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중국적 사회주의 : 그 승리와 좌절의 역사
1. 사회주의는 실패했는가 = 19
2. 중국 개혁정치의 역사적 배경 : 모택동의 중국적 사회주의 = 22
1) 중국혁명의 두 가지 유산 : 신민주주의와 연안공산주의 = 23
2) 인민민주주의와 사회주의사회의 건설 = 26
3) 대약진운동과 중국적 사회주의의 좌절 = 36
4) 문화대혁명과 중국적 사회주의의 위기 = 42
3. 등소평의 개혁정권 등장과 역사적 노선전환 = 52
1) 화국봉정권에 의한 등소평의 복권 = 53
2) 역사적 노선 전환 = 57
3) 개혁연합세력의 내부적 갈등과 등소평의 중국적 사회주의 = 60
4. 중국의 개혁정치와 중국적 사회주의의 발전과 시련 = 67
1) 타협과 조정의 개혁정치(1979∼1984) = 68
2) 개혁·개방의 심화(1984∼1989) = 73
3) 천안문 민주화운동과 중국적 사회주의의 위기 = 78
5. 기로에 선 중국사회주의 = 84
제2장 이데올로기 : 모택동과 등소평의 맑시즘
1. 모택동사상의 형성과 특징 = 93
1) 모택동사상의 연구동향 = 94
2) 모택동사상의 발전 = 99
3) 모택동사상에 대한 평가 = 117
2. 중국적 사회주의 : 모택동과 등소평의 맑스주의 비교 = 119
1) 중국적 맑스주의의 특징 : 도구주의 = 120
2) 두 개의 중국적 맑스주의 : 그 역사적 기원 = 125
3) 사회주의사회의 건설과 두개의 맑스주의 = 127
4) 중국의 맑스주의는 일탈인가, 창조적 적용인가 = 136
3. 모택동과 등소평의 정계경제학 : 노선투쟁의 동학 = 139
1) 모택동의 정치경제학 = 141
2) 등소평 실용주의노선의 발전전략 = 147
3)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본 중국의 노선투쟁 = 152
4) 노선투쟁과 순환이론 = 160
5) 결론 = 165
제3장 정치제도와 권력구조
1. 등소평시대의 정치제도와 권력구조 개편 = 171
1) 등소평정권과 체제개혁 = 172
2) 당장정과 당기구의 정비 = 186
3) 헌법과 국가기구의 정비 = 197
4) 인사개편과 권력구조의 변화 = 205
5) 강택민체제의 등장과 중국 권력구조의 변화 = 220
6) 중국 정치개혁의 성격과 향후 전망 = 227
2. 중국공산당의 역할 변화 = 229
1) 중국공산당의 노선과 역할인식 = 230
2) 중국혁명과 중국공산당 = 257
3. 중국 정치의 특징 : 파벌주의 사례연구 = 263
1) 중국공산당의 파벌정치 = 263
2) 파벌과 파벌정치의 특징 = 264
3) 중국정치와 상해인맥 = 270
4) 문화혁명과 상해인맥의 진출 = 272
5) 권력투쟁과 상해인맥의 몰락 = 278
6) 등소평시대의 상해와 상해인맥의 재구성 = 282
7) 강택민 총서기의 등장과 새로운 상해인맥의 형성 = 287
8) 강택민 상해인맥의 장래 = 291
제4장 개혁개방의 정치경제학
1. 중국의 개혁과 개방 : 이념과 정책 = 295
1) 사회주의 국가의 개혁과 개방 = 295
2) 중국의 개혁정치 : 배경과 논리 = 296
3) 중국적 사회주의의 구체적 내용 : 경제개혁과 정치개혁 = 299
2. 사회주의 초급단계론과 사회주의 시장경제론 = 307
1) 사회주의 초급단계론을 제기한 배경 = 307
2) 사회주의 발전단계론과 사회주의 초급단계론 = 310
3) 사회주의 초급단계론과 중국적 사회주의 = 316
4) 사회주의 초급단계론의 한계와 문제점 = 320
5) 사회주의적 시장경제론 = 322
3. 중국의 개혁정치와 신권위주의론 = 329
1) '신권위주의론'이란 무엇인가 = 330
2) 신권위주의론에 대한 반론 = 337
3) 등소평의 '중국적 사회주의'와 신권위주의 = 341
4) 신권위주의과 중국의 미래 = 346
4. 중국적 사회주의의 딜레마 : 천안문사건을 중심으로 = 350
1) 천안문사건과 중국사회주의의 딜레마 = 352
2) 천안문사건 이후 중국의 생존전략 = 359
3) 생존과 안정을 위한 전략의 성과와 문제점 = 363
4) 다시 재연되는 보수파와 개혁파의 갈등 = 366
5) 중국적 사회주의는 어디로 = 369
제5장 대외정책
1. 중국의 근대화와 외교정책 = 373
1) 중국정치의 변화와 대외정책 = 373
2) 근대화와 대외정책에 관한 세 가지 시각 = 374
3) 중국 대외정책의 변화 = 377
4) 결론 = 387
2. 모택동시대의 대외정책 : 중·소분쟁의 원인과 현실 = 389
1) 중·소관계와 세계정치 = 389
2) 중·소분쟁에 대한 시각 = 390
3) 전환기에 선 중·소관계 = 391
4) 인민공사와 대만문제 = 394
5) 전인민국가와 수정주의 논쟁 = 397
6) '양대진영론'에서 '세계3분론'으로 = 401
7) 중·소의 상이한 세계관 = 402
3. 등소평시대의 대외정책 : 중·미 관계를 중심으로= 404
1) 미·중 국교정상화의 역학(1972∼1978) = 405
2) 미·중관계의 발전(1979∼1989) = 410
3) 탈냉전 시기 미·중관계의 변화 (1990∼ ) = 416
4) 결론 = 424
4. 동아시아 신질서와 중국위협론의 실체 = 426
1) 탈냉전시대의 동아시아 : 잠재력과 위험성 = 427
2) '중국위협론'의 실상과 허상 = 430
3) 동아시아 신질서와 중국의 역할 = 436
5. 탈냉전이대의 한·중관계 = 438
1) 냉전질서의 이완과 한·중관계의 변화 = 439
2) 탈냉전시대의 한·중관계 : 보완적 측면과 갈등적 측면 = 443
3) '중국위협론'과 한·중관계의 미래를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 448
제6장 중국의 장래
1. 탈사회주의에로의 다양한 길 = 455
1) 체제변혁의 몇 가지 이론적인 문제 = 455
2) 현실 사회주의체제의 특징과 다양한 이행의 유형 = 461
3) 역사적 적합성의 위기와 이행의 다양성 467
4) 아시아 현실 사회주의의 장래 = 481
2. 중국적 사회주의의 미래는 무엇인가 = 485
1) 사회주의 미래에 대한 두 가지 견해 = 485
2) 경제개혁과 정치개혁, 그리고 시민사회 = 486
3) 탈사회주의의 다양한 경로 = 490
4) 중국의 개혁적 리더십과 시민사회 : 민주화운동의 한계 = 494
5) 신권위주의정권의 등장 = 503
3. 등소평 이후 중국정치 전망 : 네 가지 시나리오 = 507
1) 무엇이 문제인가 = 507
2) 등소평시대의 유산 : 경제사회의 변화와 과제 = 509
3) 등소평시대의 유산 : 정치사회의 변화와 과제 = 513
4) 등소평 이후 정치전망 : 4가지 시나리오 = 519
5) 강택민의 신권위주의정권과 중국 = 523
찾아보기 =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