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 최상진
1. 심리학과 유사한 분야들 = 18
2. 심리학의 정의 = 20
3. 심리학의 목적 = 21
(1) 심리학의 학문적 목적 = 21
(2) 심리학의 이상적 목적 = 22
4. 과학적 심리학의 출현 배경 = 23
5. 심리학사 = 24
(1) 철학적 심리학사 = 25
(2) 과학적 심리학사 = 26
6. 심리학의 접근방법 = 28
(1) 신경생물학적 접근 = 28
(2) 행동적 접근 = 29
(3) 인지적 접근 = 30
(4) 정신분석적 접근 = 31
(5) 인본주의적 접근 = 33
(6) 상호보완적 접근 = 34
7. 심리학의 분야 = 35
(1) 기초심리학 = 36
(2) 응용심리학 = 39
8. 심리학의 연구방법 = 43
(1) 과학적 방법의 특징 = 43
(2) 실험법 = 44
(3) 관찰법 = 47
(4) 사례법 = 48
(5) 상관법 = 48
(6) 조사법 = 49
(7) 심리검사법 = 50
제2장 행동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 / 김현택
제1절 진화와 유전 = 56
1. 행동에 대한 유전과 환경의 영향 = 57
(1) 가족사 연구 = 57
(2) 쌍생아 연구와 입양아 연구 = 58
(3)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 59
2. 행동과 신경계 = 59
제2절 신경계의 구조 = 60
1. 신경계의 기본 단위: 뉴런 = 61
2. 중추신경계 = 62
(1) 뇌 = 63
(2) 척수 = 69
3. 말초신경계 = 70
(1) 체성신경계 = 70
(2) 자율신경계 = 71
4. 신경계의 기능 = 72
(1) 신경계의 정보소통 = 72
(2) 신경계의 약리학과 호르몬 = 79
(4) 연구방법 = 87
제4절 응용 및 전망 = 93
1. 스트레스의 조절 = 94
2. 두 개의 뇌 = 97
3. 뇌 과학의 전망 = 101
제3장 / 한광희
제1절 감각과정 = 107
1. 정신물리학 = 108
(1) 자극의 탐지 = 109
(2) 감각순응 = 111
2. 시각 = 113
(1) 빛의 본질 = 113
(2) 눈의 구조와 기능 = 114
(3) 시각 정보의 처리 = 117
3. 청각 = 125
(1) 소리의 본질 = 125
(2) 귀의 구조와 기능 = 126
(3) 청각장애 = 129
4. 다른 감각들 = 130
(1) 미각 = 130
(2) 후각 = 132
(3) 피부 및 신체감각 = 134
제2절 지각과정 = 137
1. 지각이론 = 138
(1) 구성주의적 접근 = 138
(2) 생태학적인 접근 = 138
2. 선택적 주의 = 139
3. 지각적 착각 = 142
4. 지각적 조직화 = 143
(1) 형태지각 = 145
(2) 깊이지각 = 146
(3) 운동지각 = 151
(4) 지각항등성 = 152
5. 자극의 해석 = 155
(1) 지각적 순응 = 156
(2) 지각적 갖춤새 = 156
제4장 / 정찬섭 ; 박수진
1. 개념형성 = 163
(1) 개념의 정의(定義)와 특징 = 163
(2) 개념형성 과정 = 166
2. 추리(reasoning) = 168
3. 문제해결의 원리와 전문성 = 172
(1) 보편적인 문제해결 원리 = 173
(2) 전문성 = 176
4. 언어발달 = 178
(1) 언어발달 과정 = 178
(2) 언어발달 이론 = 180
5. 언어와 의사소통 = 183
제5장 학습과 기억 / 김영채
제1절 학습과 학습이론 = 193
1. 학습의 정의 = 194
2. 학습의 범위와 연구 = 195
3. 학습의 현상, 학습의 과정 그리고 학습이론 = 197
4. 학습연구 패러다임의 개관 = 198
제2절 고전적 조건형성 = 201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 201
2. 고전적 조건형성의 주요 측면들 = 203
(1) 후진적 조건형성 = 203
(2) 소거와 자발적 회복 = 205
(3) 일반화와 변별 = 206
(4) 고차적 조건형성 = 207
