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54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622352 | |
005 | 20100806034958 | |
007 | ta | |
008 | 981214s1998 ulk 001a kor | |
020 | ▼a 893100334X ▼g 03800 : ▼c \15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16965 ▼l 111116966 ▼l 111116967 |
082 | 0 4 | ▼a 808.3 ▼2 21 |
090 | ▼a 808.3 ▼b 1998f | |
100 | 1 | ▼a 나병철 ▼0 AUTH(211009)5371 |
245 | 1 0 | ▼a 소설의 이해 / ▼d 나병철 지음. |
260 | ▼a 서울 : ▼b 문예출판사 , ▼c 1998. | |
300 | ▼a 517p. ; ▼c 23cm. | |
500 | ▼a 색인포함 | |
950 | 0 | ▼b \15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8.3 1998f | Accession No. 11111696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4-01-29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8.3 1998f | Accession No. 11111696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22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808.3 1998f | Accession No. 1111169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8.3 1998f | Accession No. 1512546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8.3 1998f | Accession No. 11111696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4-01-29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8.3 1998f | Accession No. 11111696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22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808.3 1998f | Accession No. 1111169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8.3 1998f | Accession No. 1512546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소설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소설론을 만들려는 의도하에 씌어진 책이다. 다양한 이론들을 복합적으로 종합하면서 우리소설의 특수성을 도출해내고자 한 것. 지은이는 역사적 연구와 형식적 연구를 결합시켜, 신화에서 고소설, 근대소설, 그리고 리얼리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는 우리 서사문학을 살핀다.
서구적 근대문학의 전개와 구분되는 근대적 구어체에 대한 연구 또한 이 책의 중요 논점의 하나이다. 그 밖에 소설의 시공간의 문제, 새로운 매체와 소설과의 연관성, 서정소설의 두 유형, 1인칭 성장소설, 액자소설의 이론 등을 다뤄진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나병철(지은이)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원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문학의 시각성과 보이지 않는 비밀》, 《친밀한 권력과 낯선 타자》,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소설이란 무엇인가》(공저), 《감성정치와 사랑의 미학》, 《미래 이후의 미학》, 《소설이란 무엇인가》, 《소설의 이해》, 《문학의 이해》, 《전환기의 근대문학》, 《근대성과 근대문학》,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근대서사와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소설과 서사문화》, 《가족 로망스와 성장 소설》,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환상과 리얼리티》, 《소설의 귀환과 도전적 서사》, 《은유로서의 네이션과 트랜스내셔널 연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문학교육론》(제임스 그리블), 《프롤레타리아의 물결》(박선영), 《냉전시대 한국의 문학과 영화》(테드 휴즈), 《서비스 이코노미》(이진경), 《문화의 위치》(호미 바바),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마이클 라이언), 《해체론과 변증법》(마이클 라이언), 《중국문화 중국정신》(C. A. S. 윌리엄스)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소설과 서사장르 = 15 1. 