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민주주의와 지방자치 : '98년 6ㆍ4 지방선거 분석

한국민주주의와 지방자치 : '98년 6ㆍ4 지방선거 분석 (Loan 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병섭
Corporate Author
한국정당정치연구소
Title Statement
한국민주주의와 지방자치 : '98년 6ㆍ4 지방선거 분석 / 박병섭 외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문원 ,   1998.  
Physical Medium
352 p. : 삽도 ; 23 cm.
Series Statement
연구기획시리즈 ; 1
ISBN
898507339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포함
000 00897camccc200301 k 4500
001 000000622574
005 20100806035434
007 ta
008 981215s1998 ulka 000a kor
020 ▼a 8985073397 ▼g 9334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21037022 ▼f 과개 ▼l 121037023 ▼f 과개
082 0 4 ▼a 324.953
085 ▼a 6250 ▼2 KDCP
090 ▼a 324.953 ▼b 1998
245 0 0 ▼a 한국민주주의와 지방자치 : ▼b '98년 6ㆍ4 지방선거 분석 / ▼d 박병섭 외지음.
260 ▼a 서울 : ▼b 문원 , ▼c 1998.
300 ▼a 352 p. : ▼b 삽도 ; ▼c 23 cm.
490 0 0 ▼a 연구기획시리즈 ; ▼v 1
490 0 0 ▼a 한국정당정치연구소 연구기획시리즈 ; ▼v 1
504 ▼a 참고문헌 포함
700 1 ▼a 박병섭 ▼0 AUTH(211009)39425
710 ▼a 한국정당정치연구소
740 ▼a 구십팔년 육사 지방선거 분석
740 ▼a 지방선거
830 0 ▼a 연구기획시리즈(한국정당정치연구소) ▼v 1
950 0 ▼b ₩120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111207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111207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111207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3(Eastern Books)/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210370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510647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510647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111207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111207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111207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3(Eastern Books)/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210370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510647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953 1998 Accession No. 1510647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 나라 정치의 선진 민주화를 지향하는 연구와 실천의 길잡이 역을 자임하는 정치학계 소장학자들이 모여 만든 '한국민주주의와 지방자치'는 전문 연구자 16명이 지방선거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정치학 연구의 지평을 더욱 확대시켰다.

단순 통계분석으로 정리되기 쉬운 주제를 각 내용별로 나누어 이론 분야와 선거결과 분석 그리고 구체적 사례분석까지 포괄함으로써 지방선거 연구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였다. 이 책은 제1부 '한국의 정치발전과 지방자치', 제2부 '6·4지방선거의 전개와 결과', 제3부 '6·4지방선거과정 사례분석' 등 3부로 구성되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병섭(지은이)

일본 竹島=독도연구넷 대표 (저서) 『안용복사건에 대한 검증』, 『한말 울릉도·독도 어업』, 『독도=다케시마 논쟁』(공저) 등 (논문) 「근대기 독도의 영유권 문제」, 「러일전쟁과 독도의 가치」, 「일본인의 제3차 울릉도 침입」, 「시모조 마사오의 논설을 분석하다」 외 다수

조희연(지은이)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정대화(지은이)

롱아일랜드 대학교 정치학 석사,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교수와 U.N. 관리(외교관)를 역임했고, 하와이 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초빙교수, 고등고시 위원 등을 지냈다. 현재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부 한국의 정치발전과 지방자치

