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93c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0622407 | |
005 | 20100806035117 | |
007 | ta | |
008 | 981214s1998 ulk AR 001a kor | |
020 | ▼a 8973003356 ▼g 93230 : ▼c \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117100 ▼l 111117101 ▼l 111117102 |
082 | 0 4 | ▼a 270.1 ▼2 21 |
090 | ▼a 270.1 ▼b 1998 | |
100 | 1 | ▼a Heine, Susanne ▼0 AUTH(211009)39253 |
245 | 1 0 | ▼a 초기 기독교 세계의 여성들 : ▼b 여성 신학에 대한 역사적 성찰 / ▼d 수잔네 하이네 지음 ; ▼e 정미현 옮김. |
246 | 1 9 | ▼a Frauen der fruhen Christenheit : Zur historischen Kritik einer feministischen Theologie |
260 | ▼a 서울 : ▼b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c 1998. | |
300 | ▼a 247 p. ; ▼c 23 cm. | |
500 | ▼a 색인포함 | |
700 | 1 | ▼a 정미현 ▼0 AUTH(211009)22836 |
950 | 0 | ▼b \8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1 1998 | 등록번호 1111171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1 1998 | 등록번호 1111171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270.1 1998 | 등록번호 111117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1 1998 | 등록번호 1111171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1 1998 | 등록번호 1111171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270.1 1998 | 등록번호 111117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수잔네 하이네(지은이)
1942년 프라하에서 출생 빈과 본대학에서 개신교 신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신약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종교교육학으로 교수자격시험 논문에 통과했다. 세계 교회협의회 신앙과 직제위원회워원, 세게종교교육협회 유럽연합회 회장, 스위스 기독교와 유태교 연합회 임원, 지그문트 프로이트 학회 위원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며, 2007년 현재 빈대학 신학부 교수, 빈 종교교육연구소 소자으로 재직중이다. 지은책으로 <신약성서교육>,<살아있는 신앙>,<근대의 위기 속의 유럽>,<되살아난 여신들>, <초기 기독교 세계의 여성들> 등이 있다.
정미현(옮긴이)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독문학과와 동대학원 기독교학과(조직신학 석사)를 졸업하고 스위스 바젤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 하나의 여성 신학 이야기』, 『체코 신학의 지형도』, 『릴리어스 호튼 언더우드』, Liberation and Reconciliation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집필했으며,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얼마나 알고 계셨나요?』, 『기본소득, 새로운 삶의 형태를 위한 제안』 등을 번역·출간하였다.

목차
목차 옮긴이의 말 = 7 머리말 : 절규, 그리고 그 이후 = 12 1. 역사의 이중성 = 31 이브가 모든 죄의 근원인가? = 31 방법의 적용에 대하여 = 40 모순의 장애물 = 46 테르툴리아누스의 예 = 52 2. 여성 신학적 관심 = 61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에 대한 시각 = 61 관심과 그 효력에 대하여 = 68 잊혀진 여성들의 회귀 = 74 여성 신학의 지양에 이르기까지 = 83 3. 예수를 따르는 삶 = 90 예수 - 여성 신학적 이상형의 남자 = 91 삶과 연관됨의 의미 = 96 여성들의 '봉사' = 103 '사랑'이냐 금욕이냐? = 111 4. 십자가의 발자취 = 119 사회적·정치적 삶의 전제들 = 119 경건을 향한 용기 = 124 에수 전통에서의 여성들 = 130 5. 희생양 바울 = 134 리디아와 하나님을 공경하는 자들 = 135 여성들, 임무와 직분 = 140 전환점 = 149 모순 가운데 있는 바울 = 154 현실적 금욕주의자 = 159 6. 유출과 결합 : 영지주의 = 169 '더 나은' 기독교인들을 찾아서 = 172 남녀 양성적 하나님? = 182 타락한 소피아 = 188 동기의 선택에 관하여 = 194 7. 제3세대의 갈등 = 199 선택받은 사람들의 금욕 = 199 "그는 그녀의 입에 입을 맞추었다..." = 205 여성들과 이단 = 209 개혁의 진행 = 216 사회적 변증법에 대하여 = 226 맺는말 : 성령의 불 = 235 찾아보기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