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593144 | |
005 | 20230720123545 | |
007 | ta | |
008 | 980626s1997 ulk b 000c kor | |
020 | ▼a 8986099403 ▼g 03300 | |
020 | ▼a 9788988089705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07765 ▼l 111107766 ▼l 111107767 |
082 | 0 4 | ▼a 302.23 ▼2 22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1997h | |
100 | 1 | ▼a McLuhan, Marshall, ▼d 1911-1980 ▼0 AUTH(211009)32196 |
245 | 1 0 | ▼a 미디어의 이해 / ▼d 마셜 매클루언 지음 ; ▼e 박정규 옮김 |
246 | 1 9 | ▼a Understanding media : ▼b the extension of man |
246 | 1 3 | ▼a 인간의 확장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1997 | |
300 | ▼a xi, 436 p. ; ▼c 23 cm | |
440 | 0 0 | ▼a 매클루언 ; ▼v 1 |
504 | ▼a 참고문헌: p. 433-436 | |
650 | 0 | ▼a Communication |
650 | 0 | ▼a Communication and traffic |
650 | 0 | ▼a Technology and civilization |
700 | 1 | ▼a 박정규, ▼g 朴正圭, ▼d 1945-, ▼e 역 ▼0 AUTH(211009)32565 |
900 | 1 0 | ▼a 매클루언, 마셜,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 1997h | Accession No. 1111077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 1997h | Accession No. 1111077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No,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허버트 마셜 매클루언(지은이)
이 시대 가장 논쟁적이고 독창적인 사상가 중의 한 사람.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미디어에 대한 독특한 지각 방식과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새로운 정보 시대의 예언자가 되었다. 1951년에 출간된 『기계신부』는 그의 첫 번째 주요 간행물이다. 그 후 10년간 『구텐베르크 은하계(Gutenberg Galaxy)』와 『미디어의 이해(Understanding Media)』를 썼는데, 이 세 권의 책 모두는 이제까지 많은 언어로 번역되었고 여러 학문 영역, 특히 미디어 연구, 모던 아트, 기호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케임브리지대학교 트리니티칼리지(Cambridge, Trinity College)에서 영문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언어적 기술[중세 대학의 자유(liberal arts) 7과 중 문법·논리·수사의 3과를 합한, 트리비움(Trivium)이라 알려져 있는 것]의 역사-키케로(Cicero) 시대부터 토머스 내시(Thomas Nashe)까지-를 연구한 것이다. 논문의 주제는 시와 수사, 변증의 흥망성쇠를 재해석하고, 이들 형태가 어떻게 지각과 대화의 내용에 영향을 끼쳤는가를 여러 시대에 걸쳐 분석한 커뮤니케이션 비평이었다.

Table of Contents
제2판 서문 = 7 제1부 서문 = 19 1. 미디어는 메시지다 = 25 2. 핫 미디어와 쿨 미디어 = 47 3. 과열된 미디어의 역전 = 63 4. 기계 애호자 - 마취된 나르시스 = 74 5. 혼성 에너지 - 위험한 관계 = 84 6. 번역자로서의 미디어 = 95 7. 도전과 붕괴 - 창조성의 응보 = 103 제2부 8. 구어(口語) - 악(惡)의 꽃? = 121 9. 문어(文語) - 귀 대신 눈 = 127 10. 도로와 종이의 루트 = 137 11. 숫자 - 군중의 프로필 = 158 12. 옷 - 우리들의 확장된 피부 = 176 13. 집 - 새로운 모습과 새로운 시야 = 181 14. 화폐 - 빈자의 신용카드 = 192 15. 시계 - 시간의 향기 = 211 16. 인쇄 - 어떻게 그것을 파낼까 = 228 17. 만화 - 『매드』, 텔레비전으로 들어가는 입구 = 238 18. 인쇄된 문자 - 내셔널리즘의 건축가 = 247 19. 바퀴, 자전거, 비행기 = 259 20. 사진 - 벽이 없는 창녀의 집 = 271 21. 신문 - 뉴스 누설에 의한 통치 = 293 22. 자동차 - 기계신부(機械新婦) = 313 23. 광고 - 이웃에게 안 지려는 허세 = 326 24. 게임 - 인간의 확장 = 337 25. 전신 - 사회의 호르몬 = 354 26. 타자기 - 타자기 글쇠의 시대로(into the Age of the lcon Whin) = 369 27. 전화 - 울려퍼지는 금관악기인가, 따르릉 울리는 상징인가 = 379 28. 축음기 - 국민의 가슴을 축소시킨 장난감 = 393 29. 영화 - 감겨진 세계, 또는 릴의 세계 = 406 30. 라디오 - 부족의 북 = 426 31. 텔레비전 - 작은 거인 = 442 32. 무기 - 아이콘들의 전쟁 = 485 33. 자동화 - 삶을 배우기 = 496 해제 = 513 참고문헌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