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行政學

行政學 (Loan 10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오석홍
Title Statement
行政學 / 吳錫泓 著.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나남출판 ,   1998.  
Physical Medium
1038 p. ; 25 cm.
Series Statement
나남신서 ; 625
ISBN
8930036252
General Note
색인포함  
000 00587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33508
005 20100806052436
007 ta
008 990406s1998 ulk 001a kor
020 ▼a 8930036252 ▼g 93350 : ▼c \25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18390 ▼l 111118391 ▼l 111118392
082 0 4 ▼a 351 ▼2 21
090 ▼a 351 ▼b 1998a
100 1 ▼a 오석홍 ▼0 AUTH(211009)31757
245 1 0 ▼a 行政學 / ▼d 吳錫泓 著.
260 ▼a 서울 : ▼b 나남출판 , ▼c 1998.
300 ▼a 1038 p. ; ▼c 25 cm.
490 0 0 ▼a 나남신서 ; ▼v 625
500 ▼a 색인포함
950 0 ▼b \25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51 1998a Accession No. 1111183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51 1998a Accession No. 1111183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1998a Accession No. 1111183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오석홍(지은이)

법학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박사,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 서울대학교 교수윤리위원회 위원 한국행정학회 회장‧고문 한국인사행정학회 고문 조직학연구회 고문 한국조직학회 고문 한국거버넌스학회 고문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명예교수 저서 조직이론, 행정학, 한국의 행정, 인사행정론, 전환시대의 한국행정, 통치하기 어려운 나라, 행정개혁실천론(편저), 행정학의 주요이론(편저), 조직학의 주요이론(편저), 정책학의 주요이론(편저), 발전행정론(공저), 국가발전론(공저), 한국행정사(공저), 조직행태론(공저) 등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7
제1장 行政學의 학문적 성격 = 17
 제1절 行政學의 과거와 현재 = 19
  Ⅰ. 학설사 고찰의 준거 = 19
  Ⅱ. 행정학의 출발연대와 시대구분 = 20
  Ⅲ. 고전적 행정학 = 24
  Ⅳ. 신고전적 행정학 = 29
  Ⅴ. 현대의 행정학 = 34
  Ⅵ. 한국에서의 행정학 = 45
 제2절 行政學의 학파 = 51
  Ⅰ. 학파의 레퍼토리 = 51
  Ⅱ. 주요 학파에 대한 설명 = 52
제2장 行政과 그 環境 = 93
 제1절 行政이란 무엇인가? = 95
  Ⅰ. 행정의 의미 = 95
  Ⅱ. 행정과 경영 그리고 정치 = 104
  Ⅲ. 행정체제의 유형 = 114
 제2절 行政의 環境 = 119
  Ⅰ. 행정과 환경의 교호작용 = 119
  Ⅱ. 환경연구의 기초개념과 전제 = 119
  Ⅲ. 행정국가 = 126
  Ⅳ. 산업화사회·정보화사회·포스트모더니즘 = 132
  Ⅴ. 우리 행정의 환경적 조건과 변화추세 = 138
제3장 行政과 價値 = 145
 제1절 행정상의 價値問題 = 147
  Ⅰ. 가치란 무엇인가? = 147
  Ⅱ. 가치의 조정 = 155
  Ⅲ. 가치의 레퍼토리 = 159
 제2절 行政의 文化 = 170
  Ⅰ. 행정문화란 무엇인가? = 170
  Ⅱ. 행정문화의 개혁 = 179
  Ⅲ. 한국의 행정문화 = 183
 제3절 公職倫理 = 194
  Ⅰ. 공직윤리란 무엇인가? = 194
  Ⅱ. 공직윤리 향상방안 = 202
  Ⅲ. 내부고발·공직자재산공개제도 = 206
  Ⅳ. 우리 정부의 공직윤리 = 210
