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5
서장 : 고대 한일관계사 연구와 문제점 = 13
제1편 4·5세기의 한일관계
제1장 일본서기 신공기(神功紀)의 사료비판 = 27
1. 서언 = 27
2. 기년논쟁과 신공기 기사 = 28
3. 신공기의 사료적 구성과 문제점 = 34
4. 신공기 46∼52년조의 사료비판 = 40
5. 결어 = 57
제2장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대외관계 - 고구려의 남방경영과 국제관계론 = 61
1. 서언 = 61
2. 신묘년조의 해석 문제 = 64
3. 영락 10년조의 해석과 국제관련-고구려의 남방경영과 그 파문 = 79
4. 영락 14·17년조의 정토기사와 그 성격 = 90
5. 왜의 실체와 출병의 사적배경 = 95
6. 결어 = 102
제3장 왜의 오왕시대(五王時代)의 대외관계 - 대송외교와 한반도 문제 = 107
1. 서언 = 107
2. 대송외교의 주체로서의 왜의 오왕-그 실체와 관련해서 = 108
3. 대송외교의 개시와 전개 = 113
4. 한반도 제국에 대한 군호 청구문제 = 121
5. 결어 = 131
제4장 칠지도명문(七支刀銘文)의 재검토 - 연호의 문제와 제작 연대를 중심으로 = 133
1. 서언 = 133
2. 연호를 둘러싼 제설의 검토 = 134
3. 칠지도(七支刀)와 칠지도(七枝刀)-신공기의 사료비판 = 139
4. 명문의 판독과 내용 = 143
5. 칠지도의 사적 의미-제작 연대와 관련하여 = 151
6. 결어 = 159
제2편 가야 제국과 한일관계
제1장 6세기 전반 가야 제국을 둘러싼 백제·신라의 동향 - 소위 '임나일본부'설의 구명을 위한 서장 = 163
1. 서언 = 163
2. 대산성전투와 백제의 가야 진출 = 164
3. 신라 법흥왕대의 가야정책 = 187
4. 안라가야를 둘러싼 백제·신라의 외교전 = 206
5. 결어 = 217
제2장 임나일본부론 - 소위 일본부관인의 출자를 중심으로 = 221
1. 서언 = 221
2. 연구사의 정리 = 222
3. 사료상에서 보이는 일본부의 해석 = 228
4. 일본부관인의 출자 = 234
5. 임나일본부의 실태 = 256
6. 결어 = 267
제3장 금관국의 멸망과 동아시아 = 269
1. 서언 = 269
2. 금관국 멸망 전야의 동아시아 정세-멸망 원인과 관련하여 = 270
3. 금관국의 멸망과 왜국 = 280
4. 금관국의 멸망과 백제·가야 제국 = 290
5. 결어-동아시아 속의 금관국 = 302
제4장 일본서기의 '임나의 조' 관계기사의 검토 = 309
1. 서언 = 309
2. '임나의 조' 관계기사의 사료적 구성 = 311
3. 민달기 4년조의 '4읍의 조' 기사 = 314
4. 추고기 8년조의 신라출병의 6성 할양기사 = 322
5. 추고기 18·19·31년조의 임나사 내조기사 = 325
6. 대화 2년조의 '임나의 조' 폐지와 공질기사 = 332
7. 결어 = 338
제3편 동아시아와 한일관계
제1장 5세기 이전 신라의 대왜관계 - 『삼국사기』왜 관계기사를 중심으로 = 343
1. 서언 = 343
2. 연구사의 검토 = 344
3.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왜 관계기사 = 348
4. 우로전승과 왜 = 370
5. 박제상전승과 왜 = 379
6. 결어 = 394
제2장 5세기 후반 백제와 왜국 - 곤지의 행적과 동성왕의 즉위사정을 중심으로 = 397
1. 서언 = 397
2. 5세기 후반 백제왕 계보와 곤지 = 399
3. 곤지의 도왜 사정 = 411
4. 곤지와 왜왕권 = 417
5. 동성왕의 즉위와 백제·왜국 관계의 신국면 = 422
6. 결어 = 428
제3장 백제의 대왜외교와 왕족 - 백제외교사의 일 특질 = 431
1. 서언 = 431
2. 왕족외교의 성립과 배경 = 432
3. 왕족외교의 전개 = 438
4. 왕족외교의 성격 = 454
5. 결어 = 460
제4장 개신정권(改新政權)의 성립과 동아시아 외교 - 을사의 정변에서 백촌강전투까지 = 463
1. 서언 = 463
2. 을사의 정변과 개신정권의 성립 = 464
3. 동아시아 외교의 전개 = 471
4. 균형외교의 파탄과 백제중심노선의 선택 = 480
5. 결어 = 487
종장 : 일본 고대국가의 형성과 한일관계 = 489
보론
보론1. 광개토왕비 연구와 한일관계사상(韓日關係史像) = 495
1. 서언 = 495
2. 왜주도형의 한일관계사상-참모본부로부터 관학파에 이르는 연구 = 496
3. 남북한 사학계의 한일관계사상-민족주의사학자로부터 근년에 이르는 연구 = 502
4. 고구려적 세계질서하의 한일관계사상 = 509
5. 결어 = 513
보론2. 일본서기에서 본 가야와 고대일본 = 515
1. 서언 = 515
2. 일본서기의 가야 관계기사의 구성과 문제점 = 516
3. 서부가야와 고대일본 = 520
4. 동부가야와 고대일본 = 524
5. 일본서기의 가야인식의 허와 실 = 529
6. 결어 = 532
찾아보기 =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