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7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607735 | |
005 | 20100806012317 | |
007 | ta | |
008 | 980921s1997 ulk 000 p kor | |
020 | ▼a 8933810846 ▼g 02810 : ▼c \4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11573 ▼l 111111574 |
082 | 0 4 | ▼a 897.16 |
090 | ▼a 897.16 ▼b 박기동 내 | |
100 | 1 | ▼a 박기동 , ▼d 1953- ▼0 AUTH(211009)22229 |
245 | 1 0 | ▼a 내 몸이 동굴이다 / ▼d 박기동 [지음]. |
246 | 0 3 | ▼a 박기동 시집 |
260 | ▼a 서울 : ▼b 세계사 , ▼c 1997. | |
300 | ▼a 113 p. ; ▼c 21 cm. | |
490 | 0 0 | ▼a 세계사 시인선 ; ▼v 83 |
950 | 0 | ▼b \4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16 박기동 내 | Accession No. 1111115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2/ | Call Number 897.16 박기동 내 | Accession No. 1111115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기동(지은이)
강릉 왕산에서 태어났다. 강원대 체육교육과 및 성균관대 대학원을 졸업(이학박사: 조선후기무예사연구 -『무예도보통지』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했다. 1974년 12월 『시문학』의 <대학시집>에 시 「개」가 당선되었고, 1982년 5월 『심상』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漁夫 김판수 』(민족문화사. 1985 / 복간 : 달아실 출판사, 2017), 『내 몸이 동굴이다』(세계사, 1997), 『다시, 벼랑길』(창조문화, 2000), 『나는 아직도』(한결, 2008)가 있다. 2017년 강릉솔올꿈나무작은도서관 명예관장으로 위촉되었고, 2018년 현재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몸타령 = 9 發光魚 = 10 박쥐 = 11 깊은 바다 맨 밑바닥으로 = 13 하얀 욕망 = 14 누란 王國을 찾아서 = 15 한 여자 홍천 내면으로 들어가고 있었네 = 16 동굴에서 다시 부르는 연가 = 17 동굴과 바다, 혹은 넘어진 구렁이 = 18 내 몸이 동굴이다 = 19 내 몸 속 어딘가에 = 21 빙판주의 = 22 동굴안의 사막 = 23 겨울잠 = 24 깊은 강 = 26 길을 버린다 = 28 더 깊은 데로 = 29 사랑의 말은 지렁이로 온다 = 30 봄, 나 벼랑에 서다 = 31 내가 네 속으로 들어가 = 33 마흔이 서른에게 = 34 도둑 고양이 = 36 물 속 나라 = 37 부드럽게 타오르는 힘 = 38 오지 않는 막차를 타려고 하다 = 40 바다 생각 = 42 나에게 도끼를 = 43 청평사 가는길 = 44 再活 1 = 45 再活 2 = 46 再活 3 = 47 再活 4 = 48 再活 5 = 49 再活 6 = 50 再活 7 = 51 再活 8 = 52 再活 10 = 53 再活 11 = 55 再活 12 = 56 再活 15 = 58 再活 17 = 60 再活 18 = 61 再活 19 = 62 再活 21 = 63 再活 22 = 64 再活 24 = 65 북극 버드나무 = 67 겨우살이 = 68 화살통나무 = 69 내 안의 겨울나무 = 70 再活 28 = 72 4월에 낙엽송 숲에 들면 = 73 날아오르는 굴뚝새는 = 74 몸타령 = 75 포장지에 서정시를 = 77 편지 = 78 同行 = 80 枕木 = 81 가재미2 = 82 울음산(鳴聲山) = 83 새벽새 = 84 가재미1 = 85 가재 = 87 운주사로 가는 길 = 88 가재미3 = 89 가재미4 = 90 가재미5 = 91 운주사에서 = 92 첫사랑 = 93 시는 하나의 통로 = 94 그때 나는 = 95 나를 드러내는 일 = 96 수밀도 = 97 하늘로 = 98 통풍 = 99 식은 밥 = 101 [해설] 내몸이 서정시다 / 심재상 =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