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00581022 | |
005 | 20230317131719 | |
007 | ta | |
008 | 980209s1997 ulk 000a kor | |
020 | ▼a 8987509206 ▼g 93300 : ▼c \5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01054 |
082 | 0 4 | ▼a 352.1409539 |
090 | ▼a 352.1409539 ▼b 1997 | |
110 | ▼a 민족통일연구원 ▼0 AUTH(211009)107284 | |
245 | 1 0 | ▼a 북한의 지방행정체계 : ▼b 중앙.지방관계 및 당.정관계를 중심으로 / ▼d 민족통일연구원 [편]. |
260 | ▼a 서울 : ▼b 민족통일연구원, ▼c 1997. | |
300 | ▼a 99 p. ; ▼c 22 cm. | |
490 | 0 0 | ▼a 연구보고서 ; ▼v 97-11 |
500 | ▼a [연구자] : 최진욱 | |
700 | 1 | ▼a 최진욱 |
830 | 0 | ▼a 연구보고서(민족통일연구원) ; ▼v 97-11 |
950 | 0 | ▼b \5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1409539 1997 | 등록번호 1111010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진욱(지은이)
북한, 통일전문가. 현재 전략문화연구센터 원장, 일본 리츠메이칸대 석좌교수, 한국외대 객원교수이다. 1993년부터 통일연구원에서 남북통일, 북한정치, 동북아정세를 연구했으며 2014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3년간 14대 원장으로 재직하였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통일정책연구협의회 의장,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및 기재부, 통일부, 외교부, 방송통신위원회 등의 자문위원으로서 정부 통일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적극 참여하는 경험을 했다. 2013년 13대 북한연구학회장을 역임헸다. 최진욱은 통일연구원 퇴임후 교토 리츠메이칸대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던 중 2019년 동아시아평화협력연구센터를 설립하였다. 2020년 5월 서울에 전략문화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서울에서 활동을 재개하였다. 『현대북한행정론 제2판』. (서울: 명인문화사, 2008)을 비롯해 10여권의 저서와 100여편의 국영문 논문이 있다. 한국외대 정외과를 졸업하고 1992년 미국 신시내티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Ⅱ. 북한 지방행정체계의 변화과정 = 5 1. 중앙집권체제 형성기 : 1945∼1960 = 5 2. 과도한 중앙집권체제 시정기 : 1960∼1972 = 9 3. 행정·경제적 지방분권 시행기 : 1972∼1992 = 22 4. 행정·경제적 지방분권 확대기 : 1992∼현재 = 29 Ⅲ. 북한 지방행정체계의 운영메카니즘 = 34 1. 지방 행정구역 = 34 2. 지방 정권·행정기관의 조직 및 기능 = 36 3. 지방당 조직 및 기능 = 47 4. 지방차원에서의 당·정관계 = 55 Ⅳ. 북한 지방행정체계의 특징 = 68 1. 고도의 중앙집권제 = 68 2. 당적 지도의 철칙 = 71 3. 통제의 중첩성 = 75 4. 지방 자립체제 = 77 Ⅴ. 결론 = 82 참고문헌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