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1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633115 | |
005 | 20100806052139 | |
007 | ta | |
008 | 990401s1998 ulk 000 kor | |
020 | ▼a 8981332754 ▼g 04150 : ▼c \9500 | |
020 | 1 | ▼a 8981331243(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11972 ▼l 111111973 ▼l 111111974 |
082 | 0 4 | ▼a 089.97 ▼2 21 |
090 | ▼a 089.97 ▼b 1997 ▼c 28 | |
100 | 1 | ▼a 장지연 , ▼d 1864-1921 ▼0 AUTH(211009)9493 |
245 | 1 0 | ▼a 조선유교연원 / ▼d 장지연 지음 ; ▼e 조수익 옮김. ▼n 2. |
260 | ▼a 서울 : ▼b 솔 , ▼c 1998. | |
300 | ▼a 307 p. ; ▼c 20 cm. | |
440 | 0 0 | ▼a 나랏말씀 ; ▼v 28 |
500 | ▼a 한자서명은 '朝鮮儒敎淵源'임 | |
700 | 1 | ▼a 조수익 , ▼d 1939- |
740 | ▼a 나랏말쌈, 27 | |
890 | ▼b 490쌈 | |
950 | 0 | ▼b \95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89.97 1997 28 | Accession No. 1111119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89.97 1997 28 | Accession No. 1111119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 Call Number 089.97 1997 28 | Accession No. 11111197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나라 최초의 유교통사인 위암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을 번역했다. 1917년 매일신보에 연재됐던 글을 묶은 이 책은 신라 설총부터 조선후기 주명상까지 2백명에 가까운 스타급 유학자들의 행적을 학문적 계보에 따라 세밀하게 밝혔다.
우리 나라 최초의 유교사인 이 책은 신라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2백여 명에 달하는 유학자들을 학적 연원에 따라 소개하고 있는 글이다. 학설보다는 인물 중심으로 소개하였으며, 사단칠정론이나 인물성동이론과 같이 사상사에 중요한 획을 긋는 이론의 경우 전문을 수록하고 자세하게 다루었다.
당시 학자들이 식민 사관에 젖어 '유교망국론'을 외칠 때, 장지연은 유교의 본지를 밝히며 식민 사관에 정면 대응하고, 유교를 새롭게 인식할 것을 부르짖었다. 주체적인 역사관을 엿볼 수 있는 이 책은 유교사에 대한 선구적인 저술일 뿐만 아니라 한국 유학사 및 사상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일러두기 = 4 6. 조선시대중기 = 11 왕양명전습록변 상王陽明傳習錄辨上 = 11 왕양명전습록변 하王陽明傳習錄辨下 = 15 정제두 鄭齊斗 = 24 허목許穆 = 27 송시열宋時烈 = 28 송준길宋浚吉 = 30 윤선거尹宣擧 = 32 이유태李惟泰 = 32 유계兪啓 = 32 허후許厚 = 33 조임도趙任道 = 33 신열도申悅道 = 34 김응조金應祖 = 35 이후경李厚慶 = 35 이도자李道孜 = 35 윤휴尹휴 = 36 박세당朴世堂 = 47 조익趙翼 = 48 권시權시 = 49 박세채朴世采 = 50 정시한丁時翰 = 51 이현일李鉉逸 = 52 윤증尹拯 = 56 권상하權尙夏 = 60 김창협金昌協 = 61 김창흡金昌翕 = 62 이기홍李箕弘 = 62 이희조李喜朝 = 63 정호鄭澔 = 63 김간金간 = 64 7. 조선시대 후기 = 65 호락학파湖洛學派의 분열 = 65 한원진韓元震 = 69 이간李柬 = 74 이재李縡 = 78 윤봉구尹鳳九 = 86 채지홍蔡之洪 = 96 현상벽玄尙璧 = 96 유숙기兪肅基 = 96 민우수閔遇洙 = 96 권진응權震應 = 97 김근행金謹行 = 97 송능상宋能相 = 98 김한록金漢祿 = 98 박성원朴聖源 = 98 임성주任聖周 = 98 유언집兪彦鏶 = 99 양응수楊應秀 = 99 김명휘金明輝 = 99 김지행金砥行 = 99 박준흠朴峻欽 = 100 김규오金奎五 = 100 정만양鄭萬陽 = 101 이익李瀷 = 102 이익의 「홍범설洪範說」 = 105 후천은 하도를 조종으로 하였다는 설[後天祖河圖說] = 110 이상정李象靖 = 114 이광정李光庭 = 115 이광정李光靖 = 117 최흥원崔興遠 = 117 박손경朴遜慶 = 118 안정복安鼎福 = 119 신후담愼後聃 = 121 김양행金亮行 = 123 송환기宋煥箕 = 123 김이안金履安 = 124 박윤원朴胤源 = 124 심정진沈定鎭 = 124 이우李瑀 = 125 유도원柳道源 = 127 정종로鄭宗魯 = 128 남한조南漢朝 = 128 남경희南景羲 = 129 황덕길黃德吉 = 129 유형원柳馨遠 = 131 정약용丁若鏞 = 137 박지원朴趾源 = 141 홍대용洪大容 = 143 이덕무李德懋 = 144 조유선趙有善 = 145 김헌기金憲基 = 145 선우협鮮于浹 = 146 장세량張世良 = 147 황순승黃順承 = 148 최신崔愼 = 149 이재형李載亨 = 150 한몽린韓夢麟 = 151 이원배李元培 = 152 유여호劉汝豪 = 152 홍이우洪理禹·홍이호洪理鎬 = 154 정개청鄭介淸 = 154 기정진奇正鎭 = 158 홍직필洪直弼 = 180 이항로李恒老 = 184 김평묵金平默 = 204 유중교柳重敎 = 208 유신환兪莘煥 = 212 서응순徐應淳 = 221 경京·가嘉 兩派의 분열 = 225 심정진沈定鎭 = 233 성근묵成近默 = 237 이양연李亮淵 = 238 강필효姜必孝 = 240 박필주朴弼周 = 242 유치명柳致明 = 246 오희상吳熙常 = 266 박윤원朴胤源 = 267 임정주任靖周 = 270 송치규宋穉圭 = 272 위백규魏伯珪 = 275 남용만南龍萬 = 280 남기만南基萬 = 280 황윤석黃胤錫 = 280 김상리金相리 = 281 임종칠林宗七 = 281 윤대순尹大淳 = 282 김낙풍金樂豊 = 282 박명벽朴命璧 = 283 허준許晙 = 283 허보許보 = 284 김상일金相日 = 284 권상일權相一 = 287 이만운李萬運 = 288 유심춘柳尋春 = 289 허전許傳 = 289 송내희宋來熙 = 289 이직보李直輔 = 290 이봉수李鳳秀 = 290 홍석주洪奭周 = 291 김매순金邁淳 = 293 윤종의尹宗儀 = 294 박규수朴珪壽 = 297 주비朱비 = 301 주명상朱明相 = 303 옮긴이의 글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