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룰루랄라 영어발음

룰루랄라 영어발음 (16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황승우 황혜당
서명 / 저자사항
룰루랄라 영어발음 / 황승우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두산동아 ,   1998.  
형태사항
357 p. : 삽도 ; 23 cm.
기타표제
미국인에게 잘 들리고 미국인 말 잘 알아듣는
ISBN
8900075500
일반주기
법명: 황혜당  
000 00754camccc200265 k 4500
001 000000625414
005 20100806042431
007 ta
008 981230s1998 ulka 000a kor
020 ▼a 8900075500 ▼g 03740 : ▼c \95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21037400 ▼f 과개 ▼l 121037401 ▼f 과개 ▼l 111153359 ▼l 111153360 ▼f 개가 ▼l 111153361 ▼f 개가
082 0 4 ▼a 421.52 ▼2 21
085 ▼a 3415 ▼2 KDCP
090 ▼a 421.52 ▼b 1998
100 1 ▼a 황승우 ▼0 AUTH(211009)35928
245 1 0 ▼a 룰루랄라 영어발음 / ▼d 황승우 지음.
246 0 3 ▼a 미국인에게 잘 들리고 미국인 말 잘 알아듣는
260 ▼a 서울 : ▼b 두산동아 , ▼c 1998.
300 ▼a 357 p. : ▼b 삽도 ; ▼c 23 cm.
500 ▼a 법명: 황혜당
700 1 ▼a 황혜당
740 ▼a 영어발음
950 0 ▼b \ 95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111533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111533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11153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210374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21037401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510630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510630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111533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111533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11153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210374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21037401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510630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21.52 1998 등록번호 1510630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황승우(지은이)

속명 황승우. 1939년 전남 해남에서 출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과를 졸업했다.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 종교학과 교환교수, 미국 웨이스체스터대학 철학과 초청교수를 지냈다. 강진 백련사, 장흥 금산사, 지리산 문수암, 백장암, 안성 칠장사, 선암사에서 수행했으며 담양 금타선원을 창건한 바 있다. 지은책으로 <스님 어떻게 영어를 그렇게 잘 하십니까>, <룰루랄라 영어발음>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이책을 쓰는 까닭 = 5

감사의 글 = 7

1. 모음 = 13

 기본모음

  우리말 [이]보다 더 강하고 더 길게 = 21

  우리말 [이]보다 짧을수록 정확 = 22

  우리말 [에]보다 짧으면 짧을수록 정확 = 25

  입을 최대한 벌려라 = 27

  입술과 입 안의 근육을 긴장시켜 [우] = 31

  [우]보다는 [으]에 가깝게 = 33

  '고모'라고 불를때 [모]를 길게 빼는 소리 = 35

  아래턱을 최대한 내려라 = 38

  꼬집혔을때 '아야'나 '악' 비명 지르듯 = 40

  '어머니'의 [어]가 아니라 '커커커…'의 [어]로 = 44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발음 = 46

