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11
1.1 언어의 중요성 = 11
1.2 언어의 기능 = 12
1.3 담화와 의사소통 = 13
1.4 담화와 텍스트 = 15
1.5 텍스트성 = 18
1.5.1 응결성 = 19
1.5.2 응집성 = 20
1.5.3 의도성 = 22
1.5.4 용인성 = 24
1.5.5 정보성 = 27
1.5.6 상황성 = 28
1.5.7 상호텍스트성 = 29
1.6 담화 상황 = 29
1.7 요약 = 31
제2장 담화 자질 = 33
2.1 주어진 정보와 신정보 = 33
2.2 한정성과 특정성 = 43
2.3 의사소통 역량 = 46
2.4 감정이입 = 48
2.5 요약 = 62
제3장 주제 = 65
3.1 주제의 개념 = 65
3.1.1 주제의 기능 = 66
3.1.2 주제의 선택 = 66
3.2 주제의 표현 = 68
3.2.1 주제 표현의 특성 = 68
3.2.2 주제의 수 = 70
3.3 주제의 유형 = 71
3.3.1 무표적 주제 = 71
3.3.2 유표적 주제 = 72
3.4 주제화와 어순 변형 = 72
3.4.1 주제화 = 72
3.4.2 좌향전위 = 78
3.4.3 우향전위 = 81
3.4.4 수동화 = 82
3.5 요약 = 95
제4장 초점 = 97
4.1 초점의 개념 = 97
4.2 초점의 표현 = 98
4.2.1 음운적 방법 = 98
4.2.2 통사적 방법 = 99
4.2.3 초점의 수 = 100
4.3 초점의 유형 = 102
4.3.1 문미 초점 = 102
4.3.2 대조적 초점 = 104
4.4 초점화 부가어 = 105
4.4.1 부가어의 유형 = 106
4.4.2 부가어의 위치 = 107
4.5 초점화와 어순 변형 = 111
4.5.1 There 삽입 = 112
4.5.2 서술어 도치 = 118
4.5.3 문주어 외치 = 124
4.5.4 관계절 외치 = 126
4.5.5 여격이동 = 132
4.5.6 분리구문 = 132
4.6 요약 = 138
제5장 지시 = 141
5.1 지시의 개념 = 141
5.2 지시의 유형 = 142
5.2.1 상황적 지시 = 142
5.2.2 문맥적 지시 = 142
5.3 지시 표현 = 143
5.3.1 한정적 표현 = 144
5.3.1.1 고유명사 = 144
5.3.1.2 한정 명사구 = 145
5.3.1.3 인칭대명사 = 148
5.3.1.4 소유사 = 152
5.3.1.5 재귀대명사 = 153
5.3.1.6 지시사 = 155
5.3.2 비한정적 표현 = 164
5.4 요약 = 166
제6장 생략 = 167
6.1 생략의 개념 = 167
6.2 생략의 특성 = 167
6.2.1 맥락의존성 = 168
6.2.2 복원가능성 = 168
6.2.3 동일성 = 170
6.2.4 선택성 = 171
6.3 생략의 동기 = 172
6.3.1 경제성 = 173
6.3.2 정보성 = 174
6.3.3 응결성 = 176
6.4 생략의 유형 = 178
6.4.1 문맥 생략 = 178
6.4.2 상황 생략 = 179
6.4.3 구조적 생략 = 180
6.4.4 전보적 생략 = 182
6.5 요약 = 183
제7장 대용 = 185
7.1 대용의 개념 = 185
7.2 대용의 특성 = 186
7.2.1 맥락의존성 = 186
7.2.2 복원가능성 = 188
7.3 대용의 동기 = 189
7.3.1 경제성 = 190
7.3.2 정보성 = 190
7.3.3 응결성 = 191
7.4 대용의 유형 = 192
7.4.1 명사 대용 = 192
7.4.2 동사 대용 = 198
7.4.3 절 대용 = 204
7.5 요약 = 209
제8장 직시 = 211
8.1 직시의 개념 = 211
8.2 직시의 중심 = 212
8.2.1 무표적 중심 = 212
8.2.2 유표적 중심 = 213
8.3 직시적 표현 = 214
8.3.1 제스처 용법 = 215
8.3.2 상징적 용법 = 215
8.4 직시의 유형 = 216
8.4.1 인칭 직시 = 217
8.4.2 장소 직시 = 228
8.4.3 시간 직시 = 231
8.4.4 담화 직시 = 233
8.4.5 사회 직시 = 236
8.5 요약 = 240
제9장 시제 = 243
9.1 시제의 개념 = 243
9.2 시제의 기본 기능 = 244
9.3 담화 상의 선택 조건 = 246
9.3.1 생동감 있는 표현 = 246
9.3.2 정중한 표현 = 252
9.3.3 화자의 지각 = 255
9.3.4 과거 사건의 유효성 = 257
9.3.5 메시지의 사실성 = 258
9.3.6 개인 관계 = 261
9.3.7 정보의 유형 = 263
9.3.8 언표내적 행동의 표현 = 267
9.4 요약 = 270
제10장 전제 = 271
10.1 전제의 개념 = 271
10.2 역사적 배경 = 272
10.3 언어학적 연구 = 277
10.3.1 의미론적 설명 = 278
10.3.2 문제가 되는 속성 = 289
10.3.2.1 취소가능성 = 289
10.3.2.2 투사문제 = 294
10.3.3 화용론적 설명 = 297
10.4 요약 = 307
참고문헌 = 311
찾아보기 =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