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정광) = 5
서문 (이정민) = 7
차례 개요 = 16
차례 = 17
제1부 의미론의 기초
제1장 언어와 의미 = 25
1 언어의 관찰 = 27
2 언어와 세계 = 29
3 언어와 인식 = 31
4 언어와 진리 = 33
5 맺음말 = 37
제2장 의미론의 신국면 = 39
1 머리말 = 41
2 의미론의 정지작업 = 42
2.1 새피어의 직관론 = 43
2.2 블룸필드의 과학론 = 44
2.3 촘스키의 생성이론 = 46
3 의미론의 정립 = 49
3.1 몬태규의 등장 = 49
3.2 진리조건적 의미론 = 49
3.3 모형이론 = 50
3.4 유형이론 = 51
4 맺음말 = 54
제3장 의미론의 대상 = 55
1 의미론의 위상 = 57
1.1 기호와 의미 = 57
1.2 어휘의미론과 형식의미론 = 60
1.3 의미론의 문제점 = 62
2 어휘의미론 = 65
2.1 구조의미론 = 65
2.2 성분분석론 = 69
2.3 유형론 = 75
3 진리론 = 83
3.1 타르스키의 진리론 = 84
3.2 진리정의의 예 = 90
4 형식의미론 = 92
4.1 명제논리 = 92
4.2 술어논리 = 107
4.3 양화논리 = 111
5 가능세계의미론 = 119
5.1 양상논리 = 120
5.2 양상과 존재 = 127
6 전망 = 129
제2부 몬태규 의미론
제4장 몬태규 문법의 개요 = 133
1 범주와 문법성 = 135
2 기본개념 = 136
2.1 범주 = 137
2.2 사상 = 137
2.3 순환성 = 139
3 범주문법의 형식화 = 141
3.1 통사규칙 = 142
3.2 의미해석 = 145
4 통사와 의미상의 대응 = 147
5 적용: 국어의 범주문법 = 151
6 맺음말 = 156
제5장 몬태규 문법의 기초 = 157
1 머리말 = 159
2 통사분석 = 160
3 기호언어 = 165
4 번역과정 = 169
5 의미해석 = 173
6 맺음말 = 175
제6장 몬태규 문법의 요약과 예시 = 177
1 머리말 = 179
2 몬태규 문법이론: 요약 = 180
2.1 통사분석 = 180
2.2 기호화 = 186
3 예시: 수동문의 분석 = 196
3.1 행위주없는 수동문 = 196
3.2 수동문의 행위주 = 199
3.3 수동문의 작용역 중의성 = 200
4 맺음말 = 201
제7장 몬태규 문법의 확장 = 203
1 머리말 = 205
2 통사범주의 논리유형 = 206
3 통사규칙과 번역규칙 = 209
4 의미공준 = 214
5 파티의 수수께끼 = 218
6 SPTQ의 확장 = 222
7 맺음말 = 226
제3부 의미론의 실제
제8장 영향권의 중의성 = 231
1 머리말 = 233
2 문제점 = 233
3 프레게의 설명 = 236
4 몬태규의 해결책 = 238
5 투명동사에 대한 의미공준 = 243
6 해석모형의 제약 = 245
7 맺음말 = 248
제9장 국어의 부정 = 249
1 머리말 = 251
2 송석중론 = 255
3 부정의 영향권과 중의성= 265
4 임홍빈론 = 273
5 종합 = 285
6 맺음말 = 290
제10장 영어의 부정명사구 = 293
1 문제제기 = 295
1.1 부정명사구의 통사범주 = 296
1.2 부정명사구의 의미유형 = 296
1.3 부정명사구의 의미해석 = 297
1.4 내포논리언어로의 번역 = 299
1.5 논문의 구성 = 299
2 두가지 부정명사구 T'과 T"의 비교 = 300
2.1 명사구의 하위범주화 = 303
2.2 부정명사구 T"구의 도출 = 316
3 부정의 영향권 중의성 = 339
3.1 부정과 양화사의 상호작용 = 342
3.2 부정과 연결사의 상호작용 = 348
3.3 양화사로서의 부정한정사 = 353
4 요약 = 356
제11장 지표표현의 해석 = 359
1 문제제기 = 361
2 형식화용론의 시도 = 364
2.1 지표표현의 통사분석 = 365
2.2 지표표현의 번역 = 367
2.3 지표문의 해석 = 370
2.4 수수께끼 풀이 = 379
3 맺음말 = 379
참고문헌 = 380
영-한 인명대조표 = 388
찾아 보기 =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