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삼국유사. 2 (17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일연 이재호
서명 / 저자사항
삼국유사 / 일연 지음 ; 이재호 옮김. 2.
발행사항
서울 :   솔 ,   1997.  
형태사항
515 p. ; 20 cm.
총서사항
나랏말씀 ; 2
ISBN
898133126X 8981331243(세트)
일반주기
색인포함  
000 00691namccc200265 k 4500
001 000000585153
005 20100805093834
007 ta
008 980326s1997 ulk 001a kor
020 ▼a 898133126X ▼g 04910 : ▼c \9000
020 1 ▼a 8981331243(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03239 ▼l 111103240 ▼l 111103241
082 0 4 ▼a 089.97 ▼2 21
090 ▼a 089.97 ▼b 1997 ▼c 2
100 0 ▼a 일연 ▼0 AUTH(211009)41254
245 1 0 ▼a 삼국유사 / ▼d 일연 지음 ; ▼e 이재호 옮김. ▼n 2.
260 ▼a 서울 : ▼b 솔 , ▼c 1997.
300 ▼a 515 p. ; ▼c 20 cm.
440 0 0 ▼a 나랏말씀 ; ▼v 2
500 ▼a 색인포함
700 1 ▼a 이재호 ▼0 AUTH(211009)5426
740 ▼a 나랏말쌈, 2
950 0 ▼b \9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1110324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8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111032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1110324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8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고안 089.97 1997 2 등록번호 912005328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510468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510468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1110324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8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111032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1110324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8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고안 089.97 1997 2 등록번호 912005328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510468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89.97 1997 2 등록번호 1510468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중국의 <고승전>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삼국유사>는 불교와 승려에 관한 기록 이외에도 고문서와 민간 기록을 많이 인용하여 민족 기원의 원형 보존에 주력하였다. 또 향가 14수를 수록하여 민족 문학의 주체성을 살리고 있으며, 중국의 요임금과 같은 시기에 건국했다는 신화를 실어 우리의 자주 의식을 강렬히 표방한 신화서이자, 역사서라고 할 수 있다. 부록으로 고려때 지어진 <균여전>을 수록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일연(지은이)

고려의 승려이다. 속성은 전씨, 이름은 견명, 자는 회연, 호는 무극·목암이다. 경주 장산군(지금의 경산시) 출신으로, 아버지는 지방 향리 출신인 언필이다. 1206년(희종 2년)에 태어나 1289년(충렬왕 15년) 입적하였다 충렬왕 3년 운문사에 머무르면서 &lt;삼국유사&gt; 집필에 착수하였다. 특정 신앙이나 종파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불교 신앙을 표방하는 저술을 찬술했으며, 선과 교를 막론하고 많은 불교 서적을 편수하였다. 9세 때 해양(지금의 光州) 무량사에서 취학했으며, 14세 때 설악산 진전사로 출가하여 대웅장로에게서 구족계를 받았다. 1227년(고려 고종 14년) 선불장에 나아가 상상과에 급제한 이후 포산(현풍현 비슬산)의 보당암·무주암·묘문암 등지에서 머물렀으며, 1237년 삼중대사가 되고 1246년 선사가 되었다. 대몽항쟁기 일연은 포산에서 22년을 보내면서 뚜렷한 행적을 남기지 않았다. 1249년 최씨 무인정권과 밀접한 유대를 가지고 있던 정안의 초청으로 남해 정림사에 머물게 되었다. 이는 일시적으로 최이에게 반발한 정안이 수선사 계통의 승려를 기피하여 가지산문의 일연을 초청한 것인데, 이로 인하여 가지산문의 승려들이 최씨 정권과 연결되어 1251년에 완성된 대장경 조판 중 남해분사에서의 작업에 참가하게 되었다. 1259년 대선사가 되었고, 1261년(원종 2년) 원종의 명에 따라 강화도에 초청되어 선월사에 머물렀는데, 이때 지눌의 법맥을 계승했다. 이는 그가 가지산문(헌덕왕 때 보조선사 체징이 도의道義를 종조宗祖로 삼고 가지산 보림사에서 일으킨 선풍)에서 사굴산문(범일이 강릉의 굴산사에서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킴으로써 사굴산파 또는 굴산선파라고 함)으로 법맥을 바꾼 것이 아니라 원종을 옹위한 정치세력이 불교계를 통솔하기 위해 일연을 이전의 수선사 계통의 승려를 대신한 계승자로 부각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배경으로 가지산문의 재건에 힘썼다. 1268년 왕명에 의해 운해사에서 대장낙성회를 주관하고, 1274년 비슬산 인홍사를 중수한 후 왕의 사액에 따라 인흥사로 개명했으며, 같은 해 비슬산 용천사를 불일사로 개명했다. 1281년 경주에 행차한 충렬왕에게로 가서, 불교계의 타락상과 몽골의 병화로 불타 버린 황룡사의 모습을 목격하였다. 1282년 충렬왕에게 선禪을 설하고 개경의 광명사廣明寺에 머물렀다. 1283년 국존國尊으로 책봉되어 원경충조圓經&#20914;照라는 호를 받았으며, 왕의 거처인 대내大內에서 문무백관을 거느린 왕의 구의례(옷의 뒷자락을 걷어 올리고 절하는 예)를 받았다. 그 뒤, 어머니의 봉양을 위해 고향으로 돌아왔다. 어머니가 1284년에 타계하자, 조정에서는 경상도 군위 화산의 인각사를 수리하고 토지 100여 경을 주어 주재하게 하였다. 경상북도 군위 인각사에서는 당시의 선문을 전체적으로 망라하는 구산문도회를 두 번 개최하였다. 1289년 금강인을 맺고 입적하였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혼구와 죽허가 있다. 저서에는 &lt;삼국유사&gt; 5권, &lt;선문염송사원&gt; 30권, &lt;화록&gt; 2권, &lt;게송잡저&gt; 3권, &lt;중편조동오위&gt; 2권, &lt;조파도&gt; 2권, &lt;대장수지록&gt; 3권, &lt;제승법수&gt; 7권, &lt;조정사원&gt; 30권 등을 저술하였다.