3. 임상적 적용 = 207
4. 최근의 발전 = 210
제3절 도구적 조건형성 = 212
1. 도구적 행동 = 212
2. Thorndike의 시행착오 학습 = 213
(1) 시행착오 학습 = 213
(2) 학습의 법칙 = 216
3.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 217
(1) Skinner = 217
(2) S형 조건화와 R형 조건화 = 217
(3) 조작적 조건화 = 218
4. 조작적 조건형성의 주요 측면 = 220
(1) 조형 = 220
(2) 소거와 자발적 회복 = 220
(3) 미신적 행동 = 221
(4) 강화 = 221
(5) 벌 = 227
5. 적용 = 229
6. 조건형성을 통한 학습의 생물학적 한계 = 230
(1) 구두쇠 너구리의 비행행동 = 231
(2) 자동조형 = 233
제4절 인지적 학습이론 = 234
1. 통찰학습 = 235
2. 인지도 학습 = 237
3. 개념학습 = 239
4. 관찰학습 = 240
제5절 기억의 연구와 모형 = 242
1. 기억 연구의 접근법 = 242
(1) 연합주의 접근법의 기억연구 = 244
(2) 구성주의 접근법의 기억연구 = 245
2. 기억의 모형 = 245
(1) Atkinson-Shiffrin의 기억모형 = 246
(2) 기타의 기억 모형 = 248
제6절 기억의 유형 = 250
1. 감각기억 = 251
2. 단기기억 = 253
3. 장기기억 = 255
제7절 기억의 인출과 망각 = 257
1. 망각이론 = 257
2. 기억에 작용하는 요인 = 260
(1) 전문지식 = 260
(2) 감정 = 261
3. 기억의 증진 = 262
(1) 텍스트 이해의 증진 = 263
(2) 기억조성법의 원리 = 264
(3) 기억조성의 기법 = 265
제6장 동기와 정서 / 김혜숙
1. 동기 = 272
(1) 기본동기이론 = 272
(2) 동질정체와 동기 = 274
(3) 배고픔동기와 체중조절 = 275
(4) 성동기 = 279
(5) 호기심 동기 = 282
(6) 복잡한 동기들 = 284
2. 정서 = 290
(1) 정서의 종류와 차원 = 291
(2) 정서와 신체반응 = 291
(3) 정서와 인지 = 294
(4) 정서와 얼굴표정 = 297
(5) 정서가 인지과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300
(6) 공격행동 = 301
제7장 발달심리 / 황상민
제1절 인간발달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란? = 311
1. 발달연구의 주요 주제 = 313
(1) 유전과 환경의 역할 = 314
(2) 사회문화적인 맥락의 영향 = 316
(3) 아이의 능동적인 역할 = 317
(4) 발달의 연속성과 단계적 특성 = 318
(5) 발달의 결정적 시기 또는 민감한 시기 = 320
제2절 인지발달 및 사고 = 321
1. 유아 지각과 지식의 발달 = 321
(1) 지각발달(perceptual development) = 322
(2) 초기 지식의 발달 = 326
2. 논리적 사고의 발달 = 333
(1) 아동의 추론능력에 관한 Piaget의 연구 = 333
(2) 지적 능력의 발달에 관한 Piaget의 이론 = 338
(3) 스키마(schemes)의 변화: 동화와 조절 = 341
3. Piaget 이론의 비판 = 342
(1) 단계에 따른 질적 차이: 명확한 증거의 부족 = 342
(2) 변화과정의 불명확성: schemes와 행동의 불명확한 연결 = 343
(3) 사회환경의 역할에 대한 과소평가 = 344
제3절 사회발달 = 344
1. 유아기의 사회발달 = 345
(1) 신체적 접촉의 중요성 = 345
(2) 유아 애착행동의 초기 표현방식 = 347
(3) 낯선 상황: 애착행동 측정 = 347
2. 성격형성과 사회화 = 349
(1) Freud의 성격발달이론 = 349
(2) Erikse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349
(3) Erikson의 성격발달 단계론 = 350
