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앙드레 바쟁의) 영화란 무엇인가

(앙드레 바쟁의) 영화란 무엇인가 (Loan 27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azin, André, 1918-1958 박상규, 역
Title Statement
(앙드레 바쟁의) 영화란 무엇인가 / 앙드레 바쟁 著 ; 박상규 譯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시각과 언어,   1998  
Physical Medium
477 p. : 삽화 ; 23 cm
Varied Title
Qu'est ce que le cinema
ISBN
8985449834
General Note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otion picture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00603122
005 20210506163915
007 ta
008 980826s1998 ulka 001c kor
020 ▼a 8985449834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49 1 ▼l 111110483 ▼l 111110484 ▼l 111110485
082 0 4 ▼a 791.43 ▼2 23
085 ▼a 791.43 ▼2 DDCK
090 ▼a 791.43 ▼b 1998i2
100 1 ▼a Bazin, André, ▼d 1918-1958 ▼0 AUTH(211009)41620
245 2 0 ▼a (앙드레 바쟁의) 영화란 무엇인가 / ▼d 앙드레 바쟁 著 ; ▼e 박상규 譯
246 1 9 ▼a Qu'est ce que le cinema
260 ▼a 서울 : ▼b 시각과 언어, ▼c 1998
300 ▼a 477 p. : ▼b 삽화 ; ▼c 23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Motion pictures
700 1 ▼a 박상규, ▼e
900 1 0 ▼a 바쟁, 앙드레,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 1998i2 Accession No. 1111104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791.43 1998i2 Accession No. 1310210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1 1998 Accession No. 1510650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 1998i2 Accession No. 1111104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791.43 1998i2 Accession No. 1310210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1 1998 Accession No. 1510650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프랑스의 영화평론가이자 <까이에 뒤 시네마 Cahiers du Cinema>의 발행인으로, 리얼리즘 영화 이론을 확립한 앙드레 바쟁의 평론집. 본래 모두 4권으로 출판되었고, 기 엔느벨르(Guy Hennevbelle)가 이 문집을 한권의 선집으로 출간했다. 선집은 1975년과 1985년 판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후자가 이 책의 대본이다.

목차의 순서대로, '사진적 영상의 존재론'에서 '영화언어의 진화'에 이르는 일곱 편의 글은 제1권 <존재론과 언어>(1958)에서 선집한 것으로, 영화예술의 철학적 기초를 목표로 쓴 것으로, 바쟁 영화사상의 요체가 집약되어 있는 부분이다. 다음 '비순수 영화를 위하여 -각색의 옹호'에서 '베르그송적 영화 -<피카소의 비밀>'까지 여섯 편의 글은 2권 <영화와 기타 예술들>(1959)에서 모은 것으로, 소설과 연극, 회화 등의 예술들과 영화의 관계에 초점을 둔 논문들이다.

'<독일 영년>'에서 '<영화에서의 에로티즘>의 여백에'로 이어지는 여섯 편의 글은 3권 <영화와 사회학>(1961)에 수록된 것으로 영화와 사회의 관계를 사회학적 관점에서 논한 글들이다. 마지막 '영화적 리얼리즘과 해방시대의 이탈리아 그룹'에서 '<유럽 51년>'까지 여덟 편은 4권 <현실의 미학 -네오리얼리즘>(1962, 이 책은 바쟁 사후 그의 친지들에 의해 편집, 출간되었다)에서 나온 글들로, 리얼리즘 영화들을 통해 영화에서의 리얼리즘 문제를 추구한 논문들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앙드레 바쟁(지은이)

1918년에 출생하여 1958년에 사망했다. 프랑스 앙제르 태생으로 생 클루드 국립고등사범학교를 나온 후, 왕성한 비평 활동으로 엄청난 양의 비평문을 발표했다. 40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영화사상 가장 중요하고도 영향력 있는 이론가이자 비평가로 활동했다. 그의 사후에 전 4권으로 출판된 전집《영화란 무엇인가?》(1958~62)는 트뤼포, 고다르, 리베트 등의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감독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할리우드 영화의 재평가 및 주요 영화작가로서 장 르누아르와 오손 웰즈의 위상을 확고히 해주었다. 또한 전후 이탈리아 네오 리얼리즘의 진가를 인정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영화이론가로서의 바쟁은 장-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적 현상학 하에서 리얼리즘 영화미학의 정립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박상규(옮긴이)

연세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및 이화여자대학교 등의 강사를 역임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홍익대학교에서 오랜 교수 생활을 한 뒤 정년 퇴임했다. 저서 및 역서로는 《윤리와 사상》(공저), 《서양 사상의궤적》(편역), 《西山 정석해 - 그 인간과 사상》, 《열린사회의 철학》, 《미학과 현상학》, 《새로운 사회》(E. H. 카), 《한국의 서지와 문화》(모리스 쿠랑), 《오늘의 역사철학》(한스 마이어호프), 《현상학 서설 : 데카르트적 성찰》(에드문트 훗설), 《휴머니즘과 예술철학에 관한 성찰》(토마스 어니스트 흄), 《예술의 비인간화》(오르테가 이 가세트) 등이 있으며, 에세이집으로《영혼과 상처》. 《선이 굵은 지식인이 그립다》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알림 = 7

머리말 = 9

Ⅰ 사진적 영상의 존재론 = 13

Ⅱ 완전영화의 신화 = 25

Ⅲ 영화의 탐험 = 35

Ⅳ 침묵의 세계 = 49

Ⅴ 윌로씨(氏)와 시간 = 57

Ⅵ 금지된 몽타주 = 69

Ⅶ 영화언어의 진화 = 87

Ⅷ 비순수 영화를 위하여 - 각색의 옹호 = 111

Ⅸ 영화(시골 사제의 일기)와 로베르 브레송의 문체론 = 145

Ⅹ 연극과 영화 = 173

ⅩⅠ 빠뇰의 경우 = 235

ⅩⅡ 회화의 영화 = 243

ⅩⅢ 베르그송적 영화 -(피카소의 비밀) = 251

ⅩⅣ (독일 영년(零年)) = 265

ⅩⅤ (마지막 휴가) = 271

ⅩⅥ 서부극 또는 특히 미국적인 미국영화 = 283

ⅩⅦ 서부극의 진화 = 297

ⅩⅧ 모범적 서부극 -(7인의 무뢰한) = 311

ⅩⅨ 『영화에서의 에로티즘』의 여백(余白)에 = 319

ⅩⅩ 영화적 리얼리즘과 해방시대의 이탈리아 영화 그룹 = 331

ⅩⅩⅠ (대지(大地)는 흔들린다) = 367

ⅩⅩⅡ (자전거 도둑) = 377

ⅩⅩⅢ 연출가 데 시카 = 397

ⅩⅩⅣ 화금석 (움베르토 D) = 423

ⅩⅩⅤ (카비리아의 밤), 또는 네오리얼리즘 끝으로의 여행 = 429

ⅩⅩⅥ 로셀리니의 옹호 = 441

ⅩⅩⅦ (유럽 51년) = 455

인용영화 찾아보기 = 459

역자의 말 = 47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
노만 (2023)
McCurdy, Jennett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