소설의 복합적 층위들 = 15 (1) 소설의 두 가지 층위 = 15 (2) 소설의 장르적 특성 = 19 (3) 소설의 내용과 형식 = 28 (4) 이야기와 담론 = 35 2. 소설의 역사 = 38 (1) 서사물의 장르적 위치의 두축 = 38 (2) 신화, 설화와 구연서사 = 42 (3) 소설과 문자서사 = 48 (4) 소설과 영화, 전자매체 = 52 3. (소설의 이해) 전제조건 = 61 제2장 소설의 시간과 공간 = 63 1. 예술의 시간과 공간의 두 측면 = 63 2. 서사문학의 시간과 공간 = 68 3. 설화·고소설·근대소설 = 71 4. 리얼리즘·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 80 (1) 리얼리즘과 객관적 현실의 시공간 = 80 (2) 모더니즘과 시간의 공간화 = 83 (3) 포스트모더니즘과 가상적 시공간 = 92 제3장 (이야기) - 인물과 환경 = 99 1. 이야기의 구성요소 = 99 (1) 인물과 플롯 = 99 (2) (환경)의 개념 = 104 2. 텍스트 - 인물과 이야기 - 인물 = 110 3. 설화·고소설·근대소설의 인물 = 114 (1) 전근대적 서사물의 인물 = 114 (2) 근대소설 인물의 주체적 내면의 발전과정 = 119 (3) 주어로서의 인물 = 132 (4) 전근대적 서사와 근대적 서사의 인물 = 139 (5) 평면적 인물과 복합적 인물 = 143 4. 리얼리즘과 전형적 인물 = 152 (1) 전형적 인물의 사회학과 심리학 = 152 (2) 비판적 리얼리즘과 중도적 주인공 = 157 (3)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긍정적 주인공 = 164 (4) 풍자소설과 부정적 주인공 = 175 5. 모더니즘과 소외된 인물 = 179 6. 포스트모더니즘과 탈주체화된 인물 = 187 제4장 (이야기) - 플롯과 전망 = 197 1. 플롯과 전망 = 197 (1) 플롯의 인과율과 인물·환경의 상호작용 = 197 (2) (전망)의 개념 = 201 2. 텍스트 - 플론과 이야기 - 플롯 = 205 3. 설화·고소설·근대소설의 플롯 = 213 (1) 설화의 플롯과 과거지향적 전망 = 213 (2) 고소설의 플롯과 순환적 전망 = 218 (3) 근대적 플롯의 발전과 미래지향적 전망 = 230 (4) 플롯의 규범적 문법의 해체 = 236 (5) 서술어로서의 플롯 = 246 (6) 전근대적 서사와 근대적 서사의 플롯 = 253 4. 비판적 리얼리즘과 부정적 전망 = 255 (1) 자연주의와 리얼리즘 = 255 (2) 부정적 전망과 아이러니 = 262 (3) 중도적 주인공 및 소시민 주인공 소설 = 266 5.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낙관적 전망 = 271 (1) 선택과 구성의 원리로서의 낙관적 전망 = 271 (2) 의식의 각성과 사상의 내면화 과정 = 274 (3) 집단적 인물과 서사시적 지향 = 278 6. 풍자소설과 직접적 대조의 전망 = 283 (1) 현실과 이상의 직접적 대조 = 283 (2) 풍자만화와 풍자소설 = 287 (3) 풍자와 아이러니·패러디·알레고리 = 294 (4) 풍자소설의 역사적 전개 = 299 7. 해학소설과 동정적 웃음의 전망 = 300 (1) 해학과 풍자의 차이 = 300 (2) 순박한 인물과 내면적 활력 = 305 (3) 공감적 서술과 구어적 문체 = 311 8. 서정소설과 서정적 전망 = 316 (1) 서정시와 서정소설 = 316 (2) 서정소설과 현실도피적 전원소설 = 321 (3) 현실극복의 서정적 전망 = 324 (4) 서정적인 비극적 전망 = 329 9. 모더니즘과 병렬적 구성 = 335 (1) 주객단절과 플롯의 와해 = 335 (2) 통시적 인과율의 와해와 병렬적 구성 = 339 (3) 모더니즘의 다양한 기법과 부정적 인식 = 342 (4) 콜라주·몽타주·알레고리 = 350 10.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적 전망 = 359 (1) 포스트모더니즘의 플롯 = 359 (2) 메타픽션의 해체의 전략 = 362 (3) 이미지·정보·동양사상 = 368 (4) 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의 가능성 = 375 제5장 시점과 서술, 의사소통의 구조 = 377 1. 소설의 담론의 세 가지 특성 = 377 2. 시점과 서술 = 380 (1) 소설의 담론으로서의 시점과 서술 = 380 (2) 소설적 담론의 역사적 전개 = 387 3. 화자시점서술 = 391 (1) 화자시점서술의 세 가지 스펙트럼 = 391 (2) 비초점화에서 외적 - 내적 초점화로 = 196 (3) 편집자적 전지에서 선택적 전지로 = 405 (4) 구어체와 인물의 개인언어 = 411 4. 인물시점서술 = 426 (1) 직접성의 환영에서 낯설게 하기로 = 426 (2) 감정이입과 거리조정기법 = 434 (3) 자유간접문체·내적독백·의식의 흐름 = 441 5. 1인칭 서술상황 = 452 (1) 1인칭 서술의 세 가지 스펙트럼 = 452 (2) 경험자아와 서술자아의 변증법적 관계 = 460 6. 의사소통의 구조 = 473 (1) 의사소통의 구조와 소설의 경계선 = 473 (2) 고소설의 이념적 권위에서 평등한 소통상황으로 = 476 (3) 액자소설 = 478 (4) 극화된 화자 = 487 (5) 메타픽션과 간텍스트성 = 492 제6장 소설의 해체와 미래 = 497 참고문헌 = 503 찾아보기 = 507 작가·작품 = 507 이론가 = 513 용어 =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