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와 세계 : 형식의미론

언어와 세계 : 형식의미론 (10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기용
서명 / 저자사항
언어와 세계 : 형식의미론 / 이기용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태학사 ,   1998.  
형태사항
396 p. ; 24 cm.
총서사항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학술총서 ; 1
ISBN
8976263138
일반주기
권말에 영-한 인명대조표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380-387 색인 : p.390-396
000 00738camccc200253 k 4500
001 000000597663
005 20100805114820
007 ta
008 980720s1998 ulk AC 001 kor
020 ▼a 8976263138 ▼g 94710 : ▼c \17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08949 ▼l 111108950 ▼l 111137929 ▼l 192020450 ▼f 菊史
082 0 4 ▼a 401.43 ▼2 21
090 ▼a 401.43 ▼b 1998a ▼c 1
100 1 ▼a 이기용 ▼0 AUTH(211009)93980
245 1 0 ▼a 언어와 세계 : ▼b 형식의미론 / ▼d 이기용 지음.
260 ▼a 서울 : ▼b 태학사 , ▼c 1998.
300 ▼a 396 p. ; ▼c 24 cm.
440 0 0 ▼a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학술총서 ; ▼v 1
500 ▼a 권말에 영-한 인명대조표 수록
504 ▼a 참고문헌 : p.380-387
504 ▼a 색인 : p.390-396
950 0 ▼b \17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01.43 1998a 1 등록번호 1111089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3 1998a 1 등록번호 1111379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국사 401.43 1998a 1 등록번호 192020450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01.43 1998a 1 등록번호 1510585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01.43 1998a 1 등록번호 1510585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01.43 1998a 1 등록번호 1111089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3 1998a 1 등록번호 1111379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국사 401.43 1998a 1 등록번호 192020450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01.43 1998a 1 등록번호 1510585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401.43 1998a 1 등록번호 1510585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기용(지은이)

미국 텍사스 오스틴 소재 텍사스 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1982년부터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89년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창설의 주축이 되어 언어학과로 자리를 옮겼으며 2002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다. 저서로는《언어와 세계》《시제와 양상》《상황과 정보》《전산형태론》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간행사 (정광) = 5

서문 (이정민) = 7

차례 개요 = 16

차례 = 17

제1부 의미론의 기초

 제1장 언어와 의미 = 25

  1 언어의 관찰 = 27

  2 언어와 세계 = 29

  3 언어와 인식 = 31

  4 언어와 진리 = 33

  5 맺음말 = 37

 제2장 의미론의 신국면 = 39

  1 머리말 = 41

  2 의미론의 정지작업 = 42

   2.1 새피어의 직관론 = 43

   2.2 블룸필드의 과학론 = 44

   2.3 촘스키의 생성이론 = 46

  3 의미론의 정립 = 49

   3.1 몬태규의 등장 = 49

   3.2 진리조건적 의미론 = 49

   3.3 모형이론 = 50

   3.4 유형이론 = 51

  4 맺음말 = 54

 제3장 의미론의 대상 = 55

  1 의미론의 위상 = 57

   1.1 기호와 의미 = 57

   1.2 어휘의미론과 형식의미론 = 60

   1.3 의미론의 문제점 = 62

  2 어휘의미론 = 65

   2.1 구조의미론 = 65

   2.2 성분분석론 = 69

   2.3 유형론 = 75

  3 진리론 = 83

   3.1 타르스키의 진리론 = 84

   3.2 진리정의의 예 = 90

  4 형식의미론 = 92

   4.1 명제논리 = 92

   4.2 술어논리 = 107

   4.3 양화논리 = 111

  5 가능세계의미론 = 119

   5.1 양상논리 = 120

   5.2 양상과 존재 = 127

  6 전망 = 129

제2부 몬태규 의미론

 제4장 몬태규 문법의 개요 = 133

  1 범주와 문법성 = 135

  2 기본개념 = 136

   2.1 범주 = 137

   2.2 사상 = 137

   2.3 순환성 = 139

  3 범주문법의 형식화 = 141

   3.1 통사규칙 = 142

   3.2 의미해석 = 145

  4 통사와 의미상의 대응 = 147

  5 적용: 국어의 범주문법 = 151

  6 맺음말 = 156

 제5장 몬태규 문법의 기초 = 157

  1 머리말 = 159

  2 통사분석 = 160

  3 기호언어 = 165

  4 번역과정 = 169

  5 의미해석 = 173

  6 맺음말 = 175

 제6장 몬태규 문법의 요약과 예시 = 177

  1 머리말 = 179

  2 몬태규 문법이론: 요약 = 180

   2.1 통사분석 = 180

   2.2 기호화 = 186

  3 예시: 수동문의 분석 = 196

   3.1 행위주없는 수동문 = 196

   3.2 수동문의 행위주 = 199

   3.3 수동문의 작용역 중의성 = 200

  4 맺음말 = 201

 제7장 몬태규 문법의 확장 = 203

  1 머리말 = 205

  2 통사범주의 논리유형 = 206

  3 통사규칙과 번역규칙 = 209

  4 의미공준 = 214

  5 파티의 수수께끼 = 218

  6 SPTQ의 확장 = 222

  7 맺음말 = 226

제3부 의미론의 실제

 제8장 영향권의 중의성 = 231

  1 머리말 = 233

  2 문제점 = 233

  3 프레게의 설명 = 236

  4 몬태규의 해결책 = 238

  5 투명동사에 대한 의미공준 = 243

  6 해석모형의 제약 = 245

  7 맺음말 = 248

 제9장 국어의 부정 = 249

  1 머리말 = 251

  2 송석중론 = 255

  3 부정의 영향권과 중의성= 265

  4 임홍빈론 = 273

  5 종합 = 285

  6 맺음말 = 290

 제10장 영어의 부정명사구 = 293

  1 문제제기 = 295

   1.1 부정명사구의 통사범주 = 296

   1.2 부정명사구의 의미유형 = 296

   1.3 부정명사구의 의미해석 = 297

   1.4 내포논리언어로의 번역 = 299

   1.5 논문의 구성 = 299

  2 두가지 부정명사구 T'과 T"의 비교 = 300

   2.1 명사구의 하위범주화 = 303

   2.2 부정명사구 T"구의 도출 = 316

  3 부정의 영향권 중의성 = 339

   3.1 부정과 양화사의 상호작용 = 342

   3.2 부정과 연결사의 상호작용 = 348

   3.3 양화사로서의 부정한정사 = 353

  4 요약 = 356

 제11장 지표표현의 해석 = 359

  1 문제제기 = 361

  2 형식화용론의 시도 = 364

   2.1 지표표현의 통사분석 = 365

   2.2 지표표현의 번역 = 367

   2.3 지표문의 해석 = 370

   2.4 수수께끼 풀이 = 379

  3 맺음말 = 379

참고문헌 = 380

영-한 인명대조표 = 388

찾아 보기 = 39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