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草廬 李惟泰의 鄕約과 庭訓

草廬 李惟泰의 鄕約과 庭訓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해준
서명 / 저자사항
草廬 李惟泰의 鄕約과 庭訓 / 이해준 편저.
발행사항
서울 :   신서원 ,   1998.  
형태사항
313 p. : 삽도 ; 23cm.
총서사항
새론서원 ; 305
ISBN
8979401108
주제명(개인명)
이유태   1607-1684  
비통제주제어
초려, 향약, 정훈,,
000 00679camccc200253 k 4500
001 000000590232
005 20100805105110
007 ta
008 980508s1998 ulka 000 kor
020 ▼a 8979401108 ▼g 93910 : ▼c \9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06832 ▼l 111106833 ▼l 111106834
082 0 4 ▼a 173 ▼2 21
090 ▼a 173 ▼b 1998c
100 1 ▼a 이해준 ▼0 AUTH(211009)50896
245 1 0 ▼a 草廬 李惟泰의 鄕約과 庭訓 / ▼d 이해준 편저.
260 ▼a 서울 : ▼b 신서원 , ▼c 1998.
300 ▼a 313 p. : ▼b 삽도 ; ▼c 23cm.
490 0 0 ▼a 새론서원 ; ▼v 305
600 1 4 ▼a 이유태 ▼d 1607-1684
653 ▼a 초려 ▼g 이유태 ▼a 향약 ▼a 정훈
740 ▼a 향약과 정훈
950 0 ▼b \9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73 1998c 등록번호 1111068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73 1998c 등록번호 1111068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173 1998c 등록번호 192038445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173 1998c 등록번호 1111068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73 1998c 등록번호 1111068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73 1998c 등록번호 1111068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173 1998c 등록번호 192038445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173 1998c 등록번호 1111068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해준(엮은이)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목포대, 공주대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역사민속학회 회장,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 역사문화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등을 지냈다. 주요저서로는 『조선시기 촌락사회사』(1996, 민족문화사), 『역사속의 전라도』(1999, 다지리), 『지역사와 지역문화론』(2001, 문화닷컴), 『충남의 역사와 정신』(2006,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2008, 경인문화사), 『전통문화와 생활문화』(2011, 방송통신대출판부, 공저)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발간사 = 4

서문 = 6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의 생애와 사상 = 11

 1.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의 생애 = 13

 2. 「기해봉사(己亥封事)」에 나타난 초려의 사회개혁론 = 19

 3. 「己亥封事」(原文) = 32

초려(草廬)의 향약(鄕約) = 69

 1. 「초려향약(草廬鄕約)」의 내용과 성격 = 71

 2. 초려(草廬)의 향약(鄕約)[번역문] = 78

  향약(鄕約)[總則] = 78

  향약범례(鄕約凡例) = 85

  향약문(鄕約文) = 89

  모여 향약을 읽는 법[會集讀約法] = 125

  사창법(社倉法) = 132

  몽재훈계(蒙齋訓戒) = 135

  학교모범(學敎模範) = 142

  스승을 택하여 선비를 기르는 규약[擇師養士之規] = 156

  서재의 규약[齋規] = 160

  학교에 게시할 것[學官揭示] = 163

  육예(六藝) = 165

  연영원(延英院) = 165

 3. 초려향약(草廬鄕約)[原文] = 168

초려(草廬)의 정훈(庭訓) = 211

 1. 초려 「정훈(庭訓)」의 내용과 특징 = 213

 2. 초려(草廬)의 정훈(庭訓)[번역문] = 220

  서(序) = 220

  사당(祠堂)을 모시는 의절(儀節) = 222

  시제(時祭)를 지내는 의절(儀節) = 226

  기제사(忌祭祀)를 지내는 의절(儀節) = 229

  묘제(墓祭)를 지내는 의절(儀節) = 230

  외조고비(外祖考비)의 묘제(墓祭)를 지내는 의절(儀節)[附錄] = 237

  초상(初喪)과 장사(葬事)를 치르는 의절(儀節) = 238

  집안에서 생활하는 의절(儀節) = 242

  살림살이하는 규범(規範) = 249

  근검절약(勤儉節約)하는 생활 = 255

  유비무환(有備無患)하는 생활 = 256

  토지를 사는 방법 = 258

  포전(浦田)을 경영하는 방법 = 259

  가족이 모여 연회(宴會)하는 의절(儀節) = 260

  손님을 접대하는 의절(儀節) = 261

  화수계(花樹契) = 261

  관례와 혼례의 의절(儀節) = 264

  사상계(四喪契) = 265

  향리(鄕里)에서 살아가는 방법 = 266

  친구를 사귀는 방법 = 268

  처세(處世)하는 방법 = 269

  맺는 말 = 271

 3. 초려(草廬)의 정훈(庭訓)[原文] = 275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종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