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재간행(再刊行)에 부쳐 = 3
산운사학(汕耘史學)과 《한국(韓國)의 혼(魂)》 = 4
송수사(頌壽辭) = 10
서문(序文) = 15
제1부 민족혼의 별들
1. 동명성왕(東明聖王) = 19
2. 태조대왕(太祖大王) = 22
3. 미천대왕(美川大王) = 25
4.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 28
5. 온달(溫達) 장군 = 34
6. 을지문덕(乙支文德) 장군 = 37
7. 연개소문(淵蓋蘇文) = 46
8. 발해 태조(渤海 太祖) = 52
9. 왕인(王仁) 박사 = 55
10. 동성대왕(東城大王) = 57
11. 진흥대왕(眞興大王) = 59
12. 지조(智照) 부인 = 63
13. 원효대사(元曉大師) = 66
14. 장보고(張保皐) 장군 = 68
15. 고려 태조(高麗 太祖) = 71
16. 서희(徐熙) = 75
17. 강감찬(姜邯贊) 장군 = 78
18. 대각국사(大覺國師) = 82
19. 윤관(輪關) 장군 = 84
20. 최이(崔怡) = 87
22. 이제현(李齊賢) = 93
23. 최영(崔營) 장군 = 95
24. 문익점(文益漸) = 98
25. 조선 태조(朝鮮 太祖) = 101
26. 세종대왕(世宗大王) = 104
27. 이순신(李舜臣) 장군 = 109
28. 서산대사(西山大師) = 118
29. 정문부(鄭文孚) 장군 = 121
30. 정봉수(鄭鳳壽) 장군 = 124
31. 정약용(丁若鏞) = 127
32. 이경직(李耕稙) = 129
33. 한국 독립운동지사들 = 131
제2부 한국사상연구(韓國思想硏究)
1. 조선의 시초와 단군 = 137
2. 단군의 역사 = 141
3. 단군성서의 연구 = 157
4. 단군(檀君)의 고적(古蹟) = 163
5. 우리나라의 신인교(神人敎) = 170
편미 = 181
제3부 조선사
[총설]
1. 조선민족 = 187
2. 삼국 및 남북국시대 = 195
3. 조선 역사의 시기 = 201
[제1편 상고사(上古史)]
1. 조선의 태고 = 202
2. 열국시대 = 204
[제2편 중고사(中古史)]
1. 3국의 초기의 고구려의 발전 = 212
2. 유리명왕과 대무신왕 = 218
3. 태조대왕의 업적과 차대왕의 등장 = 232
4. 백제의 건국과 마한의 멸망 = 242
5. 신라의 흥기와 가야의 성립 = 251
[제3편 삼국의 제2기와 고구려의 강성]
1. 고구려의 명재상과 한의 침입 = 258
2. 말갈 정복과 창조리의 혁명 = 264
3. 고구려의 번영과 위대한 왕들 = 279
4. 백제의 흥성과 남천(南遷) = 291
5. 신라의 발전과 나제(羅濟) 연합 = 305
[제4편 삼국의 융성]
1. 고구려의 남정과 돌궐의 침입 = 329
2. 을지문덕과 수(隋)의 침입 = 336
3. 백제의 부흥 = 346
4. 신라의 강성 = 351
5. 연개소문과 당나라의 침입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