 議院內閣制 = 173
(1) 議院內閣制의 등장 = 173
(2) 議院內閣制의 정착과정 = 174
(3) 現代 議院內閣制의 特徵 = 175
2. 大統領中心制 = 177
(1) 大統領制의 등장 및 정착과정 = 177
(2) 現代 大統領中心制의 特徵 = 178
(3) 議院內閣制와 大統領中心制의 장·단점 비교 = 178
3. 기타의 정부형태 = 180
제2절 選擧 = 181
1. 選擧의 原則 = 182
2. 選擧區 = 183
(1) 小選擧區制 = 183
(2) 大選擧區制 = 183
(3) 中選擧區制 = 184
3. 當選者 決定方式 = 184
(1) 多數代表制 = 184
(2) 少數代表制 = 185
(3) 比例代表制 = 185
제3절 政黨 = 186
1. 政黨政治의 기원 = 187
2. 政黨制度의 類型 = 188
(1) 一黨制 = 188
(2) 兩黨制 = 189
(3) 多黨制 = 190
3. 政黨의 機能 = 190
(1) 對象別로 본 정당의 기능 = 191
(2) 內容別로 본 정당의 기능 = 191
4. 政黨組織 = 192
5. 政黨制度에 따르는 問題點 = 192
제4절 輿論 = 193
1. 輿論의 定義 = 193
2. 輿論의 形成過程 = 194
(1) 輿論形成에 기여하는 주요 因子 = 194
(2) 輿論의 形成過程 = 195
3. 輿論의 기능 = 196
(1) 政策의 결정과 폐지의 기능 = 196
(2) 각종 社會組織에 대한 牽制機能 = 196
(3) 社會的·道德的 規範의 유지와 형성 기능 = 196
(4) 大衆士氣의 昻揚기능 = 196
4. 輿論의 制約性 = 197
(1) 內在的 制約性 = 197
(2) 外在的 制約性 = 198
제Ⅵ장 現代 民主政治의 問題點 = 199
제1절 民主政治의 外在的 問題點 = 201
1. 經濟的 側面의 문제점 = 201
2. 社會的 側面의 문제점 = 202
제2절 民主政治의 內在的 問題點 = 204
1. 民主政治의 根本理念 : 그 자체의 問題點 = 204
(1) 人間尊重의 한계설정문제 = 204
(2) 自由의 범위설정문제 = 204
(3) 平等의 설정문제 = 205
(4) 自由와 平等의 二律背反性 = 206
2. 現代 民主政治의 基本原理 : 그 자체의 問題點 = 207
(1) 代議政治의 원리 : 그 자체의 문제점 = 207
(2) 國民主權의 문제 = 208
(3) 法治主義의 문제 = 210
(4) 權力分立의 문제 = 210
(5) 多數決原理에 의한 문제 = 211
(6) 政黨政治의 원리에 의한 문제 = 212
(7) 輿論政治의 원리에 의한 문제 = 214
3. 現代 民主政治의 개선방향 = 215
제Ⅶ장 民主主義와 生活 = 217
제1절 民主的 生活樣式 = 220
1. 人間觀 = 222
2. 人間關係의 原理 = 224
(1) 協同과 奉仕의 의미 = 224
(2) 協同과 奉仕가 民主社會에 가지는 가치 = 224
제2절 民主的 人性과 態度 = 226
제3절 民主社會의 特性 = 228
1. 個性을 존중하는 사회 = 228
2. 妥協이 중요시되는 사회 = 228
3. 知性우위의 사회 = 229
4. 指導와 協力의 사회 = 230
(1) 指導者의 역할 = 230
(2) 協力의 정신 = 230
5. 社會的 正義를 위하는 사회 = 231
6. 責任과 秩序의 사회 = 231
7. 進取的인 사회 = 232
參考文獻 = 235
索引 =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