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김정옥 = 6
인사말을 대신하여 / 이승구 = 7
Ⅰ. 영화론의 전개
영화미론 서설 / 김정옥 = 11
시각문화로서의 영화: 벨라 벨라즈를 중심으로 / 김정옥 = 25
영화와 영상 그리고 인간: 코앙-세아와 에드가 모랭을 중심으로 / 김정옥 = 41
기록영화의 사상: 그리어슨과 로자를 중심으로 / 김정옥 = 53
Ⅱ. 영화언어
앙드레 바쟁 / 김경욱 = 67
장 미트리: 전통이론과 현대이론의 가교 / 주진숙 = 75
크리스티앙 메츠 / 문재철 = 87
로라 멀비 / 주유신 = 95
데이비드 보드웰: 영화의 역사적 시학 / 신강호 = 103
Ⅲ. 아시아 영화, 제3영화의 대두
좌담: 제3영화의 대두 / 김정옥 ; 안병섭 ; 민병록 ; 이용관 ; 조희문 = 115
한국 영화사 연구 서설 / 김정옥 = 139
남북 연극영화의 특성과 문제점 / 김정옥 = 155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현대화: 홍성기의 멜로드라마 영화론 / 김수남 = 161
고집스러운 영화미학의 전망: 김홍준 감독론 / 정재형 = 181
일본영화의 발전 / 이승구 = 191
일본영화 수입의 문제점 / 주윤탁 = 205
일본영화에 관한 세가지 시선 / 주창규 = 225
중국 제5세대 영화 / 전평국 = 237
중국의 멜로드라마적 전통과 서구 영화이론 / 권용민 = 261
대만 뉴웨이브 영화의 현실 / 성창기 = 271
홍콩영화 / 장윤정 = 279
전통과 현대, 낡은 것과 새 것 사이에서 정체성 찾아가기: 인도영화 / 변재란 = 293
이란영화: 리얼리티는 감옥이다-마흐말바프와의 인터뷰 / 김지석 = 301
Ⅳ. 창조적 현장주변
현대영화의 흐름 / 김정옥 = 317
연구기관 방문기: 프랑스 필름 보관소 / 김정옥 = 321
대담Ⅰ: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고) / 허창 ; 안병섭 = 325
대담Ⅱ: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고) / 이용관 ; 이상용 = 329
발문 / 이응우 =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