(4) 기질과 성격형성 = 351
3. 사회화 기관(social agent)의 영향 = 354
(1) 부모의 양육방식 = 354
(2)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학교 = 355
4. 청소년기: 자신에 대한 발견 = 356
(1) 과도기의 성질 = 356
(2) 개인적 정체의 발견 = 357
(3) 도덕적 추론 = 358
제8장 사회행동 / 조긍호
제1절 타인 및 사회적 사건의 이해 = 368
1. 인상형성 = 369
(1) 인상형성의 차원 = 369
(2) 인상형성의 특징 = 370
2. 사회인지 = 371
(1) 도식(圖式) = 372
(2) 도식적 정보처리 = 373
(3) 사회추론과 추단율 = 374
3. 귀인 = 376
(1) 귀인의 방향과 안정성 = 377
(2) 귀인원리 = 377
(3) 귀인편향 = 378
제2절 대인관계 = 379
1. 친교행동 = 380
(1) 친교대상자의 조건 = 380
(2) 친교과정 = 384
2.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 = 385
(1) 도움행동 = 386
(2) 공격 = 390
제3절 사회영향 = 393
1. 동조와 순종 = 394
(1) 동조행동 = 394
(2) 순종 = 398
(3) 동조와 순종의 사회적 기능 = 403
2. 태도와 태도변화 = 404
(1) 태도의 개념 = 404
(2) 태도의 형성과 변화 = 407
제9장 / 홍숙기
1. 정신분석 이론 = 420
(1) 무의식과 성충동 = 420
(2) 성격의 구조 = 422
(3) 성격의 발달 = 426
(4) 자아방어 기제 = 431
(5) 정신분석 치료 = 436
2. 트레이트 심리학 = 440
(1) Allport:개성의 탐색 = 440
(2) Cattell의 성격요인들 = 445
(3) Eysenck의 3요인 이론 = 450
(4) 트레이트 심리학의 위기와 희생 = 452
(5) 5요인 모델 = 453
3.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이론 = 456
(1) 행동과 환경: Skinner의 급진적 행동주의 = 457
(2)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 = 459
4. 진화심리학과 행동유전학 = 465
(1) 진화심리학 = 465
(2) 행동유전학 = 469
5. 통합과 결론 = 473
제10장 지능 및 여러가지 심리적 속성의 측정과 검사 / 이순묵
1. 검사가 갖춰야 할 사항 = 486
(1) 신뢰도 = 487
(2) 타당도 = 489
(3) 표준화 및 규준(norn)의 작성 = 494
2. 지능, 적성 및 성취도의 측정 = 497
(1) 개인지능검사 = 499
(2) Binet검사계열: Stanford-Binet 검사 = 500
(3) Wechsler검사계열: WAIS. WISC, WPPSI = 501
(4) 집단지능검사 = 502
(5) 지능측정의 새로운 방향 = 503
(6) 지능수준의 다양성 = 507
(7) IQ 점수: 유전이냐 양육이냐? = 508
(8) IQ 점수: 문화의 영향 = 509
(9) 성취도 검사 및 적성검사 = 513
(10) 대학수학능력검사(수능시험) = 515
3. 성격측정 = 517
(1) 자기보고목록(self-report inventory): 개념 = 518
(2) 자기보고목록: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 = 519
(3) 투사검사 = 521
(4) Rorschach 잉크반점(inkblot)검사 = 522
(5) 주제통각검사 (TAT: Thematic Apperception Test) = 524
(6) 생리적 측정 = 525
4. 의견 및 태도 측정 = 526
5. 행동표본검사 = 529
6. 검사의 윤리 = 531
(1) IQ 검사와 특수교육 = 532
(2) '검사에서의 진실'에 대한 법 = 533
제11장 이상심리와 심리치료 / 권석만
1. 정상심리와 이상심리의 정의 = 539
2. 이상심리에 대한 이론적 입장 = 542
