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석담일기

석담일기 (Loan 2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이
Corporate Author
민족문화추진회
Title Statement
석담일기 / 이이 지음 ; 민족문화추진회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솔,   1998.  
Physical Medium
557 p. ; 20 cm.
Series Statement
나랏말씀 ;34
ISBN
8981332614 8981331243(세트)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00613513
005 20220613092514
007 ta
008 981106s1998 ulk 000a kor
020 ▼a 8981332614 ▼g 04810 : ▼c \18000
020 1 ▼a 8981331243(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13842 ▼l 111113843 ▼l 111113844
082 0 4 ▼a 089.97 ▼2 21
090 ▼a 089.97 ▼b 1997 ▼c 34
100 1 ▼a 이이
245 1 0 ▼a 석담일기 / ▼d 이이 지음 ; ▼e 민족문화추진회 편.
260 ▼a 서울 : ▼b 솔, ▼c 1998.
300 ▼a 557 p. ; ▼c 20 cm.
440 0 0 ▼a 나랏말씀 ; ▼v 34
490 0 0 ▼a 율곡문선 ; ▼v 3
710 1 ▼a 민족문화추진회 ▼0 AUTH(211009)50851
740 ▼a 나랏말쌈,34
950 0 ▼b \18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089.97 1997 34 Accession No. 1111138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1997 34 Accession No. 1111138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1997 34 Accession No. 1111138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율곡 이이가 쓴 일기로 일명 경연일기(經筵日記)라고도 한다. 여기에는 국왕의 행례, 신하들의 진퇴 등 제반 시정을 일기체로 기록한 다음 자신의 의견을 첨술하여놓았는데 당시 싹트기 시작한 동서 붕당의 조정에 노력하던 율곡의 고심이 여실히 드러나 있다.

특히 당시의 삼공(三公), 육경(六卿)을 비롯한 여러 중신들의 정사 집행과 유명한 인물에 대한 평론과 함께, 율곡 자신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면서 겪은 생생한 기록이 실려 있어 그 가치가 더욱 높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이(지은이)

1536년, 중종 31년 강릉 오죽헌에서 이원수와 사임당 신씨의 아들로 태어나다. 1551년, 모친 신 부인의 상을 당하다. 1554년,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교제하다. 이 해 3월에 금강산에 들어가 불가의 선학(禪學)을 탐구하다. 1555년, 속가(俗家)로 돌아오다. 1556년, 책문(策文) 시험을 보았는데 한성시(漢城試)에서 장원으로 뽑히다. 1557년, 성주목사(星州牧使) 노경린(盧慶麟)의 딸과 결혼하다. 1558년, 예안으로 퇴계 선생을 찾아가다. 퇴계 선생과 더불어 학문을 강론하고 율시(律詩) 1편을 지어 드리다. 1561년, 부친 찬성공(贊成公)의 상을 당하자, 사임당 묘소에 합장하다. 1564년, 생원 진사과에 합격하고, 다시 명경과에 급제하여 호조좌랑을 제수받았다. 이때부터 관직 생활에 접어들었다. 1569년,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 선조에게 바치다. 1571년, 해주에서 파주 율곡으로 돌아오다. 이조정랑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 해에 향약을 짓다. 1572년, 우계 성혼과 더불어 이기(理氣), 사단칠정(四端七情),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논하다. 1574년, 우부승지로 승진되고 「만언봉사(萬言封事)」를 올리다. 1575년, 「성학집요(聖學輯要)」를 지어 바치다. 1576년, 파주 율곡으로 돌아오다. 관직에서 은퇴할 것을 결심하다. 1577년, 『격몽요결(擊蒙要訣)』이 이루어지다. 초학자들의 학습을 위하여 저술한 책이었다. 1578년,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짓다.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에 견주어 지은 것이었다. 이때부터 원근의 학자들이 더욱 많이 찾아왔다. 이 해에 다시 「만언소(萬言疏)」를 올리다. 1579년, 『소학집주(小學集註)』가 완성되다. 1580년, 『기자실기(箕子實記)』를 편찬하다. 이 해 대사간으로 부름을 받고 나갔으나 사은(謝恩)하고 곧 돌아오다. 1582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어 세 번이나 사양했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이 해 7월에 「인심도심설」을 지어 바치다. 또 『김시습전』을 짓다. 8월에는 형조판서가 되고, 9월에는 의정부 우참찬이 되다. 1583년, 조정에 나아가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십만양병설’을 주장하다. 1584년, 정월 16일에 병환으로 한성 대사동에서 작고하다. 1610년, 선생과 퇴계 선생을 문묘에 배향하자고 주청하다. 1611년, 문집이 간행되다. 1624년, 문성(文成)이라는 시호가 내려지다.

민족문화추진회(옮긴이)

◈설립목적 민족문화의 보전, 전승, 계발, 연구를 추진하여, 민족문화 진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주요사업 고전문헌의 수집, 정리, 연구 고전문헌의 편찬 및 번역 한국고전문고의 발간과 보급 고전국역자 양성 고전연구지의 발간과 보급 고전의 대중화를 위한 독서운동 전개 고전국역상 시상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일러두기 = 4
해설 = 555
석담일기 상
 명종 20년(을축, 1565) = 7
 명종 21년(병인, 1566) = 17
 명종 22년(정묘, 1567) = 19
 선조 1년(무진, 1568) = 58
 선조 2년(기사, 1569) = 67
 선조 3년(경오, 1570) = 102
 선조 4년(신미, 1571) = 125
 선조 5년(임신, 1572) = 133
 선조 6년(계유, 1573) = 151
 선조 7년(갑술, 1574) = 190
 선조 8년(을해, 1575) 9월 = 252
석담일기 하
 선조 8년(을해, 1575) 9월 = 307
 선조 9년(병자, 1576) = 329
 선조 10년(정축, 1577) = 359
 선조 11년(무인, 1578) = 373
 선조 12년(기묘, 1579) = 409
 선조 13년(경진, 1580) = 435
 선조 14년(신사, 1581) =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