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50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579380 | |
005 | 20100805081003 | |
007 | ta | |
008 | 980119s1997 ulkd 001a kor | |
020 | ▼a 8976262077 ▼g 93810 : ▼c \2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00100 ▼l 111100101 ▼l 111100102 ▼l 192014785 |
082 | 0 4 | ▼a 897.0915 ▼2 21 |
090 | ▼a 897.0915 ▼b 1997 | |
100 | 1 | ▼a 윤경수 ▼0 AUTH(211009)54303 |
245 | 1 0 | ▼a 圖解 韓國神話와 古典文學의 原型象徵性 : ▼b 檀君神話와 그 受容樣相을 中心으로 / ▼d 尹敬洙 著. |
260 | ▼a 서울 : ▼b 太學社 , ▼c 1997. | |
300 | ▼a 602 p. : ▼b 챠트 ; ▼c 23 cm. | |
500 | ▼a 색인포함 | |
950 | 0 | ▼b \20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111001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111001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11100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석헌 897.0915 1997 | 등록번호 192014785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510496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510496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111001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111001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11100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석헌 897.0915 1997 | 등록번호 192014785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510496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0915 1997 | 등록번호 1510496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윤경수(지은이)
단기 4267(1934)년 경기 화성시 출생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수필가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석사과정 수료 성균관학교 박사과정 국어국문학과 수료 성균관대학교·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강사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류교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2011 現在: 世宗大王紀念事業會朝鮮王朝實錄人名事典編輯委員·古朝鮮檀君學會 우리文學會·東邦文學顧問·龍仁市民新聞 市民記者·中國北京自修大學校名譽敎授. 石北詩 硏究(1984) 鄕歌·麗謠의 現代性硏究(1993) 韓國文學思想의 現代性硏究(1994) 圖解·韓國神話와 古典文學의 原型象徵性(1997) 圖解·朝鮮朝小說의 神話的 分析(1998) 圖解·韓國古小說의 洞窟모티프 硏究(1999) 圖解·弘益人間과 敍事文學(上·下)(2003~2004) 檀君禮節敎訓366事와 弘益人間思想(上·下)(2007) '關山戎馬'의 美學的 考察(2007) 朝鮮王朝實錄 人名事典(共著)(2011) 詩人大會 및 外國學術大會發表 1990. 5. 13~17. Malaysia, KualaLumpur, ASIAN POETS CONFERENCE, 招請‘Korean Armistice Line’發表 1992. 10. 3~4. 日本 天理大學 主催 學術大會 招請 ‘茶山詩 哀絶陽ついて’發表 1993. 8. 20~23. SEOUL ASIAN POTS CONFERENCE 招請 ‘WIND’發表 1994. 10. 1~2. 日本 天理大學 主催 學術大會 招請(第145回 朝鮮學大會) 招請 ‘鄕歌文學 · 歷史 意識包容の宇宙科學的 考察’ 發表 1996. 7. 21~22. 中國民間文藝家協會 延邊分會 主催 韓國과 中國朝鮮族 口碑文學 比較硏究 學術大會招請 ‘說話에 나타난 龍의 韓中 比較’ 發表

목차