  Ⅴ. 정치적 중립성 = 214
  Ⅵ. 공무원단체 = 219
  Ⅶ. 성희롱(성적 괴롭힘)의 금지 = 227
  Ⅷ. 공직의 부패 = 231
 제4절 행정조직의 目標 = 240
  Ⅰ. 조직목표란 무엇인가? = 240
  Ⅱ. 조직목표의 변동 = 249
  Ⅲ. 조직평가와 목표 = 251
제4장 행정조직의 構造 = 259
 제1절 구조의 요소와 特性指標 = 261
  Ⅰ. 조직과 구조 = 261
  Ⅱ. 구조의 구성요소 = 262
  Ⅲ. 기술 = 273
  Ⅳ. 구조의 특성지표 = 279
 제2절 조직 내의 集團 = 286
  Ⅰ. 집단이란 무엇인가? = 286
  Ⅱ. 집단간의 경쟁 = 292
  Ⅲ. 집단에 의한 문제해결 = 296
 제3절 構造形成의 原理 = 303
  Ⅰ. 구조형성의 원리란 무엇인가? = 303
  Ⅱ. 구조형성의 고전적 원리 = 304
  Ⅲ. 관료제 모형 = 311
  Ⅳ. 탈고전의 구조형성 원리 = 317
  Ⅴ. 조직유형론 = 328
 제4절 우리 정부의 行政機構 = 344
  Ⅰ. 행정기구의 변천 = 344
  Ⅱ. 행정기구의 구성 = 347
  Ⅲ. 중앙행정기구와 지방행정기구의 관계 = 351
  Ⅳ. 공기업 = 355
  Ⅴ. 행정기구 개혁의 방향 = 359
제5장 행정조직의 過程 = 363
 제1절 意思傳達·意思決定 = 365
  Ⅰ. 의사전달 = 365
  Ⅱ. 의사결정 = 378
 제2절 리더십·葛藤管理 = 402
  Ⅰ. 리더십 = 402
  Ⅱ. 갈등관리 = 423
 제3절 管理過程 = 430
  Ⅰ. 관리와 관리이론 = 430
  Ⅱ. 목표관리 = 434
  Ⅲ. 총체적 품질관리 = 437
  Ⅳ. 전략적 관리 = 442
 제4절 政策過程 = 444
  Ⅰ. 정책과정의 연구 : 정책학 = 444
  Ⅱ. 정책이란 무엇인가? = 445
  Ⅲ. 정책과정이란 무엇인가? = 450
  Ⅳ. 정책의제설정 = 464
  Ⅴ. 정책결정 = 468
  Ⅵ. 정책집행 = 483
  Ⅶ. 정책평가 = 489
  Ⅷ. 정책의 변동 = 495
제6장 人事行政 = 501
 제1절 人事行政論 序說 = 503
  Ⅰ. 인사행정이란 무엇인가? = 503
  Ⅱ. 인사행정 유형론 = 506
  Ⅲ. 인사행정의 개혁 = 526
 제2절 職業構造 形成·任用·退職 = 529
  Ⅰ. 직업구조 형성 : 공직의 분류 = 529
  Ⅱ. 임용관리 = 542
  Ⅲ. 퇴직관리 = 569
 제3절 勤務成績評定·敎育訓練·報酬 = 578
  Ⅰ. 근무성적평정 = 578
  Ⅱ. 교육훈련 = 593
  Ⅲ. 보수 = 606
 제4절 動機誘發 = 630
  Ⅰ. 직무수행동기 = 630
  Ⅱ. 동기이론 = 634
  Ⅲ. 동기유발 프로그램 : 사기앙양책 = 656
제7장 財務行政 = 667
 제1절 財務行政論 序說 = 669
  Ⅰ. 재무행정이란 무엇인가? = 669
  Ⅱ. 정부의 예산 = 671
  Ⅲ. 예산과 경제 그리고 정치 = 677
  Ⅳ. 예산과 계획 = 683
  Ⅴ. 우리 정부의 예산관리에 대한 평가 = 688
 제2절 豫算管理의 접근방법 = 694
  Ⅰ. 이른바 '예산이론'에 관하여 = 694
  Ⅱ. 예산관리모형 = 695
 제3절 豫算過程 = 714
  Ⅰ. 예산과정의 활동단계 = 714
  Ⅱ. 세입의 출처 = 729
  Ⅲ. 예산의 종류와 예산내역의 분류 = 732
  Ⅳ. 예산과정의 정치적 역동성 = 741
제8장 行政과 國民 = 753
 제1절 行政과 國民의 관계 = 755
  Ⅰ. 행정에 대한 국민의 위상 = 755
  Ⅱ. 행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불신 = 756
  Ⅲ. 행정정보공개·대민관계관리 = 765
  Ⅳ. 시민참여 = 770
  Ⅴ. 행정규제제도·행정절차제도 = 779
 제2절 행정에 대한 統制 = 787
  Ⅰ. 통제란 무엇인가? = 787
  Ⅱ. 행정통제체제의 구조 = 795
  Ⅲ. 행정통제체제의 한계 = 804
 제3절 民願行政·行政指導 = 808
  Ⅰ. 민원행정 = 808
  Ⅱ. 행정지도 = 820
제9장 行政改革 = 833
 제1절 行政改革 過程論 = 835
  Ⅰ. 행정개혁이란 무엇인가? = 835
  Ⅱ. 행정개혁의 과정 = 841
  Ⅲ. 개혁실패의 원인 = 848
  Ⅳ. '조직발전' = 860
 제2절 行政改革 目標論 = 870
  Ⅰ. 목표상태에 관한 처방모형 = 870
  Ⅱ.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 899
미주 = 909
찾아보기 = 9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