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63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574493 | |
005 | 20100805063044 | |
007 | ta | |
008 | 971126s1997 ulk 001a kor | |
020 | ▼a 8982061320 : ▼c \12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098737 ▼l 111098738 ▼l 111098739 |
082 | 0 4 | ▼a 801 ▼2 21 |
090 | ▼a 801 ▼b 1997 | |
100 | 1 | ▼a 채수영 |
245 | 1 0 | ▼a 문학생태학 = ▼x The literature ecology / ▼d 채수영 지음. |
260 | ▼a 서울 : ▼b 새미 , ▼c 1997. | |
300 | ▼a 346 p. ; ▼c 23 cm. | |
500 | ▼a 색인포함 | |
950 | 0 | ▼b \12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97 | Accession No. 1110987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97 | Accession No. 11109873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801 1997 | Accession No. 1110987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1997 | Accession No. 1510572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97 | Accession No. 1110987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97 | Accession No. 11109873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801 1997 | Accession No. 1110987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1997 | Accession No. 1510572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채수영(지은이)
ㆍ시인. 문학비평가. ㆍ동국대 국문과 경기대 대학원(문학박사). ㆍ한국문학비평가협회 고문 ㆍ전국대학문예창작학회장 역임. ㆍ신흥대학문예창작과 교수 역임. ㆍ시집 <푸른 동행> <채수영 시전집> 1~4권 (국학자료원, 2013.4) <광인의 콘서트> <달과 부처님> <허전 묵시록> ㆍ저서 <채수영전집> 20권 ㆍ수필집 <상상여행>(새미, 2013.4) <문사원 명상> <정서학 사전>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1 Ⅰ부. 문학과 생태학 1. 생태학과 인간학 = 11 1) 무엇인가로부터 = 11 2) 어떻게 생겨나는가? = 17 3) 자연은 어떻게 수용되는가? = 19 4) 자연과 인간 소재 = 22 5) 인간과 인간의 역할 = 24 6) 수필과 인간학의 함수 = 26 2. 문학 환경 = 36 1) 발생과 환경 = 36 2) 어떻게 사는가 = 40 3) 감정과 이성 = 43 4) 장르의 운명 = 48 3. 생존 전략 = 51 1) 이름 쓰기 = 51 2) 잡초이름쓰기 = 52 3) 참이름 쓰기 = 55 4) 생명의 보편성 = 56 5)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의 결합 = 70 4. 문학 창조의 길 = 83 1) 문학이라는 이름의 가치 = 83 2) 문학이라는 광물 = 88 3) 문학과 장식 = 90 4) 시간과 창조 = 92 5) 문학이 만드는 것 = 95 Ⅱ부. 문학 환경과 적응 1. 생명의 발전 = 101 2. 환경과 여건 = 104 1) 붕어빵과 만성 도취증 = 105 2) 문학행정론의 근거 찾기 = 106 3) 감정 생산 = 107 4) 감정 소비 = 109 3. 문학예술과 정치 행정 = 114 1) 정치와 예술 = 114 2) 사회 메커니즘으로의 문학 = 117 4. 남북 문학의 두 표정 = 121 1) 북한의 문학 = 121 2) 남한의 문학 = 126 3) 하나의 공간을 위하여 = 130 5. 전통성의 여백 - 거리론 = 132 1) 시의 거리론 = 134 2) 시인과 거리 = 135 3) 도취와 거리 = 140 4) 의미 구조와 거리 = 142 5) 전통과 거리 = 149 6) 상황과 거리 = 153 7) 시와 독자의 거리 = 159 6. 문학 공화국 건설 = 162 1) 수필과 문학 공화국 = 162 2) 전통의 근간 = 164 3) 우리의 전통은 수필과 어떤 상관이 있는가 = 165 4) 수필 - 새로운 땅을 위하여 = 168 Ⅲ부. 문학 표현과 환경 병리 1. 문학의 환경 병리 = 173 2. 길을 잃은 사람들의 표정 = 178 3. 문학의 이데올로기 = 187 4. 쓰레기 문학론 = 192 1) 문학 신전의 폐품들 = 192 2) 쓰레기 시장의 표정 = 194 3) 시의 표정과 갈등 = 200 5. 잡초 문학론. 1 = 212 6. 잡초 문학론. 2 = 225 7. 잡초 문학론. 3 = 240 8. 대중문화와 문학 = 247 9. 문학의 새로운 시대인가? = 254 1) 상업 메카니즘과 소설 = 256 2) 잡초문학의 제거 = 259 Ⅳ부. 작가환경과 개성 1. 작가와 개성 = 265 1) 기교적 절망 - 李箱 = 267 2) 불구적 절망 - 이광수 = 275 3) 절망에서도 절망을 거부한 절망 - 한용운 = 281 2. 사회 환경과 개성 = 290 1) 문학과 사회 = 291 2) 문학과 사회의 상관 = 293 3) 문학과 사회 개조 = 299 3. 정보화 시대와 문학 시 = 303 1) 제3의 문화 = 303 2) 시는 정보인가? = 305 3) 대중성의 극복 = 308 4) 시의 자리 = 309 5) 시 - 인간 사랑의 숙제 = 311 4. 난센스 문학들 = 313 1) 발로 쓰는 문학 = 313 2) 포장 문학과 책들 = 315 5. 도시에서 전원으로 = 317 1) 전원으로의 귀환 = 317 2) 구체적인 이유 = 318 Ⅴ부. 살아 남는 것과 작가의 행동 1. 살아 남는 것 - 구조나 의미 = 327 1) 무욕의 결과 = 328 2) 욕망의 결과 = 331 2. 죽은 것 혹은 영원성의 조건 = 333 3. 작가와 행동의 기준 = 335 4. 문학의 잣대 = 340 5. 문학의 미래를 위해 = 343 찾아보기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