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chapter 1 영어학 개관
Ⅰ. 언어와 언어학 = 13
Ⅱ. 영어학과 언어학 = 21
Ⅲ. 영어철자법 = 33
1. 개관 = 33
2. 체계와 발달 = 36
3. 고대영어 철자 = 39
4. 중세영어 철자 = 44
5. 현대영어 철자 = 47
6. 영어 철자법의 변천 과정 = 50
7. 미국영어 철자 = 53
chapter 2 영어 음성학
Ⅰ. 정의 = 67
Ⅱ. 언어와 음성 = 68
1. 개관 = 68
2. 발성기관 = 70
3. 조음작용 = 71
4. 음소와 음소론 = 71
Ⅲ. 음의 분류 = 72
1. 모음 = 72
2. 자음 = 77
3. 음변화 또는 연음 = 81
Ⅳ. 강세 = 83
Ⅴ. 음조 또는 억양 = 84
1. 개관 = 84
2. 억양집단 = 85
Ⅵ. 음운론 = 87
1. 개관 = 87
2. 음운규칙 = 88
3. 음운론적 이형태, 상관, 대립 = 88
Ⅶ. 발음과 음변화의 통시적 고찰 = 89
1. 인구어 = 89
2. 게르만어 = 91
3. 고대영어 = 91
4. 중세영어 = 94
5. 현대영어 = 96
chapter 3
Ⅰ. 형태론이란 무엇인가? = 103
Ⅱ. 형태소 = 104
1. 개관 = 104
2. 형태소와 음소 = 105
3. 형태음운론 = 105
4. 형태소의 종류 = 107
5. 형태상의 구분 = 108
Ⅲ. 어휘형성과정 = 110
1. 고대영어 = 110
2. 중세영어 = 120
3. 전기 현대영어 = 125
4. 후기 현대영어 = 129
Ⅳ. 의미변화 = 159
1. 개관 = 159
2. 의미의 발달 = 160
3. 금기와 완곡어법 = 162
4. 의미의 전이와 강의어의 약화 = 163
5. 관용구 = 164
chapter 4
Ⅰ. 전통문법 = 165
1. 개관 = 165
2. 비교언어학 = 168
3. 유형 = 170
4. 굴절의 변환과 형태론 = 179
Ⅱ. 구조문법 = 195
1. 개관 = 195
2. 형태소 = 201
3. 이형태 = 202
4. 접사 = 202
5. 관용구 = 203
6. 형태음소론 = 203
7. I.C.분석 = 204
8. 중의적인 문장 = 205
9. 구조주의 언어학과 외국어 교수법 = 207
Ⅲ. 변형생성문법 = 209
1. 개관 = 209
2. 언어학과 인접학문 = 214
3. 도입 = 218
4. 표준이론과 확대표준이론 = 219
5. 생성의미론 = 223
6. 기저부문과 심층구조 = 227
7. 변형의 유형 = 235
8. 변형생성문법과 외국어 교수법 = 242
chapter 5
Ⅰ. 의미론과 화용론 = 245
1. 언어적 문맥 = 246
2. 물리적 문맥 = 246
Ⅱ. 담화분석 = 248
1. 응집력 = 249
2. 시종일관성 = 250
Ⅲ. 의미론의 영역 = 251
Ⅳ. 의미란 무엇인가? = 256
Ⅴ. 의미를 표시하는 방법 = 258
1. 형태소에 의한 방법 = 259
2. 문법구조에 의한 방법 = 259
3. 담화 및 화용적 내용에 의한 방법 = 260
Ⅵ. 의미의 차원 = 261
Ⅶ. 사고와 언어 = 263
Ⅷ. 의미역할 = 265
1. 행위자 = 266
2. 도구 = 266
3. 피해자 또는 목적 = 267
4. 장소, 목표 또는 근원 = 267
Ⅸ. 의미변화 = 269
1. 비연속성 = 270
2. 의미의 모호성 = 270
3. 중의성 = 272
4. 동기결핍 = 273
5. 다의어 = 273
6. 어휘구조 = 274
Ⅹ. 의미변화의 원인 = 274
1. 언어적 원인 = 274
2. 역사적 원인 = 275
3. 사회적 원인 = 275
4. 심리적 원인 = 275
5. 외국어의 영향 = 276
XI. 의미론의 역사 = 276
1. 형태론에 치중하였던 시기 = 276
2. 구문론에 치중하였던 시기 = 277
3. 의미론에 치중한 시기 = 277
