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3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제2부 외국 지역연안역 통합관리 현황 = 7
제1장 연안역통합관리 사례분석의 의의 = 9
제2장 연안역통합관리 사례분석 방법 = 11
1. 관리 요소 평가법(정성평가Ⅰ) = 11
2. 속성 추출·비교 방법(정성평가 Ⅱ) = 12
3. PSR-지표 평가방법(정량평가법) = 13
제3장 사례지역 연안역관리의 현황 = 16
제1절 미국 산타모니카만 복원사업 = 17
1. 산타모니카만 복원계획(SMBRP)의 기원 및 구성 = 18
2. 산타모니카만 복원계획(SMBRP)의 초기사업 및 목표 = 19
3. 만복원계획 = 20
4. 산타모니카만 복원사업(SMBRP)의 주요 성과 = 22
제2절 필리핀 바탕가스만 전략적 환경계획 = 22
1. 바탕가스만(Batangas Bay)의 지리·사회적 특징 및 관리쟁점 = 23
2. 전략적 환경관리계획(SEMP)의 목표, 관리방식 및 실행프로그램 = 26
3. 전략적 환경관리계획(SEMP)의 조직 및 실행조치 = 29
4. 타개발계획과의 관계 및 SEMP 실행모니터링 = 32
제3절 샤먼지역 해양오염관리 전략계획 = 34
1. 해양오염방지 전략계획의 개요 및 샤먼지역의 현황 = 35
2. 전략계획의 장·단기 목표, 관리정책 및 전략 = 36
3. 전략적 실행계획 = 39
4. 전략계획의 실행, 감독 및 평가 = 42
제4절 기타 연안역통합관리 사례 = 42
1. 알래스카(Alaska)주 연안역관리 = 42
2. 몬로지방 플로리다 砂州 관리계획 = 47
3. 볼리나오(Bolinao) 지역공동체 연안자원관리 = 50
제4장 각국의 연안역통합관리의 비교분석 = 53
제3부 마산·진해만 연안역통합관리 기본구상 = 57
제1장 마산·진해만 연안역통합관리 기본구상 수립의 의의 = 59
제1절 마산·진해만 연안역통합관리 기본구상 수립의 목적 = 59
제2절 마산·진해만 연안역통합관리 기본구상의 범위 = 61
제2장 마산·진해만 연안역통합관리 여건 및 전망 = 63
제1절 연안역 배후지 이용현황 및 전망 = 63
1. 자연환경적 여건 = 63
2. 인문사회적 여건 = 65
제2절 연안자원의 이용현황 및 전망 = 79
1. 수산업 현황 및 전망 = 79
2. 마산항 이용현황 및 개발전망 = 84
제3절 연안역 생태계 및 환경오염 변화추이 = 90
1. 마산·진해만 연안수질 현황 = 90
2. 퇴적오염물 및 중금속 변화추이 = 94
3. 해양생태계 변화 = 95
제4절 연안역관리의 제도적 여건 및 문제점 = 97
1. 국가 연안역통합관리체제 추진현황 = 97
2. 지방자치단체의 연안역통합관리 여건 및 문제점 = 106
제3장 마산·진해만 연안역통합관리의 목표와 과제 = 112
제1절 마산·진해만 연안역통합관리의 목표 및 추진전략 = 112
제2절 연안역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용도지역 지정방안 = 115
1. 연안공간 이용체계 확립의 필요성 = 115
2. 연안공간의 용도지역 지정방안 = 116
3. 마산·진해만의 연안역 용도지역 설정방안 = 118
제3절 연안생태계 보호 및 오염저감방안 = 120
1. 총량규제 실시 = 125
2. 하계적조관리계획 수립·시행 = 127
3. 지역 연안역관리기구 형성 및 연안역관리계획 우선 수립 = 127
4. 마산·진해만 수질관리기준 수립 = 129
5. 예측모델 수립 및 예보시스템 구축 = 130
제4절 연안역 환경모니터링 개선방안 = 131
1. 연안환경 모니터링 현황 = 131
2. 전략적 모니터링체제 구축의 의의 및 현행 모니터링체제의 개편방안 = 133
3. 시민참여 모니터링체제 구축 = 135
제5절 연안역통합정보 관리방안 = 136
1. 정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및 현황 = 136
2. 연안역 정보시스템 구성 = 137
3. 지리정보 시스템 = 137
4. 데이터베이스 = 139
5. 모델 관리시스템 = 141
제6절 연안역통합관리를 위한 시민교육프로그램 증진방안 = 144
1. 시민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 144
2. 시민교육프로그램 시행현황 = 144
3. 시민교육프로그램 증진방안 = 146
제7절 연안역통합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조성 방안 = 150
제4부 종합결론 및 정책건의 = 159
제1장 종합결론 = 161
제2장 정책건의 = 164
참고문헌 =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