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9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596587 | |
005 | 20100805113823 | |
007 | ta | |
008 | 980616s1997 ulkj 001 kor | |
020 | ▼a 8930035523 ▼g 93340 : ▼c \18000 | |
040 | ▼a 211009 ▼b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08620 ▼l 111108621 ▼l 111108622 |
082 | 0 4 | ▼a 331.8 ▼2 21 |
090 | ▼a 331.8 ▼b 1997 | |
100 | 1 | ▼a 최장집 ▼0 AUTH(211009)67484 |
245 | 1 0 | ▼a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 ▼d 최장집 저. |
246 | 0 1 | ▼a Labor movement and the state in Korea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 , ▼c 1997. | |
300 | ▼a 524 p. : ▼b 연표 ; ▼c 24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552 |
500 | ▼a 추론, 한국노동운동 연표(1961-1997) 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p.479-505 | |
504 | ▼a 색인 : p.507-524 | |
950 | 0 | ▼b \18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111086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113376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111086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510977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510977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111086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113376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111086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510977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8 1997 | 등록번호 1510977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난 1988년 출간된 초판을 보완한 것으로, 1961년 5·16 쿠데타 이후부터 신군부의 5공화국까지 노동운동을 국가·자본·노동의 역학관계 속에서 다룬 책. 이번 책에는 1987년 이후 변화한 노동 상황을 다룬 '한국 노동계급의 정치세력화 문:1987∼1992' '민주주의 이행하에서의 한국 노동운동' '1997년 1월 총파업과 한국 노동운동의 발전전망' 등 3개의 논문이 추가되었다.
이 책에서는 노동자의 정치세력화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데, 이는 노동자를 배제한 민주주의는 있을 수 없다는 원칙에서부터 출발하여 "노동문제의 민주화만이 양적 성장의 1단계를 넘어 질적 성장의 2단계로 도약할 수 있다"는 논리로 귀결된다. 즉 계급의 위상변화는 민주화를 공고히하고 '쉬운 경제성장'에서 '어려운 경제성장'의 단계로 이행하는 데 필수요소라는 것이다. 또한 이 책에 서는 우리나라 노동자의 정치세력화는 다계급적 이익을 대변해야 한다는 점과 이념에 있어서는 사회주의나 마르크스주의와는 관계가 없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장집(지은이)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및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 대학,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 코넬 대학과 스탠퍼드 대학 객원교수 및 일본 아시아경제연구소 객원연구원,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한국 현대 정치의 구조와 변화』,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 『한국 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민주화』, 『민중에서 시민으로』, 『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인간적 상처들』, 『어떤 민주주의인가』(공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13 1. 일반적인 이론틀로서의 코포라티즘 = 16 2. 한국적 맥락에서의 국가 코포라티즘 = 25 3. 설명의 영역과 방법 = 39 제2장 제조업 부문 노동조합의 성장유형 : 개관 = 43 1. 전국 산업별 노동조합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조직 = 44 2. 조합원의 증가 : 양적 증가와 조직률 = 47 제3장 제조업 부문 노동조합의 성장유형 : 분석 = 59 1. 대외종속적 산업화와 노동자계급의 형성 = 59 2. 문화적 및 이념적 성향 = 83 제4장 노동조합 설립에 관한 정책과 실제 = 101 1. 정치적 법적 통제의 구조와 변화과정 = 101 2. 노조설립의 실제 = 112 3. 결론 = 125 제5장 노동조합의 구조와 내부역학 : 사업장 수준에서 = 127 1. 노동조합의 조직상의 목적 = 127 2. 사업장 수준에서의 노동조합들 = 132 3. 노조의 자주성과 노조내 민주주의의 관계 = 162 제6장 노동조합의 구조와 내부역학 : 전국 수준에서 = 169 1. 전국 수준의 노조와 그 조직에 대한 통제 = 169 2. 결론 = 193 제7장 노동생산성과 逆조합기구의 결성 = 197 1. 노동통제의 실제 : 노사협의회와 공장 새마을운동 = 197 2. 결론 = 216 제8장 강력한 관료국가와 공공정책결정 = 217 1. 국가와 노동계급 간의 관계형성 = 217 2. 산업정책 결정의 구조와 과정 = 231 3. 정당과 입법부에 대한 행정부 우위의 추세 = 242 4. 노동청의 역할과 지위 = 247 제9장 국가당국과의 상호접촉 = 253 1. 지부 수준에서의 상호접촉 = 253 2. 전국 수준에서의 상호접촉 = 260 3. 결론 = 277 제10장 영향력의 유형 = 279 1. 영향력 분석에 관한 범주와 틀 = 279 2. 공식적 정책결정 채널을 통한 영향력 = 282 3. 단체교섭과 노동시장에서의 영향력 = 297 4. 단체행동에 의한 영향력 = 312 5. 영향력의 요약 평가 = 324 6. 노동조합 활동의 효율성 = 328 제11장 결론 = 337 추론 1. 한국 노동계급의 정치세력화 문제, 1987∼1992 = 335 2. 민주주의 이행하에서의 한국 노동운동 = 383 3. 1997년 '1월 총파업'과 한국 노동운동의 발전전망 = 421 한국노동운동 연표(1961∼1997) = 445 참고문헌 = 479 찾아보기 =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