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성인학습의 새로운 학문적 얼개
제1장 앤드라고지 : 성인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해 / 한준상 = 25
제2장 성인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진단과 처방/강인애 = 25
Ⅰ. 성인학습의 위치 : 교육개혁, 포스트 모더니즘, 그리고 구성주의 = 25
Ⅱ. 성인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진단 = 29
1. 구성주의와 구성주의 학습원칙 = 30
1) 구성주의의 인식론 = 30
2) 구성주의적 학습원칙 = 34
2. 구성주의 시각에서 본 knowles의 성인학습이론 = 40
3. 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자기주도적 학습(SDL) = 48
4. 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전환이론(Transformational Theory) = 51
5. 성인학습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적 진단 = 56
Ⅲ. 성인학습을 위한 구성주의적 처방:교수-학습모형과 정보기술의 활용 = 59
1.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모형 = 59
1) PBL = 60
2) 인지적 도제이론(Cognitive Apprenticeships) = 64
3) 상황적 학습이론(Anchored Instruction) = 67
4) 인지적 유연성이론(Cognitive Flexibility Theory) = 70
2. 구성주의와 정보기술의 접목 = 73
1) 구성주의와 컴퓨터 네트워크 = 75
2) 구성주의와 가상대학(Virtual University) = 79
Ⅳ. 성인학습의 전망 : 지식공동체의 성립 = 81
제3장 성인교육의 사회학 / 장원섭 = 89
1. 문제의 제기 = 89
2. 현대 사회 변화와 성인교육 = 90
1) 전통사회의 생활교육 = 92
2) 산업 사회의 학교교육 = 92
3) 현대 사회의 평생교육 = 93
3. 두 가지 성인교육 = 97
1) 성인교육과 인간 자본의 축적 = 98
2) 성인교육의 잠재적 결과 : 사회적 자본의 형성 = 102
4. 성인교육과 사회 불평등 = 107
1) 성인교육 접근기회의 불평등 = 108
2) 성인교육 과정의 불평등 = 111
3) 성인교육결과의 불평등 = 114
5. 학습사회 건설을 위한 과제 = 116
제4장 프레이리의 성인교육론과 그것의 철학적 배경 / 신미식 = 121
1. 들어가는 말 = 121
2. 파울로 프레이리의 저작과 활동 = 123
3. 프레이리의 성인교육론 = 125
4. 프레이리의 성인교육론의 철학적 배경 = 132
1) 프레이리와 해방신학 혹은 급진적 천주교 = 133
2) 프레이리와 인간주의적 마르크스주의(humanistic marxism) = 136
3) 프레이리와 실존주의적 현상학 = 139
4) 프레이리와 그람시 그리고 비판이론 = 141
5) 프레이리와 포스트 모더니즘 = 144
5. 프레이리 성인교육론의 한국적 수용 = 150
제5장 교육훈련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기성 = 157
Ⅰ. 문제의 제기 = 157
Ⅱ. 교육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요인들 = 159
1. 조직분위기(Organizational climate) = 160
2. 타이밍(timing) = 163
3. 상사의 지원(superior support) = 166
Ⅲ. 상사의 지원을 통한 전이의 향상 = 168
1. 상사의 교육훈련과정 관여(superior involovement in training) = 168
1) 상사의 관여(superior's involovement)의 중요성 = 169
2) 상사의 관여(superior's involovement)방법 = 171
2. 상사의 강화활동(superior's reinforcement)의 중요성 및 필요성 = 172
3. 상사의 전이 지원(post-training support) = 174
Ⅳ. 논의 = 176
Ⅴ. 결론 및 제언 = 181
제2부 성인학습의 패러다임 실천전략
제6장 성인학습자를 위한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활용 / 최성우 = 189
Ⅰ. 시작하는 글 = 189
Ⅱ. 성인학습자와 테크놀로지 = 191
1.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테크놀러지 = 191
1) 일반적 특성 = 191
2) 신체적 측면 = 193
3) 심리적 측면 = 194
4) 사회학적 측면 = 200
2. 성인학습자를 위한 뉴미디어 활용 = 201
1) 뉴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 202
2) 뉴미디어의 교육적 특성 = 204
Ⅲ. 사이버 학습 시스템의 구성과 활용 사례 = 205
1. 시스템 구성 = 205
1) 시스템 개요 = 205
2) 시스템 구성요소 = 208
2. 활용 사례 = 212
1) 학교에서의 활용 사례 = 212
2) 산업체 = 213
Ⅳ.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활용방안 = 214
1.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주요기능 = 214
1) 관리 기능 = 214
2) 저작 기능 = 215
3) 교수 기능 = 216
4) 학습자 기능 = 222
