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제1장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인터넷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 13
1.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와 논의의 필요성 = 13
2. 논의의 구성 = 19
제2장 기존 커뮤니케이션 관련논의와 인터넷 = 22
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에 대한 논의 = 23
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및 전개 = 24
2)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과 인터넷 = 31
2. 미디어 결정론(Media Determinism) = 38
1) Harold Innis, Marshall Mcluhan과 미디어 결정론 = 38
2) 미디어 결정론과 인터넷 = 47
제3장 인터넷에 대한 기본적 이해 = 51
1. 인터넷의 목표 및 정의 = 52
2. 기술적인 특성 = 54
1) TCP/IP통신 프로토콜 = 55
2) Client/Server Communication = 57
3. 발전역사 및 발전현황 = 59
1) 발전역사 = 59
2) 발전현황 = 64
3) 인터넷의 발전요인 분석 = 69
제4장 웹(WEB) 등장의 의미와 기존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분석 = 75
1. 웹의 개념 및 발전과정과 구현방법 = 76
1) 웹의 개념, 발전과정 = 76
2) 웹의 구현 = 80
2. 인터넷 발전에 미친 영향 = 87
3. 기존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 = 90
1) 인쇄미디어 : 신문 = 91
2) 전자미디어 : 텔레비전 방송 = 97
제5장 웹(WEB)의 미디어로서 특성 분석 = 107
1. 멀티미디어로서의 웹의 특성 = 108
1) 멀티미디어의 개념 = 108
2) 웹의 멀티미디어적 특징 = 110
3) 웹상에서의 멀티미디어 표현 = 112
2. 하이퍼미디어(Hyper-Media)의 특성 = 114
1) 하이퍼텍스트의 개념 및 발전과정 = 114
2) 하이퍼미디어와 웹 = 121
제6장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패러다임의 전환이슈 = 127
1. 패러다임 전환의 주요원인 = 128
1) 상호작용성과 양방향성 (Interactivity and Two-Way) = 128
2) 하이퍼텍스트 및 하이퍼미디어 (Hyper Media System) = 131
3) 디지털화 (Digitalization) = 132
4) 저장 및 광역성 (Storage and Broadness) = 134
5) 표준화 (Standardization) = 135
2.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주요 전환이슈 = 136
1) 수용자개념의 전환이슈 (Shifting issue of Receiver Definition) = 136
2) 선형패러다임의 전환이슈 (Shifting issue of Linearity Paradigm) = 139
3) 정보확장의 전환이슈 (Shifting issue of Information Expansion) = 142
4) 시공간 경계의 전환이슈 (Shifting issue of Time-Space Boundaries) = 144
5) 개별 미디어의 통합에 대한 전환이슈 (Shifting issue of Integration) = 146
제7장 토털미디어와 웹커뮤니케이션 모델 = 150
1. 토털미디어 관련 논의 = 151
2. 미디어 진화와 토털미디어 = 156
1) 미디어진화의 귀착점으로서 토털미디어 = 156
2) 토털미디어로서 웹 = 160
3. 웹 커뮤니케이션 모델 = 163
제8장 미디어 패러다임의 전개방향 및 향후 연구과제 = 167
참고문헌 = 171
관련 URL =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