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32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587990 | |
005 | 20100805102331 | |
007 | ta | |
008 | 980512s1997 ulk 000ap kor | |
020 | ▼a 8982120548 ▼g 03810 : ▼c \4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05430 ▼l 111105431 ▼l 111105432 |
082 | 0 4 | ▼a 897.16 |
090 | ▼a 897.16 ▼b 박경순 새 | |
100 | 1 | ▼a 박경순 ▼0 AUTH(211009)45540 |
245 | 1 0 | ▼a 새는 앉아 또 하나의 시를 쓰고 / ▼d 박경순 지음. |
246 | 0 3 | ▼a 박경순 시집 |
260 | ▼a 서울 : ▼b 시와시학사 , ▼c 1997. | |
300 | ▼a 140 p. ; ▼c 21 cm. | |
490 | 0 0 | ▼a 시와 시학젊은시인선 ; ▼v 54 |
950 | 0 | ▼b \4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6 박경순 새 | 등록번호 1111054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 청구기호 897.16 박경순 새 | 등록번호 1111054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 청구기호 897.16 박경순 새 | 등록번호 1111054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경순(지은이)
인천 출생, 인하대학교 행정학박사, 울진해양경찰서장, 평택해양경찰서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서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1991년 《시와 의식》으로 등단, 제24회 인천문학상, 2017 여성1호상, 《한국수필》 신인상, 제27회 전국성인시낭송대회 최우수상, 제15회 청마유치환시극대회 대상, 대한민국 ESG 실천대상을 수상했다. 녹조근정훈장, 근정포장, 국무총리, 해양수산부장관, 해양경찰청장 표창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인천문인협회·부천시소리낭송회·내항 회원, 남동문화재단 비상임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 『새는 또 하나의 시를 쓰고』(1997) 『이제 창문 내는 일만 남았다』(2002) 『바다에 남겨 놓은 것들』(2011) 『그 바다에 가면』(2019) 『그 빛나는 바다가 보고 싶거든』(2023)

목차
목차 1. 동해로 가는 길 고향 = 11 소래포구 = 12 하루살이 = 13 동해로 가는 길 = 14 迷路 = 17 청대콩은 소리없이 익고 = 18 국기 하강식 = 20 거울을 보며 = 21 무녀도 = 24 연안부두 = 26 日曆 = 27 방아깨비 = 28 여름이 언덕 너머 = 29 무녀도 일기 = 30 겨울 내내 = 34 중매 = 36 병아리 = 37 사랑니 = 38 우리들의 고독 = 40 2. 세월가기 錯視 = 43 배꼽산(1) = 44 배꼽산(2) = 46 배꼽산(3) = 48 배꼽산(4) = 49 배꼽산(5) = 50 허수아비 = 51 오늘 아침 = 52 세월가기 = 53 성주풀이 = 54 번개탄 = 56 출산 = 57 청령포 = 58 부평 망우리에서 = 60 무제(1) = 62 무제(2) = 63 미꾸라지 = 64 중환자 대기실 = 66 양로원에서 = 68 3. 비밀번호가 필요한 세상 詩法 = 71 四月 = 72 기다린다는 것은 = 74 비밀번호가 필요한 세상 = 76 부부싸움 = 77 豊漁祭 = 78 저녁 풍경 = 80 안산을 다녀와서 = 82 그림 그리기 = 84 장마 = 86 고백 = 88 무제(3) = 90 무제(4) = 91 신포동 연가 = 92 오후 = 95 토끼풀 = 96 인사 = 98 4월 유감 = 99 잠자리 = 100 4. 우리가 사는 이유 겨울나비 = 103 99 = 104 우리가 사는 이유 = 106 아파트의 꿈 = 108 L.A.를 떠나며 = 109 태백 사람들 = 110 청학동 마을 = 111 벌기미에서 = 112 팔만대장경 = 114 금문교 = 116 초보운전(1) = 118 초보운전(2) = 120 초보운전(3) = 121 초보운전(4) = 122 초보운전(5) = 123 사표 = 124 드라이 플라워 = 125 소라게의 독백 = 126 혜성 = 128 해설 - 기억으로 쓰는 시 / 홍정선 =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