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82c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613547 | |
005 | 20100806021527 | |
007 | ta | |
008 | 981106s1998 ulka 000a kor | |
020 | ▼a 8983960078 ▼g 93740 : ▼c \1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13947 ▼l 111113948 ▼l 111113949 |
082 | 0 4 | ▼a 420.7 ▼2 21 |
090 | ▼a 420.7 ▼b 1998 | |
100 | 1 | ▼a 임병빈 ▼0 AUTH(211009)58002 |
245 | 1 0 | ▼a 영어 교사 연수와 현장 연구 방법 / ▼d 임병빈 ; ▼e 연준흠 ; ▼e 장경숙 [공]지음. |
260 | ▼a 서울 : ▼b 신아사 , ▼c 1998. | |
300 | ▼a 294 p. : ▼b 삽도 ; ▼c 23 cm. | |
950 | 0 | ▼b \10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1998 | 등록번호 11111394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3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1998 | 등록번호 11111394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01-06-25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1998 | 등록번호 1111139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20.7 1998 | 등록번호 1511204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1998 | 등록번호 11111394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3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1998 | 등록번호 11111394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01-06-25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7 1998 | 등록번호 1111139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20.7 1998 | 등록번호 1511204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임병빈(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영어교육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하와이대학교 ESL학과 객원교수와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명예회장, 대한영어교육연구학회 회장, 한국영어교육학회연합회장, 교육부 영어과교육과정심의위원장, 공주대학교 영어교육연구소장,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 및 번역서] 『영어교육의 이슈 분석』, 『영어교육 평가방법』, 『영어교육사』, 『영어 교수학습론 2, 3』, 『영어 독해력 교육의 이론과 실제』, 『English Reading Drills 1, 2』, 『어린이 영어교육 1, 2, 3』, 『교사를 위한 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제2언어 습득론』, 『영어 교수학습론』, 『문화의 이해로 가르치는 영어』, 『영어교사 연수와 현장 연구방법』, 『제2언어 교수학습』, 『영어 읽기의 새로운 기법을 활용한 교실수업 지도방법』 외 다수

목차
목차 제1장 영어 교사 연수교육의 효율성 향상 방안 = 13 1. 머리말 = 13 2. 국내·외 연구 동향 = 16 2.1 국내 연구 동향 = 16 2.2 국외 연구 동향 = 17 3. 현행 연수 과정의 문제점 진단 및 분석 = 18 4. 영어 연수 교육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의 체계화 = 21 5. 영어 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한 종합적 대처방안 = 25 5.1 교사 양성 교육 프로그램과 현직 연수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 = 25 5.2 교사 자질 향상을 위한 교수방법 = 26 5.2.1 언어 사용 기능의 숙달 방안 = 26 5.2.2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 = 27 5.2.3 교사 양성 기관(대학)의 예비 교사 교육 방안 = 28 6. 맺음말 = 28 제2장 교실 수업과 이론의 연계성을 통한 영어 교육 향상방안 = 33 1. 머리말 = 33 2. 학술 단체의 활성화 = 35 2.1 현황 = 35 2.2 개선점 = 36 3. 대학부설 어학연구소의 활용 = 39 3.1 대학 어학연구소와의 유대 강화 = 39 3.2 대학 교수, 중등 영어 교사, 장학 담당자 사이의 협력 활동 = 42 4. 원어민 화자의 활용 극대화 = 44 4.1 언어 사용에 의한 의사소통 능력 학습의 필요성 = 44 4.2 원어민 화자와의 대화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증진 = 46 5. 교실 수업과 이론의 연계성 적용 = 49 5.1 이론적 관점에서의 지도 방안 = 50 5.2 실제적 관점에서의 지도 방안 토의 과정 = 50 5.3 현장 수업 적용 사례 = 51 5.3.1 낱말 게임 = 51 5.3.2 읽기 : 지속적 묵독(SSR : Sustained Silent Reading)과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책 읽기(Pleasure Reading) = 52 5.3.3 듣기 = 55 6. 맺음말 = 57 제3장 교사 교육의 이론적 배경 = 61 1. 머리말 = 61 2. Freeman의 교사 교육 모형 = 61 3. 