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왕조사. 1 , 건국에서 현종까지

조선왕조사. 1 , 건국에서 현종까지 (35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성무, 李成茂, 1937-2018
서명 / 저자사항
조선왕조사 / 이성무 지음. 1 , 건국에서 현종까지.
발행사항
서울 :   동방미디어,   1998.  
형태사항
622p. : 삽도,도판 ; 23cm.
ISBN
8986448742(세트) 8986448726 :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00625039
005 20230901154722
007 ta
008 981228s1998 ulkaf 000a kor
020 1 ▼a 8986448742(세트)
020 ▼a 8986448726 : ▼c \25000 ▼g 049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17642 ▼l 111117643 ▼l 111117644 ▼l 192031597
082 0 4 ▼a 953.05
090 ▼a 953.05 ▼b 1998i ▼c 1
100 1 ▼a 이성무, ▼g 李成茂, ▼d 1937-2018 ▼0 AUTH(211009)84978
245 1 0 ▼a 조선왕조사 / ▼d 이성무 지음. ▼n 1 , ▼p 건국에서 현종까지.
260 ▼a 서울 : ▼b 동방미디어, ▼c 1998.
300 ▼a 622p. : ▼b 삽도,도판 ; ▼c 23cm.
950 0 ▼b \25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111176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111176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410060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92031597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111176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510648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111176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111176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410060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92031597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111176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 1998i 1 등록번호 1510648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개국전야 = 73
 위화도 회군 : 이성계,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다 = 73
 요동정벌 : 무엇을 얻고자 하는 전쟁이었나 = 75
 위화도 회군의 결과는 = 81
 4불가론과 붉은 무덤 = 84
 사전개혁 : 나라를 세우기에 앞서 경제문제를 해결하라 = 88
 고려의 마지막 충신, 정몽주와 그의 죽음 = 91
제2장 [태조조] 창업의 혼란기 = 97
 고려의 무장 이성계, 조선을 창업하다 = 97
 이성계는 어떤 인물인가 = 99
 3대 건국 이념 : 숭유억불·중농주의·사대교린 = 106
 국호의 제정, 조선이냐 화령이냐 = 111
 신생국 조선의 개국공신 = 113
 역성혁명 : 구세력 왕씨의 제거 = 117
 한양천도 :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 124
 태조의 불교정책 : 불교의 힘을 빌려서라도 = 131
 태조와 불교계를 이어주었던 승려, 무학 = 136
 제1차 왕자의 난 = 143
 조선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 147
제3장 [정종조] 혼란의 시기 = 157
 결코 유약하지 않던 왕, 정종의 즉위 = 157
 이방원 드디어 옥좌의 교두보를 확보하다-제2차 왕자의 난과 사병혁파 = 161
제4장 [태종조] 창업에서 수성으로 = 167
 시대의 악역을 떠맡은 왕, 태종 = 167
 부자혈전 : 조사의 난 = 170
 왕조의 주인은 왕이다 : 재상중심제에서 육조직계제로 = 177
 명나라와의 외교정상화 : 고명과 금인을 접수하다 = 180
 폐세자 양녕대군 : 수성을 위해서는 세자도 교체한다 = 183
 태종의 외척제거 = 186
 태종의 불교정책 : 국가공인 사찰을 242곳만 남겨라 = 191
 세종 6년, 불교 교단을 선종과 교종으로 통합하다 = 196
 승려 기화, 유교와 불교가 같음을 주장하다 = 198
제5장 [세종조] 해동의 요순시대 = 203
