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한국영화 단상
자유부인 - 자유주의 시대 풍조의 대변 = 13
갯마을 - 문예물의 성공작 = 16
삼포 가는 길 - 본격 로드무비의 시작 = 18
병태와 영자 - 시네아티스트의 주검 = 20
씨받이 - 반휴머니즘적 대리모 제도의 고발 = 32
아다다 - 서구적 시각으로 재현한 한국여인의 모습 = 39
개그맨 - 본격 한국 희극영화의 시도 = 45
접시꽃 당신 - 서정적 시의 영상화 = 50
빨간 여배우 - 사이비 정치드라마 = 54
숲속의 방 - 좌절한 여성 아나키스트의 죽음 = 59
대작 - 한국영화 붐 = 63
개벽 - 역사교과서적 서사극영화 = 66
미친 사랑의 노래 - 에로티시즘과 포르노그라피 = 76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 잘못된 청소년 로맨티시즘 = 79
집시애마 - 예술을 빙자한 성애영화 = 82
꿈 - 원작의 영화화와 그 갈등 = 85
물위를 걷는 여자 - 한국영화의 페미니즘 = 88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 실화의 영상화 = 91
혼자도는 바람개비 - 소년소녀가장 이야기 = 94
하얀전쟁 - 우리의 시각으로 바라본 월남전 = 97
그 여자 그 남자 - 가장 부도덕한 한국영화 = 100
투캅스 - 젊은 영화, 한국적 익살극 = 103
살어리랏다 - 시대를 극복한 천민계급의 인간해방 = 110
한줌의 시간속으로 - 인생의 미와 추 그리고 삶과 죽음의 무상 = 117
테러리스트 - 죽은 법과 산법의 갈등 = 124
은행나무 침대 - 패스티쉬풍의 포스트모던 영화 = 127
지상만가 - 피아노 3중주의 불협화음 = 131
개같은 날의 오후 - 남성폭력에 저항하는 여전사 10인의 공허한 메시지 = 135
지독한 사랑 - 동화적 현실을 꿈꾸는 영화작가의 위선 = 138
채널69 - 멀티미디어 시대의 스크린 게임 = 141
악어 - 저예산의 깜찍한 반추상 영화 = 144
인샬라 - 분단의 아픔을 넘어선 숙명적 사랑이야기 = 147
나쁜 영화 - 영화작가의 패배주의인가, 선정주의인가, 모험주의인가? = 150
제2장 한국영화의 쟁점들
80년대의 한국영화 = 167
90년대의 한국영화·한국영화 거듭나기 = 176
뒷말 많은 대종상영화제 예비심사-제29회 대종상영화제 예심을 마치며 = 179
전환기의 한국영화 = 185
90년대 한국영상산업의 전략 = 198
한국영화의 쟁점과 반성Ⅰ·95년 한국영화 단평을 중심으로 = 208
한국영화의 쟁점과 반성Ⅱ·96년 한국영화계를 지켜보며 = 217
(경마장 가는 길)의 영상적 사고의 제문제 = 228
우리 영화 살리기 = 241
한국영화의 효시에 대한 문제제기·(의리적 구토)의 지정에 대해 = 250
한국영화교육의 이상과 그 실천의 문제점 = 256
바람직한 남북합작영화의 제작방향 = 262
북한영화의 수입논란 = 269
나운규의 민족영화 고찰 = 273
한국영화제도 개선방향에 대한 제언 - 제7차 영화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 288
작가주의 재해석론 = 306
제3장 영상시대의 영화문화론
수용해야할 관객의 비평의식 = 335
개화기 영화문화와 근대화의 의식형성 = 344
세계 미디어산업과 문화제국주의·부르주아 사고와 결별하는 뉴미디어 = 356
한국영화 전환기를 지켜보며·권력의 이동 / 문화의 이동에 따른 의식의 식민화 = 360
한국영화학회 회원의 일본영화계 시찰 = 372
일본 영화산업의 현황과 일본영화 수입의 문제 = 379
한국영화와 웃음 = 391
닫혀진 성 여는 성·영화 속의 성 = 397
영화 속의 디지털 세계 = 406
영화, 총체예술의 종착지 = 409
김도산의 연쇄극에서 백남준의 비디오아트까지 = 412
단편영화, 그 영화적 행위의 의미 = 417
영화도서 출판의 문제점 = 423
미국 영화문화가 한국영화인과 관객의 의식변혁에 미친 영향 고찰 = 431
영화기호학 = 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