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심리학의 이해
제1장 교육심리학의 성격 및 적용 = 13
1. 교육심리학이 개념 = 15
2. 교육심리학의 발전 과정 = 18
3. 교육심리학의 적용 = 25
연구문제 = 30
제2부 학습자에 대한 이해
제2장 학습자의 발달 = 33
1. 발달의 개념 = 36
1) 발달의 정의 = 36
2) 발달에 대한 연구 동향 = 37
2. 발달이론 = 44
1) 인지적 발달 = 44
2) 정의적 발달 = 49
3. 발달연구와 이론의 교육적 적용 = 56
1) 인간 이해의 기본 관점의 제시 = 57
2) 현실적·제도적 측면의 적용 = 57
3) 교실에서의 적용 = 59
연구문제 = 62
제3장 학습자의 개인차 = 65
1. 지능 = 67
1) 지능의 정의 = 68
2) 지능이론 = 69
3) 지능검사의 종류 = 74
2. 창의성 = 78
1) 창의성의 정의 = 79
2) 창의성의 구성요인 = 79
3) 창의성 훈련 = 80
3. 사회경제적 지위와 성차 = 82
1) 사회경제적 지위 = 82
2) 성차 = 83
4. 개인차의 교육적 함의 = 85
1) 지능이론 및 검사의 교육적 적용 = 85
2) 창의성의 교육적 적용 = 90
3) 사회경제적 지위와 성차의 교육적 함의 = 91
연구문제 = 94
제4장 특수한 학습자 = 97
1. 학습장애 학생 = 101
1) 학습장애의 정의 = 101
2) 학습장애의 특징 = 102
3) 학습장애 학생의 판별 = 104
4)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업 = 106
2. 정신지체 학생 = 107
3. 행동장애 학생 = 108
4. 학습부진 학생 = 109
5. 영재학생 = 112
1) 영재의 정의 = 112
2) 영재학생의 판별 = 113
3) 영재학생을 위한 교육 = 115
연구문제 = 117
제3부 학습에 대한 이해
제5장 학습의 행동주의적 관점 = 121
1. 행동주의 학습이론 = 123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 124
2)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 128
3) Bandura의 사회적 학습이론 = 129
2. 학습을 설명하는 행동주의 원리 = 131
1) 강화 = 131
2) 일반화와 변별 = 134
3) 소거 = 135
4) 벌 = 135
3. 행동주의의 교육적 적용 = 136
1) 일반화와 변별 형성에 대한 유의점 = 136
2) 강화와 벌에 대한 재고 = 137
3) 강화계획의 효과적 적용 = 139
연구문제 = 140
제6장 학습의 인지이론적 관점 = 143
1. 인지이론의 역사적 배경 = 146
2 정보처리이론 = 149
1) 정보처리이론의 구조 = 151
3. 신경망 이론 = 154
1) 신경망 이론의 구조 = 155
2) 정보처리 모델과 신경망 모델의 차이점 = 157
4. 인지이론의 교육적 적용 = 157
1) 정보처리이론의 교육적 함의 = 158
2) 신경망이론의 교육적 적용 = 162
연구문제 = 163
제7장 학습자의 동기 = 165
1. 동기의 개념 = 167
2. 동기이론 = 169
1) 일반적인 동기이론 = 170
2) 학습동기 이론 = 178
3.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변인 = 185
1) 교사역할에 대한 변인 = 185
2) 교사방법에 대한 변인 = 188
3) 학습동기화에 대한 쟁점 = 189
연구문제 = 191
제4부 수업에 대한 이해
제8장 교수이론 = 197
1. 교수의 기초 = 200
1) 교수의 개념 = 200
2) 교수의 변인 = 201
2. 교수이론 = 204
1) Glaser의 교수이론 = 204
2) Bruner의 교수이론 = 205
3) Ausubel의 교수이론 = 207
4) Gagne의 교수이론 = 210
5)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 214
3. 교수연구의 패러다임 = 217
1) 교수연구 패러다임과 그 변인들 = 218
2) 주요 교수연구 패러다임 = 218
연구문제 = 222
제9장 효과적인 교수 = 225
1. 교사효과성 = 227
1) 교사효과성의 정의 = 227
2) 교사효과성에 대한 변인 = 228
2. 효과적인 교수 기술 = 232
3. 효과적인 수업 = 237
1) 교사중심 수업 = 237
2) 학생중심 수업 = 241
연구문제 = 245
제5부 생활지도와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
제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 249
1. 생활지도 = 251
1) 생활지도의 정의 = 251
2) 생활지도의 목적 및 기능 = 252
3) 생활지도활동 = 255
4) 생활지도의 모형 = 257
2. 상담 = 260
1) 상담의 정의 = 260
2) 상담의 목적 = 261
3) 상담이론 = 262
4) 상담의 기본요건 = 266
5) 집단상담 = 268
6) 가족상담 = 272
3. 학교에서의 생활지도 및 상담의 적용 = 276
연구문제 = 281
제11장 학교교육과 정신건강 = 283
1. 정신건강의 개념 = 285
1) 정신건강의 정의 = 285
2) 건전한 성격 = 287
2. 정신건강의 요인 = 289
1) 신체와 정신관계에 대한 정신건강 = 289
2) 인간발달과 정신건강 = 290
3) 가정환경과 정신건강 = 291
4) 학교환경과 정신건강 = 291
5)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292
3. 학교교육과 정신건강 = 294
1) 학교환경과 정신건강 = 294
2) 시험불안과 정신건강 = 299
3) 학교 스트레스 = 303
연구문제 = 311
제6부 학업평가에 대한 이해
제12장 효과적인 학업평가 = 315
1. 평가의 개념 및 유형 = 317
1) 평가와 측정 = 317
2) 교육평가의 두 가지 관점 = 318
3) 학습평가의 형태 = 319
4)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 = 321
2. 시험문항의 제작 = 322
1) 선택형 문항 = 322
2) 서답형 = 324
3. 평가도구의 양호도 = 326
1) 타당도 = 326
2) 신뢰도 = 328
3) 객관도 = 331
4. 교실에서의 평가 = 331
1) 평가문제 출제의 유의점 = 331
2) 다양한 평가결과의 해석 = 334
연구문제 = 336
참고문헌 = 339
찾아보기 =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