목차 제1부 국조신화의 원형과 일본신도 및 문학적 수용 1. 단군신화와 일본신도·修驗道의 수용 양상 = 11 Ⅰ. 머리말 = 11 Ⅱ. 단군신화와 종교적 성격 = 15 Ⅲ. 무교의 원천과 그 수용 = 27 Ⅳ. 檀君神話와 日本神道·受驗道 = 36 Ⅴ. 맺음말 = 41 2. 檀君神話의 傳承的 性格 = 45 Ⅰ. 머리말 = 45 Ⅱ. 檀君神話의 神格 由來 = 46 Ⅲ. 檀君實史의 考證 = 58 Ⅳ. 맺음말 = 68 3. 檀君神話에 나타난 神檀樹의 一考察 = 71 Ⅰ. 머리말 = 71 Ⅱ. 단군신화와 무속관념의 전통성 = 72 Ⅲ. 신단수와 그 수용 = 79 Ⅳ. 솟대의 의미분석 = 83 Ⅴ. 맺음말 = 87 4. 고소설 변신담의 원형적 연구 = 89 Ⅰ. 머리말 = 89 Ⅱ. 동굴 모티프의 원형과 이물교혼담 = 90 Ⅲ. 외모와 신분상승의 변신모티프 = 99 Ⅳ. 맺음말 = 113 제2부 주몽신화와 문학적 수용 5. 高朱蒙 神話의 性格 = 117 Ⅰ. 머리말 = 117 Ⅱ. 주몽 신화의 구성과 파송자 = 119 Ⅲ. 주몽과 청룡의 성격 = 125 Ⅳ. 맺음말 = 139 6. 「東明王篇」에 나타난 穀神·神木·神鳥에 對하여 = 143 Ⅰ. 머리말 = 143 Ⅱ. 곡신신앙 = 145 Ⅲ. 신목과 신조신앙 = 152 Ⅳ. 신목·솟대와 수용양사 = 158 Ⅴ. 맺음말 = 165 제3부 박혁거세신화와 용사상의 10차원적 문학세계관 7. 박혁거세·알영 탄생에 조류 관련성 고찰 =169 Ⅰ. 머리말 = 169 Ⅱ. 난생설화와 동북아시아권에서의 예 = 171 Ⅲ. 서술성모와 소리개 = 178 Ⅳ. 서술성모와 알영의 곡신적 성격 = 184 Ⅴ. 맺음말 = 189 8. 용사상의 우주관적 고찰 = 191 Ⅰ. 머리말 = 191 Ⅱ. 중국룡과 한국룡 = 192 Ⅲ. 5행사상과 5색용의 문학적 수용 양상 = 197 Ⅳ. 맺음말 = 209 제4부 수로신화와 구지가의 난생상징성 및 유감주술성 9. 首露神話에 나타난 光明象徵과 迎神祭儀的 性格 = 213 Ⅰ. 머리말 = 213 Ⅱ. 수로신화와 국조신화와의 관련성 = 214 Ⅲ. 영신제의와 상징성 = 223 Ⅳ. 모의 성의식의 굿 행사 = 228 Ⅴ. 맺음말 = 234 10. 首露神話의 祭儀와 卵生象徵性 = 237 Ⅰ. 머리말 = 237 Ⅱ. 2부체제의 신화성 = 238 Ⅲ. 난생의 상징 = 254 Ⅳ. 맺음말 = 260 11. 龜旨歌의 類感呪術性의 時代的 受容 = 263 Ⅰ. 머리말 = 263 Ⅱ. 구지가의 발생 요건 = 264 Ⅲ. 구지가의 무가적 성격과 유감주술성 = 276 Ⅳ. 구지가의 수용양상 = 280 Ⅴ. 맺음말 = 288 제5부 향가·한문학의 국조신화적 요소 12. 향가에 나타난 성수숭배 관념과 원형 상징성 = 291 Ⅰ. 머리말 = 291 Ⅱ. 신수·성수의 원형관념 = 292 Ⅲ. 헌화가의 철쭉꽃과 신수관념 = 299 Ⅳ. 도솔가와 성화 = 309 Ⅴ. 백수와 성수 = 318 Ⅵ. 맺음말 = 327 13. 온달전에 나타난 국조신화의 수용 양상 = 329 Ⅰ. 머리말 = 329 Ⅱ. 온달전과 국조신화 = 330 Ⅲ. 온달전과 국조신화의 3개의 모티프와 재생력 = 341 Ⅳ. 맺음말 = 352 14. 朝鮮朝 科學詩 形態의 國祖神話的 要素 = 355 Ⅰ. 머리말 = 355 Ⅱ. 과거시 형태와 국조신화와의 상관성 = 357 Ⅲ. 과거시 운과 평측법 = 363 Ⅳ. 과시와 세시풍속 = 366 Ⅴ. 과시 작법의 실제 = 369 Ⅵ. 맺음말 = 380 15. 만복사저포기의 국조신화적 성격 = 383 Ⅰ. 머리말 = 383 Ⅱ. 만복사저포기와 민간신앙 = 384 Ⅲ. 만복사저포기와 국조신화의 공통적 성격과 특징 = 391 Ⅳ. 맺음말 = 408 제6부 고소설에 나타난 국조신화의 모티프 16. 九雲夢의 原型的 考察 = 411 Ⅰ. 머리말 = 411 Ⅱ. 구운몽의 사상과 국조신화적 양상 = 413 Ⅲ. 맺음말 = 430 17. 沈淸傳의 原型象徵性 = 433 Ⅰ. 머리말 = 433 Ⅱ. 심청의 탄생과 수난과정 = 434 Ⅲ. 제의적 희생과 환생 = 453 Ⅳ. 맺음말 = 460 18. 춘향전의 창작동인과 신화원형비평 연구 = 465 Ⅰ. 머리말 = 465 Ⅱ. 조선후기 사회와 춘향전의 발생경위 = 466 Ⅲ. 원형 상징성 반영 = 474 Ⅳ. 맺음말 = 486 19. 春香과 李夢龍의 運命觀 = 489 Ⅰ. 머리말 = 489 Ⅱ. 춘향의 운명 = 490 Ⅲ. 이몽룡과 청룡 = 496 Ⅳ. 맺음말 = 505 20. 장화홍련전의 국조신화 수용 양상 = 507 Ⅰ. 머리말 = 507 Ⅱ. 구성과 죽음의식 = 509 Ⅲ. 재생구조의 공통유형과 매체 = 515 Ⅳ. 인류의식과 재생력 = 520 Ⅴ. 상극성과 조화 = 525 Ⅵ. 맺음말 = 531 21. 유충렬전의 신화적 고찰 = 533 Ⅰ. 머리말 = 533 Ⅱ. 유충렬전의 개관과 대립관계 = 535 Ⅲ. 유충렬전의 국조신앙 = 545 Ⅳ. 충렬과 청룡과의 관련성 = 557 Ⅴ. 맺음말 = 565 제7부 고수필과 국조신화의 원형 22. 『정경부인 혜평윤씨 행장』에 나타난 모태회귀적 모티프 = 567 Ⅰ. 머리말 = 567 Ⅱ. 서포의 모태회귀사상과 행장의 내용 = 568 Ⅲ. 윤씨행장의 구성과 국조신화와의 관련성 = 574 Ⅳ. 맺음말 = 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