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글 = ⅲ
개요 = ⅹⅱ
1. (핵심단어)을 대신하여 = 1
1.1 언어란 무엇인가?(비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가능한 세 가지 답변) = 1
1.2 언어학이란 무엇인가?(테마의 한정) = 10
2. 언어의 기능 = 13
2.1 프라그 구조주의학파 관점에서 본 언어의 기능 = 13
2.2 언어와 사고: Sapir-Whorf 가설 = 22
3. 언어의 작동 = 28
3.1 언어와 기호학 = 28
3.1.1 일반기호 = 29
3.1.1.1 기호의 구성 = 29
3.1.1.2 기호의 특성 = 30
3.1.1.3 상징과 협의의 기호 = 31
3.1.2 언어기호 = 32
3.1.2.1 각종 언어기호모형(모형개념에 대한 해설) = 33
3.1.2.1.1 de Saussure의 기호모형 = 33
3.1.2.1.2 Ogden/Richards의 기호모형 = 35
3.1.2.1.3 B$\ddot{u}$hler의 기호모형(도구모형) = 36
3.1.2.1.4 언어기호모형에 관한 요약 = 39
3.1.2.2 언어기호의 특성 = 39
3.2 언어와 의사전달 = 41
3.2.1 언어에 의한 의사전달모형 = 42
3.2.1.1 de Saussure의 의사전달모형 = 42
3.2.1.2 정보이론에 의거한 Shannon과 Moles의 의사전달모형 = 43
3.2.1.3 Bloomfield의 행동주의적 의사전달모형 = 45
3.2.1.4 B$\ddot{u}$hler의 의사전달모형(도구모형) = 47
3.2.2 언어에 의한 의사전달모형에 관한 요약 = 47
4. de Saussure 구조주의 언어학의 각종 기본개념 = 49
4.1 랑그/빠롤의 이분법 = 49
4.2 체계로서의 (랑그) = 54
4.3 공시태와 통시태 = 56
4.4 구어의 우선권 = 57
4.5 구조주의 언어학의 기타 기본개념 = 60
4.6 구조주의 학파 개관 = 61
5. 음성학과 음운론 = 65
5.1 음성학 = 65
5.1.1 조음음성학 = 66
5.1.2 음향음성학 = 71
5.2 음운론·음운과 변이음 = 72
5.3 음운론상의 예를 통해 설명해 본 언어학의 기본개념 = 78
5.3.1 공시태와 통시태 = 79
5.3.2 기술언어학과 규범언어학 = 81
붙임: 기술주의와 자료분석 = 81
5.3.3 관여성분과 잉여성분 = 82
5.3.4 결합관계와 계열관계 = 83
5.4 구조주의 분석방법(분류학적 구조주의) = 85
5.4.1 음운분석 = 88
5.4.2 계열적 음운관계: 음운목적 및 음운표기 = 89
5.4.3 결합적 음운관계 = 96
5.4.3.1 위치제약 = 96
5.4.3.2 표준 음절형식 = 97
5.4.3.3 중화현상 및 원음운 = 99
5.4.3.4 접촉현상 = 103
6. 형태론 = 112
6.1 언어의 이중분절성 = 112
6.2 형태소분석 = 115
6.3 계열적 형태소관계=형태소목록 = 116
6.4 결합적 형태소관계 = 121
6.5 음운론·형태론 층위와 관련해 공식화시켜 본 분류학적 구조주의 방법론 = 123
6.5.1 형태소와 단어(자립형태소 및 구속형태소) = 126
6.5.2 조어론 = 127
붙임: 독어 조어가능성과 불어/영어번역에 관해서 = 131
6.6 품사 = 141
7. 초분절음운 = 146
8. 통사론 = 154
8.1 전통문법의 문장분석 = 155
8.2 기존 통사이론 = 155
8.2.1 문장구역모형 = 158
8.2.2 의존문법 = 161
8.2.3 생성문법의 표준이론 = 164
8.3 생성문법의 새로운 이론(GB-이론) = 173
8.3.1 개관 = 173
8.3.2 핵계층구조이론 = 176
8.3.2.1 전통X-bar이론 = 176
8.3.2.2 기능범주 = 184
8.4 생성통사론의 각종 하위이론 = 188
8.4.1 의미역이론·격이론·지배이론 = 189
8.4.2 한계교점이론·결속이론·통제이론 = 195
8.5 생성문법의 전체모형 = 198
9. 의미론 = 202
9.1 의미론의 연구대상 = 202
9.1.1 미국구조주의의 (의미적대감) = 202
9.1.2 의미와 명명: de Saussure의 (가치)개념과 (지시)개념 = 203
9.1.3 외연과 내포 = 207
9.2 역사의미론 = 209
9.3 구조주의 의미론의 여러 갈래 = 211
