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앤드라고지 : 현실과 가능성

앤드라고지 : 현실과 가능성 (Loan 5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한준상
Corporate Author
한국성인교육학회
Title Statement
앤드라고지 : 현실과 가능성 / 한준상 [외저] ; 한국성인교육학회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1998.  
Physical Medium
381 p. : 삽도 ; 23 cm.
ISBN
8975482499
General Note
색인포함  
000 00646c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13543
005 20100806021520
007 ta
008 981106s1998 ulka 001a kor
020 ▼a 8975482499 ▼g 93370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13935 ▼l 111113936 ▼l 111113937
082 0 4 ▼a 374 ▼2 21
090 ▼a 374 ▼b 1998c
245 1 0 ▼a 앤드라고지 : ▼b 현실과 가능성 / ▼d 한준상 [외저] ; ▼e 한국성인교육학회 [편].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1998.
300 ▼a 381 p. : ▼b 삽도 ; ▼c 23 cm.
500 ▼a 색인포함
700 1 ▼a 한준상 ▼0 AUTH(211009)123043
710 1 ▼a 한국성인교육학회
950 0 ▼b \13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1998c Accession No. 11111393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1-03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1998c Accession No. 1111139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74 1998c Accession No. 1111139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한준상(엮은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 졸업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교육과학 석사 및 철학박사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교수 연세대학교 학생처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학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성인학습의 새로운 학문적 얼개

 제1장 앤드라고지 : 성인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해 / 한준상 = 25

 제2장 성인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진단과 처방/강인애 = 25

  Ⅰ. 성인학습의 위치 : 교육개혁, 포스트 모더니즘, 그리고 구성주의 = 25

  Ⅱ. 성인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진단 = 29

   1. 구성주의와 구성주의 학습원칙 = 30

    1) 구성주의의 인식론 = 30

    2) 구성주의적 학습원칙 = 34

   2. 구성주의 시각에서 본 knowles의 성인학습이론 = 40

   3. 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자기주도적 학습(SDL) = 48

   4. 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전환이론(Transformational Theory) = 51

