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 5
서문 = 7
차례 개요 = 12
차례 = 13
제1부 국어의 시제와 상
제1장 시간론: '지금'의 의미 = 21
1. 머리말 = 23
2. 현재시와 발화시 = 25
3. '지금'의 의미 = 27
3.1 '지금'과 '현재' = 27
3.2 '지금'과 '방금'/'금방' = 32
3.3 현재시의 근방 = 34
3.4 '지금'의 생략 = 36
3.5 '지금'과 '조금 전/후' = 38
4. 현재의 추정 = 40
5. 맺음말 = 42
제2장 시제의 형식화 = 45
1. 머리말 = 47
2. 시제분류의 기준과 문제점 = 48
2.1 시제분류의 기준 = 49
2.2 시제분류의 문제점 = 52
3. 기초작업: 시제설정과 그 적용 = 53
3.1 시제의 설정 = 53
3.2 시제의 의미표상 = 55
3.3 시제의 내포 = 58
3.4 내포시제의 의미표상 = 59
4. 시제문의 진리조건 = 62
4.1 시제문과 참조점 = 62
4.2 상태동사 시제문의 진리조건 = 66
4.3 행동동사 시제문의 진리조건 = 70
4.4 이행동사 시제문의 진리조건 = 72
4.5 요약: 시제문의 진리조건 = 74
5. 시제와 존재 = 75
5.1 창조동사 시제문과 존재 = 75
5.2 이행동사 시제문과 존재 = 79
5.3 요약: 시제문과 존재 = 83
6. 미래와 추정 = 84
6.1 시간표현과 미래 = 84
6.2 '겠'의 의미 = 86
6.3 추정 시제문의 진리조건 = 88
7. 종합과 체계화 = 88
7.1 종합 = 88
7.2 국어의 시제체계 정립 = 93
제3장 회상적 의미에 대한 상황이론적 분석 = 103
1. 머리말 = 105
2. 보고적 의미와 관찰점 = 106
2.1 '더'의 보고적 해석: 진리조건 = 106
2.2 관찰적 접근 = 107
2.3 '더'의 관찰적 해석 = 108
2.4 보고적 현재 = 110
3. 관찰점과 담화점 = 111
4. 국어의 보고적 의미 = 113
4.1 과거보고상 = 113
4.2 '더'의 보고적 해석: 종합 = 115
5. 맺음말 = 117
제2부 국어의 양상
제4장 인식논리시론 = 121
1. 머리말 = 123
2. 앎의 종류 = 128
3. 앎과 믿음 = 134
4. 앎과 짐작 = 136
5. 모름 = 139
6. 문제점 = 145
제5장 언어와 추정 = 149
1. 머리말 = 151
2. 인식논리 = 153
3. 짐작(추정)의 성립조건 = 157
3.1 짐작과 믿음 = 157
3.2 짐작과 앎 = 161
4. 짐작과 회화규칙 = 172
5. '겠'과 '을 것'의 분석 = 177
5.1 앎과 '겠/'을 것' = 178
5.2 믿음과 '겠'/'을 것' = 180
5.3 확신과 '겠'/'을 것' = 183
5.4 인식표현의 중첩 = 186
6. 맺음말 = 189
제6장 '겠'의 중의성 발론 = 191
1. 머리말 = 193
2. 의도의 '겠' 반론 = 194
3. 의도의 성립조건 = 198
4. '겠'문장의 의도성 분석 = 201
5. '겠'과 의도의 표현들 = 202
제7장 의도의 언명 = 209
1. 머리말 = 211
2. 의도의 개념 = 211
3. 의도를 나타내는 동사 어미들 = 215
4. 의도를 나타내는 '겠'의 부정 = 222
5. 추측의 '겠'과 의도 = 225
6. 맺음말 = 227
제3부 영어의 시제와 상
제8장 상적 자질로서의 반복상 = 231
1. 머리말 = 233
1.1 반복문의 의미 = 233
1.2 반복상의 설정 목적 = 234
2. 반복상의 설정 = 236
2.1 반복상과 현재시제 = 236
2.2 반복상의 표지 = 237
2.3 반복상과 부사 = 238
3. 목적어 명사구 제한 =244
3.1 반복상과 동사의 목적어 = 244
3.2 목적어 선택제약Ⅰ = 246
3.3 목적어 선택제약Ⅱ = 248
4. 맺음말 = 249
제9장 시상의 논리 = 251
1. 머리말 = 253
2. 언어학과 논리학의 공통점 = 253
3. 시상의 기본개념 = 256
3.1 현재시 = 257
3.2 시간의 선후관계 = 263
4. 영어의 현재완료형 = 266
4.1 현재완료에 대한 제이론 = 267
4.2 현재완료의 정의 = 272
4.3 문제의 핵심 = 273
5. 맺음말 = 276
제10장 시상에 관한 의미공준의 설정 = 279
1. 머리말 = 281
2. 의미공준 = 281
2.1 어휘의미부 = 282
2.2 통사부 = 284
2.3 의미해석 = 286
3. 시상의 의미공준 = 288
3.1 행동동사와 성취동사 = 288
3.2 창조동사와 파괴동사 = 292
3.3 시간적 선후관계 = 294
3.4 행동의 시간적 양태 = 295
4. 맺음말 = 296
제11장 시제에 대한 상황의미론적 접근 = 297
1. 머리말 = 299
2. 힌릭스의 해법 = 300
2.1 시제와 부정 = 301
2.2 시제와 시간부사 = 301
2.3 시제와 양화명사구 = 302
2.4 시간 조응어 = 303
3. 상황이론적 접근방법 = 304
3.1 시제와 부정 = 308
3.2 시제와 시간부사 = 310
3.3 시제와 양화명사구 = 313
3.4 시간 조응어 = 315
4. 맺음말 = 323
참고문헌 = 324
영-한 인명 대조표 = 329
찾아 보기 =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