2.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특성과 활용 전략 = 223
1)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특성 = 223
2) 사이버 학습시스템의 활용 전략 = 225
3.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226
Ⅴ. 맺는글 = 227
제7장 비판적 사고 : 포스트모던시대의 성인교육전략 / 신용주 = 231
서론 = 231
제1절 반성성 : 포스트모던 성인교육의 명제 = 233
Ⅰ. 새로운 성인교육 모형의 특색 = 233
1. 기존 성인교육 모형의 분석 = 234
1) 인본주의 모형 = 234
2) 성인발달 모형 = 234
3) 정치적 권능부여 모형 = 235
2. 포스트모던사회에서의 성인교육의 새로운 역할 = 236
1) 우리방식의 해결책 찾기(learing our way out) = 236
Ⅱ. 포스트모던사회와 반성적 학습 = 238
1) 권련, 해방, 교육의 복합적 관계 = 239
2) 교육적·경제적 필요조건으로서의 반성성 = 240
3) 위험사회와 반성성 = 240
4) 위험사회를 위한 반성적 성인교육의 요청 = 242
5) 직업교육과 훈련에의 시사점 = 243
6) 교육개혁에 대한 요청 = 244
Ⅲ. 비판이론과 성인교육의 포스트모더니즘적 재평가(Freire와 Habermas에서 Mezirow까지) = 245
1. Freire와 Habermas의 비판이론과 성인교육 = 246
1) Freire의 비판적 교육학 = 246
2) Habermas의 의사소통 행위이론 = 248
3) Habermas와 Freire를 적용한 Mezirow의 변호적 학습이론 = 250
2. 비판적 반성 : 성인교육의 현대적 접근 = 252
3. 포스트모더니즘, 권력 그리고 성인교육 = 254
1) 학습행위-새로운 권력의 창조행위? = 256
2) 성인기의 비판적 반성의 의의 = 256
3) 비판적 문해교육의 요청 = 257
제2절 성인교육과 비판적 사고 = 258
Ⅰ. 비판적 사고의 의의 = 258
1. 비판적 사고의 정의 = 259
1) 미국 K-12Handbook 시리즈의 용어풀이 사전의 비판적 사고의 정의 = 260
2) 사고능력중심의 정의 = 260
3) 비판적 사고의 수월성을 위한 국가위원회(National Council for Excellence in Critical Thinking)의 정의 = 261
4) Brookfield의 정의 = 262
5) 그밖의 정의 = 262
2. 비판적 사고의 개념 = 264
3. 비판적 사고의 발달조건 = 266
1) 비판적 사고에 요구되는 성향들 = 266
2) 비판적 사고에 요구되는 능력들 = 267
3) 비판적 사고가의 태도 = 268
4. 비판적 사고와 유사개념과의 비교 = 268
Ⅱ. 성인교육과 비판적 사고 = 269
1. 성인기에 있어서의 비판적 사고의 의의 = 269
2. 성인교육발달사에 나타난 비판적 사고 = 272
3. 비판적 사고의 촉진을 위한 성인교육자의 역할 = 274
1) 비판적 사고의 촉진전략 = 274
2) 성인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사고의 원칙들 = 277
3) 비판적 교육가의 특징 = 278
4. 비판적 사고의 모형 = 278
1) Brookfield의 모형 = 278
2) Mezirow의 비판적 반성모형 = 279
3) Kellog 성인학습센터의 모형 = 280
4) Sweeney의 모형 = 280
5) Garrison의 모형 = 280
5. 비판적 사고와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 281
6. 비판적 사고이론에 제기되는 문제점들 = 284
Ⅲ. 요약 및 결론 = 286
제8장 성인의 경험을 활용한 학위취득의 새로운 전략 / 김선희 = 291
Ⅰ. 문제제기 = 291
1.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제5,275호) = 293
2. 교육법중개정법률(기술대학제도 도입) = 293
3. 학점은행제(교육개혁 과제 추진 위원회, 1997) = 294
4. 교육구좌제(교육개혁추진상황, 1997) = 295
5. 시간제 등록제(최운실, 1996) = 295
6. 성인 직업교육 확대 및 교육훈련 산업의 육성(교육개혁 과제추진 위원회, 1997) = 295
Ⅱ. 성인학습자의 특성 = 296
Ⅲ. 경험학습의 역사적 배경 = 300
Ⅳ. 성인의 경험과 대학학점과의 연계 방안 = 303
1. 성인이 습득한 경험과 대학학점 연계의 필요성 및 중요성 = 303
2. 경험과 학점의 연계 가능한 내용 = 306
3. 성인의 경험과 학점과의 연계 방안 = 308
1) Protfolio를 통한 학점 인증 방안 = 310
2) 시험 통한 학점 인증방안 = 316
Ⅴ. 외국의 사례 = 321
Ⅵ. Experiential learning의 과제 및 이슈 = 325
제9장 마이크로 티칭을 이용한 성인 대상 소집단수업의 사례 연구 / 백은순 = 331
1. 서론 = 331
2. 페다고지와 앤드라고지의 차이점과 유사점 = 333
1) 앤드라고지 모형에 입각한 수업방법과 열린 교육 = 335
3. 마이크로 티칭 = 338
1) 마이크로 티칭의 목적과 기능 = 340
2) 마이크로 티칭 과정 = 340
3) 마이크로 티칭 실행방법 = 342
4) 마이크로 티칭 평가 = 342
4. 성인교육에서의 마이크로 티칭 = 343
1) 성인교육에서의 마이크로 티칭 예시 = 345
2) 성인교육에서의 마이크로 티칭 평가 = 351
5. 사례 연구 = 355
1) 사례 예시와 논의 = 356
2) 사례종합 평가 = 368
6. 결어 = 374
찾아보기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