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5
제1장 멕시코 이민의 시대배경
1. 부채노예제의 성격 = 31
2. 멕시코 내의 황화(黃禍, El Peligro Amarillo) = 47
1) 중국 이민 = 52
2) 일본 이민 = 60
제2장 이민 모집 및 송출의 문제점
1. 마이어스의 이민 모집 = 71
2. 멕시코 이민의 불법성 = 82
3. 일본정부의 방해공작 = 89
4. 전대금제도 = 95
5. 실종된 익명의 조선노예 매매사건 = 99
제3장 국내의 구조 손길 실패로 돌아가
1. 참상소식 = 111
2. 국내의 멕시코 동포 구출운동 = 114
3. 상동감리교회 = 132
4. 윤치호의 멕시코행 좌절 = 136
5. 미국 속의 황화론(黃禍論, Yellow Peril) = 145
1) 중국인은 가라(Chinese Must Go!) = 147
2) 일본인은 가라(Japs Must Go!) = 157
3) 집단수용소 격리생활 = 161
제4장 후세들은 이렇게 증언한다
1. 메리다 지역 한인후예들 = 177
1) 마리아 빅토리아 리 가르시아(Maria Victoria Lee Garcia. 1907년생) = 177
2) 앙헬 장(Angel Chans Pech, 1922년생) = 185
3) 이덕순(李德順, Telma Lee de Park, 1920년생) = 190
4) 김춘경(光山 金氏, Rapael Kim)의 2세들 = 197
5) 알리시아 토(Alisia To, Noc - Ac 농장거주, 50대) = 203
6) 공기선의 후예들 = 205
7) 마누엘라 김 유(Manuela Kim Yu, 1933년생) = 208
8) 고희민(高喜民)의 후예들 = 210
9) 아돌포 김 후아레스(Adolfo Kim Juarez, 77세, 2세) = 213
10) 기타 = 214
2. 코앗사 코알코스 지역 한인 후예들 = 225
1) 공인덕(Simon Kong)의 후예들 = 225
2) 카를로스 김 첸헤(Carlos Kim Chenge, 1938년생) = 233
3) 페드로 김(Pedro Kim)의 2세들 = 235
3. 티후아나(Tijuana)의 1세 및 후예 = 242
1) 김흥순(金興順, Juanita Kim, 1세 1885년생) = 242
2) 페드로 디아스 코로나(Pedro Diaz Corona, 1931년생 3세) = 235
4. 멕시코 수도(Mexico D. F.)의 1세와 그 후예들 = 247
1) 김익주(金益周, Joaquin Kim, 1874년생, 1세) = 247
2) 김동필(金東弼, Francisco Kim Peck, 1906년생, 2세) = 254
3) 아벨(Abel Kim Kong, 1940년생, 3세) = 256
4) 최병덕(崔秉德, Jos acutee Sanchez Pac, 1905년생, 2세) = 257
5) 한종원(韓宗原, Jose Hahn, 1.5세) = 262
6) 이순녀(李順汝, Ricardo Lee, 1.5세) = 264
7) 황보 영주(皇甫永周, Juang Poo, 1세) = 269
8) 김수권(金守權, 1세) = 276
제5장 초기 농장생활
1. 에네켄, 그 녹금(綠金)의 땅 = 283
2. 노예로 팔려가 = 291
1) 주거환경 = 297
2) 음식 = 298
3) 농장규모 = 302
4) 어저귀 따기 = 303
5) 농장의 아이들 = 305
6) 탈출, 그리고 첸체 농장의 집단파업 = 306
7) 야스체 농장의 악질 통역 = 308
3. 유카탄의 미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 설립 = 312
4. 숭무학교(崇武學敎) = 318
1) 을사조약 4주년 기념식 = 319
2) 과테말라 용병사건 = 324
제6장 메리다의 한인사회
1. 유랑의 세월, 디아스포라(diaspora) 시기 = 339
1) 하와이로 엑소더스작전 불발탄으로 끝나 = 342
2) 메리다 지방회 산하 각 농장사회의 움직임 = 347
3) 캘리포니아 농장으로 이주계획 = 357
4) 안창호의 멕시코 순방 = 359
5) 3·1만세운동 소식 = 363
2. 1930년대 = 366
3. 진주만 사건 이후 = 371
4. 캄페체와 체투말 지방 = 382
5. 현재 = 385
1) 혈통문제 = 385
2) 종교 = 388
3) 조남환 목사 = 390
4) 미북장로교단 및 한인장로교회 지원 = 395
제7장 제2의 고향을 떠나 뿌리내려
1. 아스텍(Aztec)제국의 고도(古都) = 403
1) 묵경지방회 설립 = 407
2) 1920∼1930년대 = 412
3) 진주만 사건 이후 = 415
2. 코앗사 코알코스(Coatza Coalcos)의 한인사회 = 438
1) 멕시코석유공사(PEMEX) = 439
2) 한인 어부들(Coreano Pescadores) = 445
3. 오학기나지방회 = 454
4. 푸론테라지방회 = 453
5. 기타 지역 = 462
1) 베라크루스 통신소 = 462
2) 탐피코 통신소 = 464
3) 티후아나의 한인사회 = 465
제8장 쿠바로 간 사람들
1. 사탕수수(Sugar Cane)의 나라 = 479
2. 초기 한인사회 = 489
1) 국어교육기관과 청년단체 = 496
2) 종교 = 500
3) 갈데나스와 아바나로 이주 = 502
4) 진주만 사건 이후 = 504
5) 광복 이후 = 511
6) 귀화 및 공산치하 = 518
7) 카스트로의 토지혁명 = 522
8) 쿠바의 한인들 =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