교사 교육의 두 가지 책략 : 훈련(training)과 개발(development) = 64 3.1 훈련 책략(training strategy) = 65 3.2 개발 책략(development strategy) = 66 4. 두 가지 교사 교육 책략의 상호작용 = 67 5. 교사 교육의 모형 = 70 5.1 전통적 교사 연수 모형 = 70 5.2 교사 중심의 교사 연수 모형 = 72 5.2.1 반사 교육(reflective teaching)의 정의 = 75 5.2.2 반사 교육, 인식 그리고 개발의 상호 연관성 = 77 5.2.3 교육 개혁의 주체로서의 교사 역할 = 79 6. 교사 연수 담당자 역할의 다변화 = 80 7. 자아 개발(self - development)과 협동 개발(cooperative development) = 82 8. 수업 참관(teacher observation)의 목적과 유형 = 84 8.1 훈련(training)을 목적으로 한 수업 참관 = 85 8.2 개발(development)을 목적으로 한 수업 참관 = 85 8.3 평가(assessment)를 위한 수업 참관 = 87 9. 수업 지도(teacher supervision)의 접근법 = 88 9.1 교사 수업 지도(teacher supervision)와 수업 지도자(supervisor) = 89 9.2 수업 지도 접근법 = 90 9.2.1 판단적인(judgemental) 수업 지도 = 90 9.2.2 비판단적이(non - judgemental) 수업 지도 = 92 6. 맺음말 = 94 제4장 교사 중심의 현장 사례연구를 통한 교사 개발 = 99 1. 머리말 = 99 2. 현장 사례 연구(action - oriented classroom research) = 100 2.1 Kemmis와 McTaggart의 현장 사례 연구 모형 = 101 2.2 현장 연구의 발전 = 102 3. 교사연구(teacher research)의 정당성과 이점 = 103 4. 교사 현장 연구의 기본원리 = 105 5. 교사 중심의 현장 연구 방법론 = 106 5.1 교사 현장 연구의 기본원리 = 105 5.1.1 발견적 연구(heuristic research) = 107 5.1.2 연역적 연구(deductive research) = 107 5.2 연구 설계(research design) 방식에 의한 연구 방법론 = 110 5.2.1 정량적(quantitative) 연구 방법론 = 110 5.2.2 정성적(qualitative) 연구 방법론 = 112 5.3 교사 연구의 절차 = 115 6. 맺음말 = 117 제5장 의사 소통 중심의 수업 지도 = 121 1. 머리말 = 121 2. 의사 소통 중심 수업의 전개 = 122 3. 의사 소통 중심 수업의 특징 = 124 4. 듣기 지도 = 127 5. 말하기 지도 = 131 6. 읽기 지도 = 134 7. 쓰기 지도 = 142 8. 소통 중심 수업의 실제 = 146 8.1 듣기·말하기 중심의 수업 지도안 = 146 8.2 읽기·쓰기 중심의 수업 지도안 = 153 9. 맺음말 = 159 제6장 연구 방법론 = 163 1. 머리말 = 163 2. 연구의 유형 = 164 2.1 실험 연구(experimental research) = 166 2.2 민속학적 연구(ethnographic research) = 171 2.3 사례 연구(case study) = 172 2.4 수업 관찰(classroom observation) = 174 3. 연구 보고서 작성 요령 = 174 3.1 연구 주제 선정 = 175 3.2 체계적인 연구 방법 = 176 3.3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기 전에 = 177 4. 연구 보고서 형태 = 178 4.1 제목 = 178 4.2 논문 요약 = 179 4.3 서론 = 179 4.4 연구 방법 = 179 4.5 결과 = 180 4.6 논의 = 180 4.7 참고 문헌 = 181 5. 연구 보고서의 평가 = 182 6. 연구 보고서 작성시 유의 사항 = 182 6.1 부호의 사용 = 183 6.2 대문자 = 183 6.3 이탤릭체의 사용 = 184 6.4 참고 문헌 = 184 7. 연구 주제 예시 = 185 8. 맺음말 = 190 외국어 분과 연구 보고서 속담과 이솝 우화 지도를 통한 흥미 유발이 Communicative Competence에 미치는 효과 = 193 Ⅰ. 서론 = 195 A. 연구의 필요성 = 195 B. 연구의 목적 = 196 C. 실태 분석 = 197 D. 연구의 문제 = 200 E. 연구의 한계 = 200 Ⅱ. 이론적 배경 = 201 A. 이론적 근거 = 201 B. 용어의 정의 = 203 C. 선행 연구 고찰 = 204 Ⅲ. 실천과제 = 206 A. 가설의 설정 = 206 B. 실행 중점 = 206 Ⅳ. 연구의 설계 = 207 A. 연구 기간 = 207 B. 연구 대상 = 207 C. 연구 절차 = 207 D. 연구의 방법 = 208 E. 검증 방법 = 211 Ⅴ. 연구의 실제 = 212 A. 실행 중점 ‘1’의 실행 = 216 B. 실행 중점 ‘2’의 실행 = 219 Ⅵ. 연구의 결과 = 222 A. 연구 실천의 결과 = 222 B. 결과 분석 = 222 Ⅶ. 요약 및 결론 = 232 A. 요약 = 232 B. 결론 = 233 C. 제언 = 234 듣기와 DICTOGLOSS 학습 지도법을 통한 영어 표현력 신장 방안 = 239 Ⅰ. 서론 = 241 A. 연구의 필요성 = 241 B. 연구의 목적 = 242 C. 실태 조사의 분석 = 243 D. 연구의 제한 = 247 E. 용어의 정의 = 248 Ⅱ. 이론적 배경 = 250 A. 듣기의 중요성 = 250 B. 받아쓰기의 일반적 고찰 = 254 C. 받아쓰기의 장점 = 255 D. DICTOGLOSS의 효과 = 257 E. 선행 연구의 고찰 = 259 Ⅲ. 연구의 문제 = 260 Ⅳ. 실행 목표 = 260 A. 실행 목표 1 = 261 B. 실행 목표 2 = 261 C. 실행 목표 3 = 261 Ⅴ. 연구의 설계 = 262 A. 연구의 대상 = 262 B. 연구 기간 = 262 C. 연구의 절차 및 일정 = 263 D. 연구의 방법 = 263 Ⅵ. 연구의 실행 = 265 A. 실행 목표 1 = 265 B. 실행 목표 2 = 271 C. 실행 목표 = 277 Ⅶ. 연구의 결과 평가 및 검증 = 288 A. 실행 목표Ⅰ의 검증 = 288 B. 실행 목표Ⅱ의 검증 = 289 C. 실행 목표Ⅲ의 검증 = 290 Ⅷ. 요약 및 결론 = 292 A. 요약 = 292 B. 결론 = 293 C. 제언 =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