4. 화용론에 치중한 시기 = 278
chapter 6
Ⅰ. 개관 = 279
1. 연도별 구분 = 279
2. 양상 = 279
Ⅱ. 인구어 = 288
1. 개관 = 288
2. 인구어족의 구분 = 295
Ⅲ. 게르만어 = 298
1. 개관 = 298
Ⅳ. 고대영어시대 = 303
1. 개관 = 303
2. 로마의 Britons 정복 = 304
3. Anglo-Saxons의 Britons 정복 = 306
4. Danes 침입 = 311
5. 고대영어 = 313
Ⅴ. 중세영어시대 = 321
1. 개관 = 321
2. Norman Conquest = 321
3. Henry 3세 시기 = 326
4. 백년전쟁 = 327
5. Henry 4세와 장미전쟁 = 327
6. 방언 = 328
7. 중세영어 = 330
Ⅵ. 초기 현대영어시대 = 338
1. 개관 = 338
2. 문예부흥 = 340
3. 로만스제어 = 348
4. 현대영어 = 351
5. Shakespeare 시대 = 352
6. The House of Stuart와 청교도 시대 = 361
7. 시대적 변천 = 366
Ⅶ. 후기 현대영어시대 = 370
1. 개관 = 370
2. 문법학자들 = 372
3. Samuel Johnson과 그의 문체 = 377
4. 영토확장과 19세기 영어 = 379
5. 문법책과 과학의 성장 = 381
6. 사전출간 = 382
7. 차용어 = 384
Ⅷ. 미국영어 = 389
1. 개관 = 389
chapter 7 영어교수법
Ⅰ. 제2언어와 외국어의 차이점 = 404
Ⅱ. 학습과 습득 = 405
Ⅲ. 학습이론 = 406
1. 이성주의 가설 = 406
2. 경험주의 가설 = 407
3. 형태이론 = 408
4. 행동주의 = 409
Ⅳ. 제2언어 습득이론 = 412
1. 습득-학습의 구분 = 412
2. 자연순서 가설 = 413
3. 모니터 가설 = 413
4. 입력 가설 = 414
5. 감정여과 가설 = 416
Ⅴ. 언어교수법의 역사 = 417
Ⅵ. 언어교수 방법 = 419
1. 문법-번역식 방법 = 420
2. 청취발화법 = 420
3. 직접교수 방법 = 421
4. 자연방법 = 421
5. 인지적 부호방식 = 422
6. 전신반응법 = 423
7. 무언교수법 = 424
8. 집단언어학습법 = 424
9. 최면연상법 = 425
10. 의사소통중심의 교수방법 = 426
11. 신자연방법 = 428
12. 요약 = 429
Ⅶ. 평가기준 및 방법 = 429
1. 평가목적 및 평가유형 = 433
2. 평가시기 = 435
3. 평가방법 = 436
4. 평가내용 = 437
Ⅷ. 교안 = 438
1. 교안작성에 필요한 요소 = 440
2. 교안에 따른 교수자료 = 442
chapter 8 듣기지도 및 발음지도
Ⅰ. 듣기지도 = 447
1. 듣기지도의 중요성 = 447
2. 청해 영역과 언어 연구 = 447
3. 청해와 언어학습 = 449
4. 듣기 행위와 언어 기능 = 452
5. 듣기, 감정, 정서, 그리고 태도 = 456
6. 듣기 활동과 자료 개발 = 458
7. 의사소통적인 결과 = 461
8. 자체접근, 자체학습 듣기와 언어학습 = 464
9. 결론 = 466
Ⅱ. 발음지도 = 466
1. 발음지도의 방법 = 466
2. 발음지도의 내용 = 469
3. 발음지도의 실제 = 471
4. 문맥화시켜서 발음을 교수 = 472
5. 의사소통 활동 = 480
6. 개별화된 훈련 = 482
7. 실행 = 484
8. 학급교수와 자료에 대한 평가 = 487
chapter 9 말하기지도
Ⅰ. 말하기지도 = 491
1. 목표 = 493
2. 여러 가지 활동 = 494
3. 평가방법 = 500
4. 결론 = 501
Ⅱ. 담화행동지도 = 503
1. 담화지도의 중요성 = 503
2. 담화행동이란 무엇인가 = 505
3. 담화행동의 예 = 506
4. 담화행동지도 = 510