(1) 생물·의학적 입장 = 543
(2) 정신분석적 입장 = 543
(3) 행동주의적 입장 = 544
(4) 인지적 입장 = 544
(5) 인본주의적 입장 = 544
(6) 취약성 - 스트레스 입장 = 545
3. 이상심리 및 심리적 장애의 분류 = 545
(1) 불안장애 = 547
(2) 기분장애 = 550
(3) 신체형 장애와 해리장애 = 553
(4) 정신분열증 = 555
(5) 성격장애 = 558
(6) 물질관련장애 = 560
(7)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 = 562
4. 심리치료 = 565
(1) 정신분석적 치료 = 566
(2) 행동치료 = 567
(3) 인지치료 = 569
(4) 인간중심적 치료 = 573
(5) 집단치료 및 가족치료 = 574
제12장 / 전겸구
1. 건강심리학이란 무엇인가 = 583
(1) 건강심리학은 왜 필요한가 = 584
(2) 건강심리학의 정의 및 특징 = 587
2. 신체적 수준 = 588
(1) 흡연 = 588
(2) 음주 = 594
(3) 식사 = 597
(4) 운동 = 601
3. 심리적 수준 = 606
(1) 성격과 건강 = 606
(2) 정서와 건강 = 609
(3) 스트레스와 대처 = 612
4. 사회적 수준 = 622
(1)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지원 = 622
(2) 사회적 지원의 기능 = 623
(3) 사회적 지원의 효과 = 623
(4) 사회적 지원과 건강 = 624
5. 심혈관계 질환과 건강 = 625
(1) 고혈압 = 625
(2) 관상동맥질환 = 626
(3) 뇌졸증 = 627
6. 암과 건강 = 628
(1) 양성 대 악성종양 = 629
(2) 악성종양의 종류 = 629
(3) 암의 일반적인 징후 = 630
7. 건강증진 = 631
제13장 여성심리학 / 김태련 ; 김혜원
1. 여성심리학이란?: 여성심리학 약사(略史) = 639
2. 여성심리학 이론 = 641
(1) 정신분석학 이론 = 641
(2) 사회학습이론 = 643
(3) 인지발달 이론 = 644
(4) 양성성 이론 = 645
3. 여성과 남성: 같음과 다름 = 647
(1) 인지적 능력 = 649
(2) 사회적 행동 = 651
(3) 성차의 원인 = 654
4. 여성과 여성성(femininity): 성 고정관념과 성역할 사회화 = 655
(1) 남성성(masculinity)과 여성성(feminity) = 656
(2) 성 정체감 혹은 성역할 정체감의 형성 과정 = 657
(3) 성역할 사회화 = 658
(4) 성 고정관념, 성 정형화의 폐해 = 663
5. 여성과 결혼 = 665
(1) 부분간 역할 분리 = 665
(2) 부부 권력 = 667
(3) 결혼의 심리적 영향력 = 669
6. 여성과 모성 = 670
(1) 모성과 양육성: 본능인가 혹은 문화적 산물인가? = 670
7. 여성과 직업 = 674
(1) 여성취업의 현황 = 674
(2) 취업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 676
(3) 통합적 모델로서의 여성취업 연구 = 678
8. 여성과 성(sex) = 679
(1) 성에 관한 남성과 여성의 차이 = 679
(2) 성에 대한 사회적 관점 = 681
(3) 강간 = 685
제14장 한국인의 심리특성 / 최상진
1. 한국인 심리학의 구성배경 = 695
2. 한국인의 심정주의와 심정심리 = 700
(1) 심정을 읽으면 한국인이 보인다 = 706
(2) 심정의 심리학적 개념화 = 709
(3) 심정심리학 구성의 이론적 배경 = 714
3. 한국인의 심층심리 구조 = 717
(1) 정(情) = 723
(2) 한(恨) = 729
4. 한국인의 사회심리 특성구조 = 738
(1) 한국인의 우리성 = 740
(2) 체면 = 745
(3) 눈치 = 749
(4) 핑계 = 753
(5) 의례성 = 760
참고문헌 = 767
찾아보기 = 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