9.3.1 시니피에 전체목록의 구조화를 추구하는 의미이론 = 211
9.3.1.1 de Saussure의 연합관계 = 211
9.3.1.2 어휘영역론 = 213
9.3.1.3 개별언어 어휘상의 각종 결합관계 = 216
9.3.2 개별 시니피에의 구조화 및 시니피에 전체목록의 구조화를 추구하는 의미론 = 219
9.3.2.1 성분분석 의미론 = 219
9.3.2.2 의미성분 분석(B.Pottier) = 220
9.3.2.3 행위론적 의미정의 = 222
9.3.2.4 통시 구조주의 의미론 = 225
9.4 생성문법상의 의미론 = 229
9.5 의미론의 하위분야: 어휘명칭론 및 어휘의미론 = 230
9.5.1 어휘명칭론 = 230
9.5.2 어휘의미론 = 236
9.6 언어기호의 비대칭성 = 239
10. 언어체계의 동질성개념에 대한 수정 = 252
10.1 언어구조와 복합체계로서의 언어구성 = 252
10.1.1 지리상의 구분(지리적 변이언어) = 253
10.1.1.1(방언)의 정의 = 253
10.1.1.2 방언과 통일어 = 254
10.1.1.3 표준어-방언-지방어 및 이중어사용 상황 = 255
10.1.2 사회계층상의 구분(사회적 변이언어) = 257
10.1.2.1 개인어와 사회어 = 257
10.1.2.2 Bernstein 가설 = 258
10.1.2.2.1 Bernstein의 연구방법 = 258
10.1.2.2.2 정교한 기호체계와 왜소한 기호체계 = 259
10.1.2.3 결함이론과 변이이론 = 262
10.1.3 문체상의 구분(기능별 변이언어) = 266
10.1.4 하위 언어체계들의 교차 = 268
10.2 언어의 통시면: 언어변화 = 268
10.3 붙임: 사회구조와 언어변이 = 271
10.3.1 방언 = 273
10.3.2 전문어 = 274
10.3.3 특수어 = 275
10.3.4 이데올로기 언어 = 278
10.3.5 청소년언어 = 280
10.3.6 여성언어와 남성언어 = 282
11. 언어행위론 = 292
11.1 언어능력과 의사전달능력 = 292
11.2 언어에 의한 의사전달의 행위측면(언어규칙화의 양면성) = 294
11.2.1 간접 언어행위 = 297
11.3 명시적 의도전달표현 = 298
11.3.1 행위수행 동사 = 301
11.3.2 명시적 행위수행표현 = 303
11.3.3 행위표지 기능을 하는(동사 이외의 )기타 품사들 = 305
11.4 보편적 언어행위 = 306
11.4.1 언어행위의 체계화 = 306
11.4.2 의사전달상황을 설명해 주는 기타 요소 = 312
11.4.2.1 지시수단 = 314
11.5 일상어에 의한 의사전달의 이중구조 = 318
11.6 언어행위의 연결 = 323
11.7 각종 특수형식의 언어행위 = 326
11.7.1 듣는이가 여러 사람인 언어행위 = 326
11.7.2 의례적인 언어행위 = 327
11.7.3 비정상적인 언어행위 = 327
11.8 Habermas의 (논증행위) = 335
요약 = 342
12. 텍스트언어학 = 346
12.1 기능주의 문장론 = 346
12.1.1 의사소통관점의 문장분석 = 346
12.1.2 전달가치 = 347
12.2 텍스트문법 = 354
12.2.1 텍스트언어학의 성립 = 354
12.2.2 텍스트언어학의 연구대상 = 356
12.2.3 텍스트구성의 일반조건 = 361
12.2.4 텍스트유형론과 텍스트모형화의 문제점 = 362
12.2.5 테마전개의 기본유형 = 366
12.2.6 문장결속 및 텍스트결속의 각종 측면 = 369
12.2.6.1 결속방향 = 369
12.2.6.2 결속간격 = 370
12.2.6.3 의미연계선 = 371
12.2.6.4 가가종 텍스트구성유형 및 연결사 = 393
12.2.6.5 각종 지시사 = 376
12.2.6.6 소단위텍스트를 통한 텍스트 결속성 분석의 일례 = 380
13. 현대독어의 발달경향 = 385
13.1 현대독어 = 385
13.2 독어정서법의 특징 = 388
13.3 독어표준발음의 특징 = 391
13.4 독문법의 특징 = 394
13.4.1 형태론 = 394
13.4.2 통사론 = 401
13.5 독어어휘 및 조어의 특징 = 411
13.6 에필로그: 독어텍스트의 특징 = 420
주註 = 422
연습문제 해답 = 449
참고문헌 = 469
본서의 각 장 발췌문헌 = 488
찾아보기 =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