이재호(옮긴이)

1920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8년 현재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사韓國史의 비정批正』, 『조선정치제도연구朝鮮政治制度硏究』, 『한국사의 천명闡明』, 『창주산문집滄洲散文集』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징비록懲毖錄』, 『서애전서西厓全書』,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금오신화金鰲新話』, 『회재전서晦齋全書』, 『반계수록磻溪隨錄』, 『정다산문선丁茶山文選』, 『망우당문집忘憂堂文集』, 『논어정의論語正義』, 『맹자정의孟子正義』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일러두기 = 4
제3권
 제4 탑상편(塔像篇)
  동경 흥륜사 금당에 모신 10명의 성인 = 13
  가섭불의 연좌석 = 14
  요동성의 아육왕탑 = 19
  금관성의 파사석탑 = 23
  고구려의 영탑사 = 26
  황룡사의 장륙존상 = 28
  황룡사의 9층탑 = 33
  황룡사의 종·분황사의 약사동상과·봉덕사의 종 = 41
  영묘사의 장륙존상 = 44
  사불산·굴불산·만불산 = 44
  생의사 석미륵 = 50
  홍륜사의 보현보살 벽화 = 51
  세 곳에 나타난 관음과 중생사 = 53
  백률사 = 61
  민장사 = 66
  전후로 가지고 온 사리 = 68
  미륵선화 미시랑과 진자사 = 89
  남백월산의 두 성인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 98
  분황사의 천수관음에게 빌어 눈먼 아이가 눈을 얻다 = 113
  낙산의 두 보살 관음·정취와 조신 = 115
  어산의 부처의 영상 = 129
  오대산의 5만 진신 = 139
  명주 오대산의 보질도태자 전기 = 156
  오대산 월정사의 다섯 성중 = 159
  남월산 = 162
  천룡사 = 165
  무장사의 미타전 = 169
  백엄사의 돌탑과 사리 = 172
  영취사 = 174
  유덕사 = 176
  오대산 문수사 석탑기 = 177
제4권
 제5 의해편(義解篇)
  원광이 당나라로 유학하다 = 183
  보양스님과 배나무 = 207
  양지스님이 석장을 부리다 = 215
  천축으로 간 여러 법사들 = 219
  혜숙과 혜공이 갖가지 모습을 나타내다 = 222
  자장이 계율을 정하다 = 232
  원효는 구속을 받지 않다 = 246
  의상이 화엄종을 전래하다 = 255
  사복이 말을 하지 않다 = 265
  진표가 간자를 전하다 = 268
  관동 풍악의 발연수 석기 = 279
  승전의 석촉루 = 288
  심지가 진표조사의 뒤를 잇다 = 292
  유가종의 대현과 화엄종의 법해 = 300
제5권
 제6 신주편(神呪篇)
  밀본법사가 요사한 귀신을 물리치다 = 307
  혜통이 용을 항복시키다 = 312
  명랑법사의 신인종 = 321
 제7 감통편(感通篇)
  선도성모가 불사를 수회하다 = 327
  여종 욱면이 염불하여 서쪽 하늘로 올라가다 = 333
  광덕과 엄장 = 338
  경흥대덕이 문수보살을 만나다 = 342
  진신이 공양을 받다 = 347
  월명사의 「도솔가」= 351
  선율이 되살아나다 = 356
  김현이 범을 감동시키다 = 360
  융천사의 「혜성가」= 372
  정수사가 얼어 죽게 된 여자를 구하다 = 374
 제8 피은편(避隱篇)
  낭지가 구름을 부리는 지위와 보현수 = 375
  연희는 명예를 피해 달아나다가 문수점에서 도를 얻다 = 383
  혜현이 고요함을 구하다 = 386
  신충이 벼슬을 버리다 = 389
  포산의 두 성사 = 393
  영재가 도적을 만나다 = 397
  물계자 = 400
  영여사 = 403
  포천산의 다섯 비구 = 404
  염불사 = 405
 제9 효선편(孝善篇)
  진정법사의 효도와 선행이 다 아름답다 = 407
  대성이 전생과 이생의 부모에게 효도하다 = 411
  상득 사지가 다릿살을 베어 어버이를 봉양하다 = 417
  손순이 아이를 매장하다 = 418
  가난한 여인이 어머니를 봉양하다 = 420
  발문 = 424
부록
 균여전 해제 = 431
 균여전 = 433
 색인 =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