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정록. 2 (3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허균 민족문화추진회
서명 / 저자사항
한정록 / 허균 지음 ; 민족문화추진회 편. 2.
발행사항
서울 :   솔,   1997.  
형태사항
307 p. ; 20 cm.
총서사항
나랏말씀 ;12
ISBN
8981331871 8981331243(세트)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00585223
005 20220610135924
007 ta
008 980330s1997 ulk 000a kor
020 ▼a 8981331871 ▼g 04810 : ▼c \8000
020 1 ▼a 8981331243(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03309 ▼l 111103310 ▼l 111103311
082 0 4 ▼a 089.97 ▼2 21
090 ▼a 089.97 ▼b 1997 ▼c 12
100 1 ▼a 허균 ▼0 AUTH(211009)44747
245 1 0 ▼a 한정록 / ▼d 허균 지음 ; ▼e 민족문화추진회 편. ▼n 2.
260 ▼a 서울 : ▼b 솔, ▼c 1997.
300 ▼a 307 p. ; ▼c 20 cm.
490 0 0 ▼a 나랏말씀 ; ▼v 12
700 1 ▼a 민족문화추진회 ▼0 AUTH(211009)50851
740 ▼a 나랏말쌈, 12
950 0 ▼b \8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89.97 1997 12 등록번호 1111033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12 등록번호 1111033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12 등록번호 1111033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가한 정취를 기록한 글이라는 뜻의 <한정록>은 허균이 틈틈이 중국의 고서들을 보면서 예전 선비들의 한적한 삶의 모습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이야기들을 가려 뽑은 일종의 독서록이다. 또한 은거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다룬 글과 도가에서 흔히 거론되는 양생술에 대한 희귀한 정보들도 함께 실려 있다.

<홍길동전>이 당대의 조선사회에 대한 허균의 날카로운 비판의 목소리를 들려주었다면, <한정록>은 허균의 은둔 사상을 실천적으로 조리정연하게 보여준다. 동양의 유구한 역사상에 나타난 유명한 인물과 저서들 가운데서 동양적 사고의 진수라 할 만한 일화, 잠언, 성찰들로 이루어져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허균(지은이)

허균(許筠, 1569∼1618)의 자는 단보(端甫)이고,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다. 서울 건천동(乾川洞)에서 승지였던 허엽(許曄)의 3남 3녀 가운데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서애 유성룡(柳成龍)에게 학문을 배우고, 둘째 형 허봉의 친구인 손곡(蓀谷) 이달(李達)에게 시를 배웠다. 1585년(17세) 봄에 한성부에서 치른 초시에 급제하고 1589년(21세) 이이첨(李爾瞻)과 함께 생원시에 합격했다. 1594년(26세) 2월 29일, 정시(庭試) 문과 을과에 급제해 승문원(承文院)에서 벼슬하고, 중국어 시험에 연이어 1등을 차지해 5월 3일 요동을 다녀왔다. 1613년 일어난 ‘칠서의 난’에 연루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이첨에게 의탁했으며, 인목 대비의 폐비를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나 칠서의 난 이후로 허균이 꾸준히 역모를 꾀했다는 상소가 잇따라 올라오고, 마침내 1618년 8월 17일 하옥되어 24일 급히 처형되었다. 문집으로 ≪성소부부고(惺所覆?藁)≫가 있으며 작품으로 ≪홍길동전(洪吉童傳)≫, ≪한정록(閑情錄)≫ 등을 남겼다. 누이 허난설헌과 작은형 허봉의 사후, 이들의 문집 ≪난설헌집≫과 ≪하곡집≫을 각각 엮었으며, 중국 사신 주지번에게 ≪난설헌집≫을 주어 중국에서 유통되게 하기도 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일러두기 = 4
제8권 세상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任誕 = 7
제9권 장부의 뜻은 우주와 같다·曠懷 = 25
제10권 동쪽 울타리에 국화를 심고·幽事 = 57
제11권 옛사람의 가르침·名訓 = 81
제12권 글 읽는 즐거움·靜業 = 105
제13권 풍류는 선비의 좋은 짝·玄賞 = 127
제14권 은둔하는 법·淸供 = 153
제15권 도인의 길·攝生 = 177
제16권 농사짓기·治農 = 209
제17권 병화사·甁花史 = 255
제18권 술 마시는 의식·觴政 = 273
제19권 서헌·書憲 = 285
제20권 서화금탕·書畵金湯 = 301
해설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