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1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585968 | |
005 | 20100805095120 | |
007 | ta | |
008 | 980409s1998 ulk 000a kor | |
020 | ▼a 8981332673 ▼g 04300 : ▼c \13000 | |
020 | 1 | ▼a 8981331243(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04004 ▼l 111104005 ▼l 111104006 ▼l 131003893 ▼f 의학 |
082 | 0 4 | ▼a 089.97 ▼2 21 |
085 | ▼a 0410 ▼2 KDCP | |
090 | ▼a 089.97 ▼b 1997 ▼c 18 | |
100 | 1 | ▼a 정약용 ▼0 AUTH(211009)22157 |
245 | 1 0 | ▼a 목민심서 / ▼d 丁若鏞 지음 ; ▼e 민족문화추진회 편. ▼n 2. |
260 | ▼a 서울 : ▼b 솔 , ▼c 1998. | |
300 | ▼a 420 p. ; ▼c 20 cm. | |
440 | 0 0 | ▼a 나랏말씀 ; ▼v 18 |
710 | ▼a 민족문화추진회 | |
740 | ▼a 나랏말쌈, 18 | |
950 | 0 | ▼b \13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089.97 1997 18 | Accession No. 11110400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89.97 1997 18 | Accession No. 11110400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89.97 1997 18 | Accession No. 1111040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172.2 1998 2 | Accession No. 1210348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3(Eastern Books)/ | Call Number 172.2 1998 2 | Accession No. 1210348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089.97 1997 18 | Accession No. 11110400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89.97 1997 18 | Accession No. 11110400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89.97 1997 18 | Accession No. 1111040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172.2 1998 2 | Accession No. 1210348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3(Eastern Books)/ | Call Number 172.2 1998 2 | Accession No. 1210348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선 후기 문인이자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 18세기 말에서 19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살면서 조선이 나아갈 길을 끊임없이 모색해온 개혁가. 그가 신유사옥으로 전라도 강진에 유배되어 있으면서 써낸 <목민심서>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국역돼 나왔다.
목민관,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저서로, 부패가 극에 달한 조선 후기 지방의 사회 상태와 정치의 실제를 민생 문제 및 수령의 본무와 결부시켜 소상히 밝히고 있다. 다산은 지방 행정의 원리를 관의 입장이 아니라, 민의 편에 서서 관의 횡포와 부정부패를 폭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정약용(지은이)
조선 말기의 실학자. 정조 때의 문신이며, 정치가이자 철학자, 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사암·탁옹·태수·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다산(茶山), 당호는 여유(與猶)이며, 천주교 교명은 요안,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1776년 정조 즉위 호조좌랑에 임명된 아버지를 따라 상경, 이듬해 이익의 유고를 얻어 보고 그 학문에 감동받았다. 1783년 회시에 합격, 경의진사가 되었고, 178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를 거쳐 검열이 되었으나, 가톨릭 교인이라 하여 탄핵을 받고 해미에 유배되었다. 10일 만에 풀려나와 지평으로 등용되고 1792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서양식 축성법을 기초로 한 성제(城制)와 기중가설(起重架說)을 지어 올려 축조 중인 수원성 수축에 기여하였다.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연천현감 서용보를 파직시키는 등 크게 활약하였고, 1799년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다시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 신유교난 때 장기에 유배, 뒤에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이배되었다. 다산 기슭에 있는 윤박의 산정을 중심으로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학문에 몰두, 정치기구의 전면적 개혁과 지방행정의 쇄신, 농민의 토지균점과 노동력에 의거한 수확의 공평한 분배, 노비제의 폐기 등을 주장하였다. 저서로 『목민심서』 『경세유표』 『정다산전서』 『아방강역고』 『마과회통』 『자찬묘지명』 『맹자요의』 『논어고금주』 『춘추고징』 『역학제언』 『상서지원록』 『주역심전』 『사례가식』 『상례사전』 『악서고존』 『상서고훈』 『매씨서평』 『모시강의』 『삼미자집』 등이 있다.
민족문화추진회(옮긴이)
◈설립목적 민족문화의 보전, 전승, 계발, 연구를 추진하여, 민족문화 진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주요사업 고전문헌의 수집, 정리, 연구 고전문헌의 편찬 및 번역 한국고전문고의 발간과 보급 고전국역자 양성 고전연구지의 발간과 보급 고전의 대중화를 위한 독서운동 전개 고전국역상 시상

Table of Contents
목차 일러두기 = 4 해설 = 417 봉공 6조·奉公六條 제1조 덕화를 폄(宣化) = 9 제2조 법을 지킴(守法) = 23 제3조 예의로 교제함(禮際) = 34 제4조 공문서(文報) = 63 제5조 공물을 바침(貢納) = 78 제6조 출장(往役) = 105 애민 6조·愛民六條 제1조 양로(養老) = 125 제2조 어린이를 보살핌(慈幼) = 139 제3조 가난한 자를 구제함(振窮) = 158 제4조 상사를 슬퍼함(哀喪) = 167 제5조 병자를 돌봄(寬疾) = 177 제6조 재난을 구제함(救災) = 187 진황 6조·振荒六條 제1조 밑천을 마련함(備資) = 205 제2조 권분勸分 = 247 제3조 규모規模 = 285 제4조 계획과 실시(設施) = 324 제5조 보조(補力) = 364 제6조 일을 마침(竣事) =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