5. 사과하는 담화행동을 지도하는 목적 = 513
6. 지도 방법 = 513
7. 담화행동자료의 고안 = 515
8. 결과 = 518
chapter 10 읽기지도
Ⅰ. 읽기지도 = 519
1. 범위 = 519
2. 다방면에 걸친 행동으로서의 읽기 = 519
3. 읽기지도에 사용되는 다양한 접근 방법 = 528
4. 요약 = 533
Ⅱ. 성인의 독해지도 및 훈련 = 534
1. 성인에 대한 영어 독해 지도 문제 = 534
2.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방법 = 535
3. 초급반 독자의 특징 = 538
4. 교실과 학급 = 540
5. 자료와 텍스트 = 540
6. 초급반의 교수 방법 = 541
7. 결론 = 547
chapter 11 쓰기지도
Ⅰ. 쓰기지도 = 549
1. 쓰기지도의 역할 = 549
2. 쓰기의 기계적인 방법과 구조 = 549
3.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550
4.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553
5. 고급단계의 쓰기과업 = 555
6. 실제적인 쓰기과업 = 555
7. 감동을 불러 일으키는 쓰기과업 = 557
8. 학교 지향적인 과업 = 558
9. 결론 = 558
Ⅱ. 외국어로서의 영어쓰기지도 = 559
1. 쓰기지도의 변화과정 = 559
2. 쓰기 교과과정 = 562
3. 쓰기교실 = 566
4. 쓰기수업에서 독해를 이용하는 방법 = 569
5. 쓰기숙제 = 571
6. 학생들의 작문에 대한 교사의 반응 = 574
7. 오류 정정 = 578
8. 결론 = 580
Ⅲ. 쓰기지도와 문법의 역할 = 580
1. 작문과 문법 = 580
2. 쓰기지도에 문법을 통합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침 = 582
3. 텍스트 분석 = 583
4. 통제작문 훈련 = 585
5. 받아쓰기 = 586
6. 텍스트 끌어내기 = 587
7. 텍스트 전환 = 588
8. 텍스트 완성 = 590
9. 편집하기 = 591
10. 오류감지와 교정훈련 = 591
11. 크게 읽는 방법 = 592
12. 알고리듬 = 593
13. 교사의 교정과 오류에 대한 반응 = 593
14. 결론 = 595
chapter 12 오류지도
Ⅰ. 오류지도 = 597
1.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지도 문제 = 597
2. 오류의 중요성 = 598
3. 오류분석의 단계 = 600
4. 오류분석의 한계성 = 609
chapter 13 영어지도와 대중매체, 그리고 컴퓨터를 통한 영어지도
Ⅰ. 영어지도와 대중매체, 그리고 컴퓨터를 통한 영어지도 = 613
1. 대중매체로서의 컴퓨터 = 613
2. 잡지그림을 매체로 이용한 영어 지도안 = 615
3. 컴퓨터와 영어지도 = 616
4. 컴퓨터를 이용한 영어지도 가능 분야 = 617
Ⅱ. 현재 우리나라에서 구입가능한 컴퓨터 보조영어학습자료 = 625
1. 사전류 = 626
2. 영어회화용 학습자료 = 626
chapter 14 외국어 능숙도 및 교재선택과 평가
Ⅰ. 외국어 능숙도 평가 = 655
1. 언어 능숙도를 측정하는 지침 = 655
2. TOEFL = 661
3. Brown과 Bailey의 쓰기과업 평가척도 = 663
Ⅱ. 교재선택과 평가 = 665
1. 교재의 중요성 = 665
2. 학습자들에 대한 배경 정보 = 666
3. 교사들에 대한 배경 정보 = 666
4. 교과 요목 = 667
5. 제도상의 자료 = 668
6. 교재 판단기준 분석 = 668
색인 = 677
참고문헌 = 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