 제1장 한국의 민주주의와 지방자치 / 정영국

  1. 문제의 제기 = 15

  2. 지방자치 실시의 '한국적 논리' = 16

  3. 한국 지방자치에 대한 반성 = 21

  4. 결론 : 지방정치 민주화를 위한 지역주민운동을 = 25

 제2장 선거법 개정과정 / 박병섭

  1. 선거법 개정의 배경 = 31

  2. 개정과정 = 32

  3. 개정과정의 문제점 = 40

 제3장 6·4 지방선거의 정치동학 / 조희연

  1. 한국정치의 지역주의적 구도와 그 변동 = 46

  2. 6·4 지방선거의 의미 = 51

  3. 지역주의적 정치구조의 변화 전망 = 59

제2부 6·4 지방선거의 전개와 결과

 제1장 6·4 지방선거의 결과 분석 / 황아란

  1. 선거구 분석 = 72

  2. 정당공천 분석 = 76

  3. 투표율 분석 = 80

  4. 당선 및 득표율 분석 = 85

  5. 당선자 분석 = 96

  6. 요약 및 시사점 = 100

 제2장 6·4 지방선거와 한국의 정치균열 / 박상병

  1. 글을 시작하며 = 105

  2. 한국정치와 지역균열구조 = 107

  3. 6·4 지방선거와 예측된 선거결과 = 109

  4. 중앙정치에 의해 왜곡되는 한국의 지방정치 = 117

  5. 결론에 대신하여 : 지금은 정치개혁의 큰 그림을 그려야 할 때 = 119

 제3장 시민·사회(운동)단체의 지방선거 참여 과정과 결과 / 조현연

  1. 시민·사회단체의 선거 참여와 개정 선거법 = 123

  2. 노동진영을 제외한 시민·사회단체의 선거운동과 결과 = 125

  3. 노동진영의 선거 참여 과정과 결과 = 128

  4. 선거결과와 노동진영 : 특징과 평가 = 133

  5. 6·4 선거가 민주진보진영에게 주는 교훈 = 139

  6. 긴 여행을 준비하며 = 143

 제4장 6·4 지방선거에서 미디어정치 평가 / 황근

  1. 머리말 = 146

  2. 지방자치선거에서 미디어정치를 제약하는 환경적 요인들 = 149

  3. 6·4 지방선거에서의 선거보도의 실상과 문제점 = 152

  4. 맺는 말 : 지방자치선거에서의 미디어정치의 지향점 = 169

 제5장 6·4 지방선거 평가 / 정기영

  1. 지방자치의 주인은 주민 = 171

  2. 주민으로부터 외면당한 선거 = 172

  3. 지역분할식 후보공천 = 176

  4. 쟁점 없는 선거과정 = 180

  5. 국민을 패자로 만든 지역주의의 승리 = 183

  6. 주민참여에 의한 생활자치 필요 = 187

제3부 6·4 지방선거과정 사례분석

 제1장 6·4 서울시장 선거 분석 / 김형준

  1. 서론 = 193

  2. 선거과정 분석 모형 = 195

  3. 서울시장 선거과정 분석 = 200

   1) 선거과정 = 200

   2) 유권자 투표행태 = 205

   3) 선거전략 및 공약 분석 = 214

   4) 야당후보 패인 분석 = 224

  4. 결론 = 230

 제2장 경기도지사 선거결과에 관한 실증적 분석 / 정대화

  1. 경기지역의 역사적, 지정학적 형성 = 236

  2. 선거결과분석 = 237

  3. 경기지역 유권자 특성 = 243

  4. 선거전략과 지지율 변화추이 = 247

  5. 평가와 결론 = 253

 제3장 서울시 강동구청장 선거 분석 / 배기찬

  1. 강동구의 정치적 특성 = 256

  2. 각 후보의 인물 및 공약 분석 = 259

  3. 선거운동과정 분석 = 263

  4. 선거결과 분석 및 평가 = 269

 제4장 춘천시장 선거 분석 / 신광영

  1. 머리말 = 272

  2. 춘천 지역사회와 지역정치의 특징 = 273

  3. 각 당 후보 선정 과정 = 278

  4. 중앙당의 과다 개입과 실종된 지방선거 = 281

  5. 선거과정과 선거결과 = 283

  6. 결론 = 287

 제5장 안성시장 선거 분석 / 김혁

  1. 머리말 = 289

  2. 연구대상 지역의 특성 = 290

  3. 최근 각종 선거결과 = 292

  4. 6·4 지방선거 경쟁구도 및 주요 쟁점 = 298

  5. 각 후보진영의 기본 선거전략과 선거과정 변화추이 = 300

  6. 선거결과 분석과 의미 = 303

  7. 결론 = 307

 제6장 98년 광역의회 의원 선거 분석 / 안성호

  1. 충북지역의 정치사회적 특성 = 311

  2. 충북의 역대 선거 분석 = 316

  3. 6·4 지방선거 = 323

  4. 결론 = 328

 제7장 안양시 의회 선거 분석 / 손혁재

  1. 머리말 = 332

  2. 안양시의 정치 성향 = 334

  3. 역대 안양시 의회 선거 = 336

  4. 6·4 지방선거 = 341

  5. 맺는 말 = 348

집필자 소개 = 35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이재명 후보비서실. 메시지팀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