 조선시대 최고의 인물, 세종 = 203
 집현전의 설치 : 내 신하는 내 손으로 = 208
 4군 6진의 개척 : 국토를 지키자! 영토를 넓히자! = 211
 세종조의 황금문화 : 훈밈정음의 창제 = 215
 세종대의 과학기술 = 224
 세종조의 서적찬술 : 문화의 꽃을 피우다 = 229
제6장 [문종조] 혼란의 배태기 = 239
 어린 아들에게 무거운 짐을 남긴 문종 = 239
 군 통수체계를 완성하다 : 진법과 중앙군사조직의 완성 = 243
제7장 [단종조] 왕조의 시련기 = 251
 쿠데타의 어린 희생자, 단종 = 251
 계유정난 : 세조공신들의 등장 = 254
 이정옥의 난 : 은인의 원수와 같은 하늘 아래 살 수 없다 = 260
제8장 [세조조] 훈구파의 형성기 = 265
 철권통치자, 세조 = 265
 사육신과 생육신 :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다 = 269
 금성대군의 단종 복위운동 : 나의 임금은 영월에 계신다 = 275
 노산군의 영원유폐 : 고운님 여의옵고 = 278
 이시애 난 : 동북면, 역사의 중심에서 사라지다 = 282
 불교를 보호했던 세조 = 288
제9장 [예종조] 탁월했지만 짧은 삶 = 297
 민수의 사옥(史獄) = 300
 남이의 옥 : 스무살에 나라를 평정치 못하면 남자가 아니다? = 302
제10장 [성종조] 경국대전의 완성 = 309
 조선왕조의 체제를 완성한 성종 = 309
 조선시대의 헌법, 『경국대전』 = 303
 양반과 문치주의 = 317
 폐비 윤씨 : 왕도 이혼한다 = 321
 정희왕후 : 조선시대 최초의 수렴청정 = 324
 향촌자치제의 발달 : 중앙에서 이기려면 지방을 장악하라 = 328
 사림의 성장 : 역사의 대세 = 331
제11장 [연산조] 사림의 시련기 = 337
 절대왕권을 추구한 임금, 연산군 = 337
 두 차례의 사화 : 무오·갑자사화 = 344
 무오사화 : 직필은 화란으로 이어지고 = 346
 갑자사화 : 거듭되는 사림의 수난 = 349
제12장 [중종조] 훈신과 사림의 대결 = 355
 중종반정,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다 = 355
 반정전야 = 356
 반정 3인방 : 박원종·성희안·유순정 = 359
 폐비 신씨, 폐위에서 복위까지 = 362
 조광조의 개혁정치 : 도학의 이름으로 = 365
 도학정치의 조건들 = 367
 조광조와 그 동지들의 정치적 실적 = 370
 기묘사화 : 도학정치의 좌절 = 377
 조선의 국보위(國保委), 비변사 = 383
 3포왜란 = 389
제13장 [인종조] 짧았던 8개월의 치세 = 393
 하늘이 낸 효자, 인종 = 393
 효성스런 임금 = 395
 대윤과 소윤의 굴레 : 짧았지만 다난했던 치세 = 397
 아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 400
제14장 [명종조] 권신정치의 전형 = 403
 외척세력의 틈바구니에서 = 403
 을사사화 : 외척의 주도권 쟁탈전 = 406
 부활되는 불교 그리고 보우 = 413
 민란시대의 의적, 임꺽정 = 420
 문정왕후의 죽음과 윤원형의 몰락 = 425
 사림의 본거지, 서원의 출현 = 428
제15장 [선조조] 사림의 성장과 사림정치 = 433
 사림시대의 군주, 선조 = 433
 사림정치 시대의 개막 = 437
 이준경의 유언, 붕당의 예고 = 442
 동서분당 : 300년 당쟁의 원류 = 445
 정여립과 기축옥사 : 풀리지 않는 의문의 사건 = 451
 200년 숙원, 종계변무(宗系辨誣) = 458
 16세기 후반 동아시아의 정세 = 462
 임진왜란 : 조선왕조 최대의 국난 = 466
 분열하는 사람들, 남북분당 = 482
 북인의 분열, 대북과 소북의 각립 = 488
 사림 5현의 문묘종사 = 490
제16장 [광해조] 북인의 시대 = 497
 왕으로 인정받기까지의 고단했던 여정 = 497
 정인홍의 회퇴변척(晦退辨斥) = 503
 영남의 친북인세력, 조목이 도산서원에 배향되다 = 511
 계속되는 옥사 : 왕권강화를 위해 형제들도 죽일 수 있다 = 516
 광해군의 등거리 외교 : 형세를 보아 향배를 정하라 = 529
 대동법의 시행 = 533
제17장 [인조조] 서인시대의 개막 = 537
 인조반정 : 능양군과 서인의 무력정변 = 537
 이괄의 난 :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 544
 원종추숭(元宗追崇) : 효심의 발로인가 정통성 확보인가 = 550
 김장생의 후계자들 : '호서산림'의 출현 = 556
 병자호란 : 찢긴 조선의 자존심 = 559
 삼전비문 : 굴욕의 역사와 배은의 흔단 = 569
 강빈옥사 = 577
제18장 [효종조] 북벌의 국시화 = 585
 와신상담의 군주, 효종 = 585
 경향(京鄕)의 충돌, 산당과 한당의 대립 = 591
 북벌 : 숭명배청과 복수설치 = 595
제19장 [현종조] 예송의 시대 = 607
 허약한 군주, 현종 = 607
 기해예송 : 효종은 장자인가, 차자인가 = 611
 갑인예송 : 복제를 이정하다 = 617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