  우리말 [아]자리에서 [어]라고 발음하라 = 51

 이중모음

  [에]는 분명하고 강하게, [이]는 흐리멍덩하게 살짝 = 57

  [아]에서 [이]로 끝까지 가지 말고 [아에]정도에서 끝내 = 59

  [오]는 힘을 주어 분명하게, [이]는 흐지부지하게 = 61

  [아]에서 시작해 [우]까지 가지 않고 [오]정도에서 끝내 = 62

  턱을 내리고 [오], 턱을 내리면서[우] = 65

  앞에 올때[이]는 강하게 [어]는 짧고 약하게, 미국 영어에서는 혀끝을 살짝 구부려 = 70

  혀끝을 아래 앞니에 대고 우리말 [에]보다 더 벌리면서 [어]는 시늉만 = 73

  [u]는 갑자기 짧고 크게 발음하고 [∂]는 시늉만 = 76

  주음[○]는 우리말[오]보다 강하게, 부음[∂]는 본인만 들리도록 = 78

 삼중모음

  [아에어][아어][아-]로 발음하라 = 82

  power의 경우 [파오어]또는 [파어][파-]로 발음한다 = 89

  주음은 완전하게 부음은 약하게 = 92

2. 자음 = 95

 파열음

  [p] [ㅍ]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강하게 폭발시켜라 = 103

  [b] 우리말[ㅂ]은 무성음, 영어의 [b]는 유성음이다 = 110

  [t] 혀끝을 윗니에 대면 우리말 [ㅌ], 윗잇몸에 대면 영어의 [t] = 114

  [d] 혀끝을 윗니에 대면 우리말[ㄷ], 윗잇몸에 대면 [d] = 124

  [k] 우리말 [ㅋ]은 입 안에서, 영어의 [k]는 목구멍에서 발음한다 = 128

  [g] girl[걸-] 하지 말고 목구멍에서부터 [그얼-]로 발음한다 = 132

 마찰음

  윗니를 아랫입술에 대고 공기를 세차게 내뿜는다 = 135

  바람을 거세게 내몰면서 성대를 낭랑하게 울린다 = 137

  혀끝을 양니 사이에 내고 공기를 세차게 내보낸다 = 142

  공기를 세차게 내뿜으며 성대를 낭랑하게 울린다 = 145

  우리말[ㅅ]보다 바람을 많이 내보낸다 = 150

  우리말[ㅈ]이 아니라 성대를 울리며 [ㅅ]으로 발음한라 = 152

  바람을 아주많이 내뿜으면서 [쉬] = 158

  성대를 울리며 [∫]로 발음한다 = 162

  입을 1㎝정도 벌리고 혀끝을 꼬부린다 = 165

  목청 가다듬을 때 내는 [흠흠]의 [ㅎ]으로 발음한다 = 174

 파찰음

  혀끝을 윗니에서 2㎝뒤에 대고 [ㅊ] 을 발음한다 = 182

  혀끝을 윗니에서 2㎝뒤에 대고 [ㅈ] 보다 거세게 발음한다 = 185

  [t]의 조음점에서 혀를 천천히 떼며 [s]를 발음한다 = 187

  [d]의 조음점에서 [z]을 발음한다 = 189

  혀끝을 윗니에서 1㎝ 떨어진 곳에 대고 [tr∂ tr∂추러추러] = 191

  혀끝을 윗니에서 1㎝ 떨어진 곳에 대고 양 입술을 조금 내밀어라 = 195

 설측음

  '랄랄라' 할 때처럼 혀끝을 윗잇몸에 단단히 대었다가 떼어야 한다 = 198

 비음

  심한 코맹맹이 소리로 발음한다 = 205

  힘을 주어 코를 충분히 울려야 한다 = 208

  우리말 [ㅇ]과 같지만 좀더 울림이 커야한다 = 215

 반모음

  입술을 쭉 내밀고 힘을 주되 바늘귀만큼 좁게 벌린다 = 220

  입 안을 긴장시켜 다부지게 발음한다 = 224

3. ○ = 231

 모음의 길이

  seed[씨-드]를 seet[씨-트]보다 더 길게 발음한다 = 234

  king[ki○킹]을 kid[kid키드]보다 더 길게 발음한다 = 235

  장모음으로 끝날 때 가장 길게 발음된다 = 235

  강세가 있을 때의 모음은 강세가 없을 때보다 더 길다 = 236

  lead[li: d]의 [i: ]가 leader[li: d∂]의 [i: ]보다 더 길게 발음된다 = 237

  같은 단어일지라도 문장에서 강세를 받는 단어가 더 길게 발음된다 = 238

 자음의 길이

  sin[sin]과 seen[si: n]에서 sin의[n]이 더 길다 = 240

  wind[wind]와 hint[hint]에서 wind의 [n]이 더 길다 = 240

 소리의 이동

  lamp post는 [램프 포우스트]가 아니라 [램 포우스트]로 발음한다 = 241

  plant tree는 [플랜트 트리]가 아니라 [플랜 츄리]로 발음한다 = 243

  keep standing은 [키프 스탠딩]이 아니라 [킵 스탠딩] = 243

  이런경우는 앞뒤의 발음을 다 해야한다 = 243

  한국인이 잘못하는 발음 = 244

  모음에서 모음으로 이동할때 = 248

 동화

  뒤의 소리가 앞의 소리를 닮는다(전진동화) = 257

  앞의 소리가 뒤의 소리를 닮는다(후진동화) = 260

  앞뒤의 소리가 서로 닮는다(상호동화) = 263

  유성음이 무성음이 되고 무성음이 유성음이 된다(유무성동화) = 266

  조음점 때문에 발음이 같아진다(조음점동화) = 269

  비음(m, n)때문에 앞뒤 소리가 비음(m, n)이 된다(비음화) = 270

  한 소리가 다른 소리와 완전히 같아진다(완전동화) = 272

  한 소리가 다른 소리와 일부만 같아진다(부분동화) = 272

  동화된 발음이 완전히 인정된것(확정동화) = 273

  동화된 발음이 확정된것은 아니지만 임시로 인정받고 있는것(임시동화) = 273

 이화

  [∂r]이 [∂]가 되는 경우 = 275

  [r]이 없어지는 경우 = 275

  [n]이 다음에[m]때문에 없어지는 경우 = 276

  앞의 [∂]가 다음에 오는 [∂]때문에 없어지는 경우 = 276

 탈락

  역사적 탈락 = 278

  문맥상 탈락 = 278

 첨가

  침입음[p](살짝 발음하라) = 283

  침입음[k](살짝 발음하라) = 283

  침입음[t]([n]다음에 [s]가 올때 [t]가 침입한다) = 283

  침입음[d]([n]다음에 [z]가 올때 [d]가 침입한다) = 284

  침입음[r] = 284

  침입음[∂] = 285

  잉여음[w] = 285

  잉여음[j] = 286

  연결음[r] = 286

4. ○ = 289

 낱말강세

  2음절 이상의 기본적인 낱말의 강세 = 294

  강세가 달라지면서 의미와 발음이 달라지는 낱말 = 311

  다음절어(多音節語)에 있어서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의 발음 차이 = 314

  접미어의 강세 = 315

  접두어의 강세 = 318

 두 낱말의 강세

  명사+명사 = 321

  형용사+명사 = 321

  명사+동사 = 324

  동사+명사 = 325

  동사+형용사 = 325

  동사+부사 = 326

  조동사+본동사 = 327

  부사+형용사 = 327

  부사+형용사+명사 = 328

  전치사+명사 = 329

  '동사+부사'가 합성명사가 될 때와 부사가 동사를 수식할 경우 = 329

  동사+전치사 = 330

  '동사+부사'가 동사구가 될때 = 331

  '현재분사+명사'와 '동명사+명사'의 강세비교 = 332

  'be동사+현재분사+명사'와 'be동사+동명사+명사'의 구별 = 332

  진행형 문장 = 334

  '동명사+명사'로 합성어의 문장 = 336

 문장강세

  기능어일지라도 강세를 받는 경우 = 338

  내용어일지라도 약한 강세를 받는 경우 = 351

 강세의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