   5. 성인학습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적 진단 = 56

  Ⅲ. 성인학습을 위한 구성주의적 처방:교수-학습모형과 정보기술의 활용 = 59

   1.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모형 = 59

    1) PBL = 60

    2) 인지적 도제이론(Cognitive Apprenticeships) = 64

    3) 상황적 학습이론(Anchored Instruction) = 67

    4) 인지적 유연성이론(Cognitive Flexibility Theory) = 70

   2. 구성주의와 정보기술의 접목 = 73

    1) 구성주의와 컴퓨터 네트워크 = 75

    2) 구성주의와 가상대학(Virtual University) = 79

  Ⅳ. 성인학습의 전망 : 지식공동체의 성립 = 81

 제3장 성인교육의 사회학 / 장원섭 = 89

  1. 문제의 제기 = 89

  2. 현대 사회 변화와 성인교육 = 90

   1) 전통사회의 생활교육 = 92

   2) 산업 사회의 학교교육 = 92

   3) 현대 사회의 평생교육 = 93

  3. 두 가지 성인교육 = 97

   1) 성인교육과 인간 자본의 축적 = 98

   2) 성인교육의 잠재적 결과 : 사회적 자본의 형성 = 102

  4. 성인교육과 사회 불평등 = 107

   1) 성인교육 접근기회의 불평등 = 108

   2) 성인교육 과정의 불평등 = 111

   3) 성인교육결과의 불평등 = 114

  5. 학습사회 건설을 위한 과제 = 116

 제4장 프레이리의 성인교육론과 그것의 철학적 배경 / 신미식 = 121

  1. 들어가는 말 = 121

  2. 파울로 프레이리의 저작과 활동 = 123

  3. 프레이리의 성인교육론 = 125

  4. 프레이리의 성인교육론의 철학적 배경 = 132

   1) 프레이리와 해방신학 혹은 급진적 천주교 = 133

   2) 프레이리와 인간주의적 마르크스주의(humanistic marxism) = 136

   3) 프레이리와 실존주의적 현상학 = 139

   4) 프레이리와 그람시 그리고 비판이론 = 141

   5) 프레이리와 포스트 모더니즘 = 144

  5. 프레이리 성인교육론의 한국적 수용 = 150

 제5장 교육훈련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기성 = 157

  Ⅰ. 문제의 제기 = 157

  Ⅱ. 교육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요인들 = 159

   1. 조직분위기(Organizational climate) = 160

   2. 타이밍(timing) = 163

   3. 상사의 지원(superior support) = 166

  Ⅲ. 상사의 지원을 통한 전이의 향상 = 168

   1. 상사의 교육훈련과정 관여(superior involovement in training) = 168

    1) 상사의 관여(superior's involovement)의 중요성 = 169

    2) 상사의 관여(superior's involovement)방법 = 171

   2. 상사의 강화활동(superior's reinforcement)의 중요성 및 필요성 = 172

   3. 상사의 전이 지원(post-training support) = 174

  Ⅳ. 논의 = 176

  Ⅴ. 결론 및 제언 = 181

제2부 성인학습의 패러다임 실천전략

 제6장 성인학습자를 위한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활용 / 최성우 = 189

  Ⅰ. 시작하는 글 = 189

  Ⅱ. 성인학습자와 테크놀로지 = 191

   1.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테크놀러지 = 191

    1) 일반적 특성 = 191

    2) 신체적 측면 = 193

    3) 심리적 측면 = 194

    4) 사회학적 측면 = 200

   2. 성인학습자를 위한 뉴미디어 활용 = 201

    1) 뉴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 202

    2) 뉴미디어의 교육적 특성 = 204

  Ⅲ. 사이버 학습 시스템의 구성과 활용 사례 = 205

   1. 시스템 구성 = 205

    1) 시스템 개요 = 205

    2) 시스템 구성요소 = 208

   2. 활용 사례 = 212

    1) 학교에서의 활용 사례 = 212

    2) 산업체 = 213

  Ⅳ.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활용방안 = 214

   1.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주요기능 = 214

    1) 관리 기능 = 214

    2) 저작 기능 = 215

    3) 교수 기능 = 216

    4) 학습자 기능 = 222

   2.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특성과 활용 전략 = 223

    1)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특성 = 223

    2)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활용 전략 = 225

   3.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226

  Ⅴ. 맺는글 = 227

 제7장 비판적 사고 : 포스트모던시대의 성인교육전략 / 신용주 = 231

  서론 = 231

  제1절 반성성 : 포스트모던 성인교육의 명제 = 233

   Ⅰ. 새로운 성인교육 모형의 특색 = 233

     1. 기존 성인교육 모형의 분석 = 234

      1) 인본주의 모형 = 234

      2) 성인발달 모형 = 234

      3) 정치적 권능부여 모형 = 235

     2. 포스트모던사회에서의 성인교육의 새로운 역할 = 236

      1) 우리방식의 해결책 찾기(learing our way out) = 236

   Ⅱ. 포스트모던사회와 반성적 학습 = 238

     1) 권련, 해방, 교육의 복합적 관계 = 239

     2) 교육적·경제적 필요조건으로서의 반성성 = 240

     3) 위험사회와 반성성 = 240

     4) 위험사회를 위한 반성적 성인교육의 요청 = 242

     5) 직업교육과 훈련에의 시사점 = 243

     6) 교육개혁에 대한 요청 = 244

   Ⅲ. 비판이론과 성인교육의 포스트모더니즘적 재평가(Freire와 Habermas에서 Mezirow까지) = 245

    1. Freire와 Habermas의 비판이론과 성인교육 = 246

     1) Freire의 비판적 교육학 = 246

     2) Habermas의 의사소통 행위이론 = 248

     3) Habermas와 Freire를 적용한 Mezirow의 변호적 학습이론 = 250

    2. 비판적 반성 : 성인교육의 현대적 접근 = 252

    3. 포스트모더니즘, 권력 그리고 성인교육 = 254

     1) 학습행위-새로운 권력의 창조행위? = 256

     2) 성인기의 비판적 반성의 의의 = 256

     3) 비판적 문해교육의 요청 = 257

  제2절 성인교육과 비판적 사고 = 258

   Ⅰ. 비판적 사고의 의의 = 258

    1. 비판적 사고의 정의 = 259

     1) 미국 K-12Handbook 시리즈의 용어풀이 사전의 비판적 사고의 정의 = 260

     2) 사고능력중심의 정의 = 260

     3) 비판적 사고의 수월성을 위한 국가위원회(National Council for Excellence in Critical Thinking)의 정의 = 261

