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북한외교의 이해 = 13
1. 연구방법의 이해 = 13
2. 북한외교의 기조 = 20
3. 정책결정 및 집행기구 = 21
4. 북한외교의 변천과정 = 24
제2장 진영외교, 1948∼1954 = 27
1. 국가수립과 국가승인외교 = 27
2. 한국전쟁과 전시외교 = 33
3. 전후복구외교 = 39
제3장 외교정책의 다변화, 1955∼1965 = 43
1. 다변외교의 모색 = 44
1) 정책전환의 개시 = 44
2) 다변외교 노선의 수립= 47
3) 다변외교의 전개, 1956∼1960 = 49
4) 평가 = 53
2. 다변외교의 확대 = 54
1) 다변외교 노선의 공고화 = 54
2) 다변외교의 확대 추진, 1961∼1965 = 57
3) 평가 = 61
3. 다변외교의 영향요인 = 63
1) 세계체계의 변화 = 64
2) 국내환경요인 = 72
제4장 자주노선의 수립과 전개, 1966∼1970 = 81
1. 자주노선의 개념 = 81
2. 자주노선의 수립과정 = 86
3. 자주외교의 전개 = 97
1) 정책추진 방향 = 97
2) 평가 = 102
4. 자주노선의 영향요인 = 103
1) 세계체계의 변화 :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 = 103
2) 지역체계의 변화 = 107
3) 국내환경요인 = 113
제5장 외교정책의 세계화, 1971∼1979 = 121
1. 세계화의 논리 = 122
2. 세계화외교의 추진방향 = 129
1) 개관 = 129
2) 대사회주의권 외교 = 130
3) 대비동맹운동 외교 = 132
4) 대유엔 및 서방외교 = 136
5) 남북대화 = 141
6) 평가 = 144
3. 세계화외교의 영향요인 = 149
1) 국내환경요인 = 149
2) 세계·지역체계의 변화 : 미·소 데탕트와 미·중 데탕트 = 155
3) 남한과의 경쟁 = 162
제6장 외교정책 이념의 체계화와 대외개방의 모색, 1980∼1988 = 165
1. 외교정책 이념의 체계화 = 166
1) 제6차 당대회와 자주·평화·친선의 논리 = 166
2) 제6차 당대회 이후의 외교정책 이념과 노선 = 171
2. '친선·평화'의 추진방향 = 174
1) '친선'에 따른 대외정책 = 174
2) '평화'주장과 대남정책 = 179
3) 평가 = 183
3. 대외개방의 논리와 정책 = 184
1) 대외경제관계 확대 = 184
2) 합영법 제정 = 191
3) 제3차 7개년계획과 대외개방 = 193
4) 평가 = 195
4.대외개방의 영향요인 = 196
1)국내환경요인 = 197
2)지역체계의 변화 : 중국의 개방정책 = 205
제7장 세계질서 변화에의 적응, 1989∼1994 = 211
1. 국제환경의 변화 = 211
1) 사회주의권의 체제변동 = 211
2) 한국의 북방정책 추진 = 213
3) 탈냉전과 세계질서 재편 = 216
2. 국제환경 변화에 대한 북한의 인식 = 220
1) 사회주의권의 체제변동에 대한 북한의 인식 = 220
2) 한국의 북방정책에 대한 북한의 인식 = 225
3) 세계질서 재편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주장 = 227
3. 세계질서 재편에 대한 적응정책 = 231
1) 대사회주의권 관계 유지 = 232
2) 남북공존의 모색 = 235
3) 대미 접근과 핵외교 = 242
4) 대일접근 = 249
5) 새로운 단계의 대외개방 모색 = 252
4. 종합평가 = 255
제8장 김정일 정권의 외교정책 = 259
1. 김정일 정권의 성격과 과제 = 259
1) 북한식 사회주의의 특성 = 259
2) 김정일 정권의 특성과 과제 = 265
2. 김정일 정권의 외교정책 추진방향 = 269
1) 외교정책 이념 및 노선 = 270
2) 정책추진 방향 = 272
3. 정책추진 영향요인 = 288
1) 정치·이데올로기적 요인 = 288
2) 경제적 요인 = 293
3) 국제환경요인 = 295
4. 정책변화 전망 = 299
1) 정책목표 및 노선 = 299
2) 정책추진 전망 = 301
제9장 맺음말 = 307
부록 = 311
참고문헌 = 405
찾아보기 =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