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16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진우, 편
서명 / 저자사항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 이진우 엮음
발행사항
서울 :   文藝出版社,   1996  
형태사항
294 p. ; 23 cm
ISBN
8931002920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0622424
005 20160722090802
007 ta
008 981214s1996 ulk 000c kor
020 ▼a 8931002920 ▼g 031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17123 ▼l 111117124 ▼l 111117125
082 0 4 ▼a 301.01 ▼2 21
085 ▼a 301.01 ▼2 DDCK
090 ▼a 301.01 ▼b 1996
245 0 0 ▼a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 ▼d 이진우 엮음
260 ▼a 서울 : ▼b 文藝出版社, ▼c 1996
300 ▼a 294 p. ; ▼c 23 cm
700 1 ▼a 이진우, ▼e▼0 AUTH(211009)126468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111171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111171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111171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510307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510307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111171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111171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111171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510307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청구기호 301.01 1996 등록번호 1510307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996년 계명대 철학연구소가 주최한 「하버마스의 사상적 지평」을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발표된 연구논문 9편을 한데 묶은 책. 초기의 사회이론으로부터 의사소통적 행위이론을 거쳐 규범적 담론으로 발전한 하버마스 사상의 발전과정을 세 단계로 접근하고 있다. 울산대 권용혁 교수, 한남대 김득룡 교수, 계명대 김용일 이진우 한자경 등 철학자 9명이 하버마스 비판이론의 세 축인 비판성 합리성 규범성 측면에서 집중조명, 문제점과 한계를 살펴보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진우(지은이)

연세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독일 아우크스부르크대학교에서 철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와 동 대학 총장, 포스텍 교수, 한국니체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포스텍 명예교수이다. 지은 책으로 《불공정사회》, 《의심의 철학》, 《인생에 한번은 차라투스트라》, 《니체의 인생 강의》, 《한나 아렌트의 정치 강의》, 《지상으로 내려온 철학》,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정치철학》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와 《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과 《전체주의의 기원》(공역)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들어가는 말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 이진우 = 7

제 Ⅰ부

 1. 하버마스의 비판적 해석학 / 김용일 = 21

  1) 비판적 해석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 21

  2) 삶의 해석학과 비판 해석학 = 25

  3) 심층심리학과 비판적 해석학 = 38

 2.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 한자경 = 55

  1) 새로운 합리성의 모색 = 55

  2) 의사소통적 합리성 = 58

   (1) 도구적 행위와 의사소통적 행위의 구분 = 58

   (2) 대상영역과 상호주관성영역: 발화행위와 발화수반행위 = 62

  3) 의사소통적 합리성과 생활세계 = 66

   (1) 논증의 일반적 구조 = 66

   (2) 논증이 의존하는 언어체계와 생활세계 = 68

   (3) 진리(사실)와 객관성(대상)의 구분 = 70

  4)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보편성 = 74

   (1) 상호작용과 담론의 구분 = 74

   (2) 합리성의 기준: 담론에의 개방성과 도식의 세분화 = 75

  5) 비판적 검토 = 79

 3. 하버마스의 담론이론과 진리이념 / 백승균 = 83

  1) 담론이론의 바탕으로서 하버마스의 철학 = 83

   (1) 하버마스와 비판이론 = 83

   (2) 하버마스의 철학하는 방법 = 86

   (3) 해방으로서 비판적 학문이론 = 89

  2) 하버마스 담론이론의 수행방식 = 92

   (1) 대화와 담론 = 92

   (2) 담론과 상호소통적 능력이론 = 96

   (3) 언어행위의 이론 = 99

  3) 하버마스 담론이론의 철학적 진리성 = 103

   (1) 담론이론 일반 = 103

   (2) 담론의 논리학 = 105

   (3) 이상적 언어상황론 = 110

   (4) 결론적 고찰 = 114

제 Ⅱ부

 4. 하버마스에서 공론 영역의 양면성 / 김재현 = 119

  1) 들어가는 말 = 119

  2) 공론영역의 개념과 역사적 전개 = 120

  3) 부르주아적 공론의 '이념'과 '이데올로기' = 124

  4) 부르주아적 공론영역의 몰락: 사회적 구조변화와 정치적 기능변화 = 128

  5) 생활세계의 식민지화와 공론영역의 양면성 = 132

  6) 시민사회와 다양한 자율적 공론영역들 = 139

  7) 맺는말 = 146

 5. 비판적 사회이론의 방법론적 전략 / 한승완 = 151

  1) 자연과학과 정신 / 문화과학의 이원론 = 151

  2) "이중적 해석학"과 객관성의 문제 = 156

  3) 생활세계와 체계의 이단계적 사회관 = 163

  4) 비판적 평가 = 171

 6. 급진민주주의의 규범적 토대 / 이진우 = 177

  1) '국가 이후'의 정치적 연합은 가능한가 = 177

  2) 현대사회의 탈형이상학적 조건: 실천이성에서 의사소통적 이성으로 = 182

  3) 정치적 자율의 역동적 구조: 인권과 주권 = 189

  4) 급진민주주의의 담론이론: 법과 정치적 권력의 내면적 관계 = 195

  5) 공론영역의 규범적 성격과 민주주의적 정치문화 = 202

제 Ⅲ부

 7. 담론이론의 사회철학 / 윤평중 = 209

  1) 언어와 담론 = 209

  2) 이성주의의 언어적 전회 = 212

  3) 담론이론의 유물론 = 221

  4) 맺는말 = 231

 8. 개체성립과 탈형이상학 / 김득룡 = 233

  1) 들어가는 말 = 233

  2) '사회화를 통한 개체성립': 미드와 하버마스 = 234

  3-1) 개체성립의 사적(私的)계기: 자아의 사적 영역 = 248

  3-2) 사적 영역과 형이상학 = 257

  3-3) 하버마스의 '탈형이상학'의 문제점 = 262

 9. 하버마스와 한국 / 권용혁 = 271

  1) 들어가는 말 = 271

  2) 시민사회론 = 273

   (1) 국가와 시민사회: 서유럽 = 273

   (2) 국가와 시민사회: 한국 = 278

  3)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 282

   (1) 체계와 생활세계 = 282

   (2) 시민운동의 위상 = 286

  4) 맺는 말 = 290

필자소개 = 29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