     4) Brookfield의 정의 = 262

     5) 그밖의 정의 = 262

    2. 비판적 사고의 개념 = 264

    3. 비판적 사고의 발달조건 = 266

     1) 비판적 사고에 요구되는 성향들 = 266

     2) 비판적 사고에 요구되는 능력들 = 267

     3) 비판적 사고가의 태도 = 268

    4. 비판적 사고와 유사개념과의 비교 = 268

   Ⅱ. 성인교육과 비판적 사고 = 269

    1. 성인기에 있어서의 비판적 사고의 의의 = 269

    2. 성인교육발달사에 나타난 비판적 사고 = 272

    3. 비판적 사고의 촉진을 위한 성인교육자의 역할 = 274

     1) 비판적 사고의 촉진전략 = 274

     2) 성인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사고의 원칙들 = 277

     3) 비판적 교육가의 특징 = 278

    4. 비판적 사고의 모형 = 278

     1) Brookfield의 모형 = 278

     2) Mezirow의 비판적 반성모형 = 279

     3) Kellog 성인학습센터의 모형 = 280

     4) Sweeney의 모형 = 280

     5) Garrison의 모형 = 280

    5. 비판적 사고와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 281

    6. 비판적 사고이론에 제기되는 문제점들 = 284

  Ⅲ. 요약 및 결론 = 286

 제8장 성인의 경험을 활용한 학위취득의 새로운 전략 / 김선희 = 291

  Ⅰ. 문제제기 = 291

   1.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제5,275호) = 293

   2. 교육법중개정법률(기술대학제도 도입) = 293

   3. 학점은행제(교육개혁 과제 추진 위원회, 1997) = 294

   4. 교육구좌제(교육개혁추진상황, 1997) = 295

   5. 시간제 등록제(최운실, 1996) = 295

   6. 성인 직업교육 확대 및 교육훈련 산업의 육성(교육개혁 과제추진 위원회, 1997) = 295

  Ⅱ. 성인학습자의 특성 = 296

  Ⅲ. 경험학습의 역사적 배경 = 300

  Ⅳ. 성인의 경험과 대학학점과의 연계 방안 = 303

   1. 성인이 습득한 경험과 대학학점 연계의 필요성 및 중요성 = 303

   2. 경험과 학점의 연계 가능한 내용 = 306

   3. 성인의 경험과 학점과의 연계 방안 = 308

    1) Protfolio를 통한 학점 인증 방안 = 310

    2) 시험 통한 학점 인증방안 = 316

  Ⅴ. 외국의 사례 = 321

  Ⅵ. Experiential learning의 과제 및 이슈 = 325

 제9장 마이크로 티칭을 이용한 성인 대상 소집단수업의 사례 연구 / 백은순 = 331

  1. 서론 = 331

  2. 페다고지와 앤드라고지의 차이점과 유사점 = 333

   1) 앤드라고지 모형에 입각한 수업방법과 열린 교육 = 335

  3. 마이크로 티칭 = 338

   1) 마이크로 티칭의 목적과 기능 = 340

   2) 마이크로 티칭 과정 = 340

   3) 마이크로 티칭 실행방법 = 342

   4) 마이크로 티칭 평가 = 342

  4. 성인교육에서의 마이크로 티칭 = 343

   1) 성인교육에서의 마이크로 티칭 예시 = 345

   2) 성인교육에서의 마이크로 티칭 평가 = 351

  5. 사례 연구 = 355

   1) 사례 예시와 논의 = 356

   2) 사례종합 평가 = 368

  6. 결어 = 374

찾아보기 = 37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