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언론의 선거현상에 대한 '현실인식 구성'중심으로 = 3
제1부 언론·보도·선거의 일반 논의 = 27
제1장 뉴스(보도)의 일반 논의 = 29
제1절 뉴스의 개념 = 29
제2절 뉴스의 본질 = 32
제3절 뉴스의 근본 속성 및 원칙 = 37
제4절 뉴스의 가치 = 43
제5절 뉴스의 유형 및 구조 = 47
1. 신문뉴스의 유형 및 구조 = 47
1) 스트레이트 기사 = 47
2) 해설기사 = 51
3) 의견기사 = 54
2. 방송뉴스의 유형 및 구조 = 57
1) 블리틴뉴스 = 58
2) 뉴스쇼 = 59
3) 심층취재 양식 = 59
4) 베리떼 양식 = 60
5) 현장 중계보도 = 60
6) 24시간 뉴스보도 양식 = 61
제6절 뉴스의 기능 및 효과 = 61
1. 뉴스 기능 = 62
2. 뉴스 효과 = 62
1) 인지적 효과 = 63
2) 사회적 효과 = 65
제2장 선거와 언론의 역학관계 및 선거보도의 일반적 경향 = 69
제1절 서론 = 69
제2절 선거에 있어서의 언론의 역할 = 73
제3절 우리 언론의 선거보도 관행 = 77
제4절 논의 및 결론 = 87
제3장 선거에 있어서의 텔레비젼 매체의 활용과 관계 - TV논쟁(토론)을 중심으로 = 93
제1절 서론 = 93
제2절 TV논쟁(토론)의 시도 배경 = 96
제3절 TV논쟁(토론)의 전개 양식 = 101
1. TV논쟁(토론)의 전개과정 = 101
1) 1960년 TV논쟁(토론) = 101
2) 1976년 TV논쟁(토론) = 106
3) 1980년 TV논쟁(토론) = 107
4) 1984년 TV논쟁(토론) = 108
5) 1988년 TV논쟁(토론) = 109
2. TV논쟁(토론)의 포맷양식 = 111
제4절 TV논쟁(토론)의 영향 = 114
제5절 우리 나라에서의 TV논쟁(토론) 적용시의 문제점 및 방안 = 116
1. TV논쟁(토론) 적용시의 문제점 = 116
2. 우리 나라에서의 적용 가능한 TV논쟁(토론) 양식 = 122
제6절 결론 = 127
제4장 텔레비전 매체와 입후보자 이미지 매이킹 - 선거에 있어서의 TV논쟁(토론)을 중심으로 = 129
제1절 서론 = 129
제2절 텔레비전 속성과 이미지 메이킹 = 131
1. 이미지 메이킹과 관련된 텔레비전 속성 = 131
2.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이미지 메이킹 = 135
1) 텔레비전을 통한 선거보도 = 135
2) 텔레비전 정치광고 = 136
3) 텔레비전 논쟁(토론) = 139
제3절 선거전에서의 이미지 메이킹 사례 = 139
1. 미국의 사례 = 140
2. 한국의 사례 = 152
제4절 이미지 메이킹에 따른 선거 당락 = 158
제5절 결론 = 163
제2부 실제 선거시의 보도경향과 의미구조-기호학적 방법 적용을 중심으로 = 165
제5장 제14대 대통령 선거시의 신문보도와 의미구조 = 167
제1절 서론 = 167
제2절 연구방법 = 169
제3절 결과 및 논의 = 171
1. 경마식 보도 = 171
2. '전장구도' 보도 = 172
3. 폭로보도 = 174
4. 부정적'쟁점' 평가보도 = 175
5. 편파보도 = 178
1) 통합적 분석 = 179
2) 계열적 분석 = 181
6. 확대·축소·은폐 보도 = 185
7. 추측보도 = 187
8. 가십란 남용 보도 = 188
9. '공명선거' 중점의 보도 = 189
제4절 결론 = 191
제6장 제14대 대통령 선거시의 방송보도와 의미구조 = 193
제1절 서론 = 193
제2절 연구방법 = 195
제3절 결과 및 논의 = 197
1. 전체 보도의 특성 = 197
2. 유세보도 분석 = 199
1) 입후보자별 순위 = 199
2) 입후보자간의 할당시간량 = 200
3) 입후보자간의 영상처리와 음성 차이 = 201
3. 선거 관련사항 보도 분석 = 211
1) 금권선거 시비 = 211
2) 색깔론 시비(북한 관련 보도) = 213
3) 부산 기관장 모임 = 216
4) 정부기관 발표 보도 = 219
제4절 결론 = 221
제7장 제14대 대통령 선거시의 정치광고와 의미구조 = 225
제1절 서론 :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225
제2절 이론적 고찰 = 229
제3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232
1. 연구문제 = 232
2. 연구 방법 = 232
1) 분석대상 = 232
2) 분석방법 = 233
제4절 연구결과 = 236
1. 단계별 광고게재 빈도 = 236
2. 단계별 광고 속성 비교 = 238
1) 1단계 광고 속성(6월부터 10월초까지의 단계) = 238
2) 2단계 광고 속성(10월초부터 11월 20일까지) = 247
3) 3단계 광고 속성(11월 20일부터 12월 17일까지) = 258
제5절 논의 및 결론 = 266
제8장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시의 신문보도와 의미구조 = 275
제1절 서론 = 275
제2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280
1. 연구문제 = 280
2. 연구방법 = 282
1) 분석시기 = 282
2) 분석대상 = 283
3) 분석방법 = 284
제3절 결과 및 논의 = 288
1. 경마식 보도경향 = 288
2. 전장 및 대결구도 보도경향 = 291
3. 지역연고 중심의 보도경향 = 294
4. 바람몰이ㆍ세몰이식의 비정치적 요인 중시 보도경향 = 298
5. 미숙한 정치쟁점 및 공약파악 보도경향 = 300
6. 제한적이고 취약한 여론조사 활용 보도경향 = 304
7. 추문 밝히기식 폭로 보도경향 = 308
8. 타락성 중신의 보도경향 = 310
9. 가십성 중심의 보도경향 = 312
10. 역설적인 공명선거 강조의 보도경향 = 315
11. 여당 위주의 편파 보도경향 : 은폐·축소·확대·왜곡 보도 = 317
제4절 결론 : 보도경향의 심층구조 = 323
제9장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시의 가십기사와 의미구조 = 329
제1절 서론 = 329
제2절 이론적 배경 = 333
1. 이데올로기 = 333
2. 이데올로기와 기호 = 338
제3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344
1. 연구문제 = 344
2. 연구방법 : 분석대상 및 분석틀 = 345
제4절 결과 및 논의 = 346
1. 가십기사의 유형 및 의미구조 = 346
2. 가십기사의 대상과 주제 = 350
3. 가십기사의 기호구성 체계와 이데올로기적 함의 = 351
1) 중심주제 = 352
2) 가십기사의 대상과 주제 = 364
제5절 결론 = 387
제10장 제15대 대선시 경선주자들간의 TV토론의 의미 = 393
제1절 서론 = 393
제2절 경선주자 TV토론의 실제적 영향 = 396
제3절 경선주자 TV토론에서 나타난 문제점 = 404
제4절 경선주자 TV토론의 정치적 의미 = 409
제5절 결론 = 414
참고문헌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