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15세기 언해서의 협주 연구

15세기 언해서의 협주 연구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금자
서명 / 저자사항
15세기 언해서의 협주 연구 / 박금자 저.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   1997.  
형태사항
285 p. ; 23 cm.
총서사항
텍스트 언어학 총서 ; 3
ISBN
8930305598
일반주기
색인포함  
000 00548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587233
005 20100805101109
007 ta
008 980429s1997 ulk 001a kor
020 ▼a 8930305598 ▼g 93710: ▼c \14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10 ▼2 22
090 ▼a 410 ▼b 1997g1 ▼c 3
100 1 ▼a 박금자
245 1 0 ▼a 15세기 언해서의 협주 연구 / ▼d 박금자 저.
260 ▼a 서울 : ▼b 집문당 , ▼c 1997.
300 ▼a 285 p. ; ▼c 23 cm.
440 0 0 ▼a 텍스트 언어학 총서 ; ▼v 3
500 ▼a 색인포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10 1997g1 3 등록번호 1111047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1997g1 3 등록번호 1111047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1997g1 3 등록번호 1111047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금자(지은이)

연세의대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개업의로서뿐만 아니라 동아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스포츠조선, 가정의 벗, 건강의 벗, 엠디 등 여러 일간지와 잡지 그리고 KBS, MBC, G-TV 등 각 방송 매체의 상담의로서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1995년 한국성폭력상담소 대표이사 취임 이래 성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 교육과 정책 연구 및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이밖에도 연세의대 한림의대 외래 교수, 교육위원, 대한산부인과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으며, 1999년 제22회 '의약사평론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간행사 = 3

머리말 = 4

제1장 서론 = 9

 1.1. 목적 = 11

 1.2. 범위와 방법 = 15

 1.3. 구성 = 22

제2장 협주와 훈고학 = 25

 2.1. '협주' = 27

  2.1.1. '협주'와 관련용어 = 27

  2.1.2. 주석의 기본체제 = 29

 2.2. 훈고학의 주석 = 31

 2.3. 『龍飛御天歌』의 주석 = 45

 2.4. 字義 협주에서의 훈고학 영향 = 57

제3장 협주의 양식 = 69

 3.1. 도입 = 71

 3.2. 행격 = 76

 3.3. 배열 위치 = 78

  3.3.1. 책의 전체 체재에서의 위치 = 78

  3.3.2. 언해문에서의 위치 = 84

  3.3.3. 협주 내부에서의 위치 = 97

 3.4. 圓圈 = 99

제4장 협주의 내적 특성 = 101

 4.1. 협주의 내적 성격 = 103

 4.2. 종결어미와 서법어미 쓰임의 제약 = 105

 4.3. 圓圈의 기능 = 112

 4.4. 협주의 텍스트 통합성 = 124

  4.4.1. 본문과의 통합성 = 124

  4.4.2. 본문과의 통합범위 = 128

  4.4.3. 협주자료 내부의 통합성 = 135

제5장 협주문의 유형 = 139

 5.1. 장형과 단형 = 142

 5.2. 詞釋과 串解와 章指 = 151

 5.3. 품사별 유형 = 161

  5.3.1. 명사류 = 162

  5.3.2. 동사류 = 170

  5.3.3. 부사류 = 178

  5.3.4. 의성어·의태어류 = 179

  5.3.5. 허사류 = 181

제6장 협주문의 문법적 특성 = 187

 6.1. 주제문과 주제어 = 190

  6.1.1. 주제문과 지정구문 = 190

  6.1.2. 주제어의 절단현상 = 201

  6.1.3. 주제어의 반복현상 = 211

  6.1.4. 주제어의 복원가능성 = 216

 6.2. 경어법 = 222

 6.3. 지칭문 = 239

  6.3.1. 지칭문의 쓰임 = 239

  6.3.2. 지칭문에서의 융합현상 = 251

제7장 결론 = 261

참고문헌 = 270

찾아보기 = 28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