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 4
해설 = 239
하서 연보 = 253
1부 빗속에 국화를 심으면서
동서문 밖에 노닐면서 = 15
강천사에서 효선과 유별하다 = 17
유월 이십삼일 밤에 = 19
한산의 시를 보고 느낀 바 있어서 = 20
빗속에 국화를 심으면서 = 21
생각한 바가 있어 = 23
왕악의 산수화에 제하다 = 26
사율의 증별시에 답하다 = 28
이중구에게 주다 = 31
칠석부 = 34
유군직의 집에서 짓다 = 40
노경이의 나암에 제하다 = 41
꿈에 청학동을 노닐다 = 45
화표의 학 = 48
비 개인 후 = 50
기명언에게 주다 = 52
두견이 소리를 듣다 = 53
덕무와 공중에게 별장을 주다 = 54
경범의 어부를 노래한 운에 차하다 = 55
소쇄정 즉사 = 56
환벽당 = 57
양재역 빗속에 = 58
양한에게 주다 = 62
반딧불 = 63
빗속 = 64
화양정 = 65
우연히 뒷산 정자에 나가다 = 66
노중에 뇌우를 만나 늦게 달을 띠고 집에 당도하다 = 67
2부 산중의 밤이야기
사수가 이별의 시를 청하기에 = 71
임석천의 집에서 수창하다 = 75
산중의 밤이야기 = 80
대임을 전송하면서 = 82
중길을 그리다 = 83
신내한에게 올림 = 84
소쇄원 사십팔영
작은 정자에 기대어 = 85
돌 비탈길을 오르며 = 86
작은 못의 물고기 = 87
달밤의 매화 = 88
너럭바위에 누워 = 89
섬돌을 거닐며 = 90
소나무와 국화 = 91
매화 등걸 = 92
드러난 대나무 뿌리 = 93
골짜기의 단풍 = 94
동산에 덮인 눈 = 95
박평숙에게 주다 = 96
기백고에게 보이다 = 97
면앙정 삼십영
추월산의 푸른절벽 = 98
서석산의 아지랭이 = 99
한가을의 나무꾼 노래 = 100
목산의 피리소리 = 101
절간의 종소리 = 102
이별 = 103
백고에게 주다 = 104
가을날에 쓰다 = 105
밤에 써서 경범에게 부치다 = 106
천보 일선 두 사가 시를 청하다 = 107
우중 = 108
갈원에 유숙하는데 = 109
금탄에서 배를 띄우다 = 110
한선 = 111
천주봉에서 달을 구경하다 = 113
3부 고목
눈 내린 뒤에 거닐면서 = 117
눈 = 119
윤맹현이 술을 가지고 찾아왔기에 = 122
소쇄원 글방에서 묵다 = 123
경이의 운에 차함 = 126
서울에 가는 윤예원에게 주다 = 127
고목 = 128
허중승의 초사 물음에 답하다 = 129
송탄완월 = 130
시병 = 131
거지의 노래 = 132
사수에게 화답하다 = 133
주교리 경유의 운을 사용하여 신언옥에게 주다 = 134
소재의운에 차하다 = 135
매화와 대를 읊다 = 137
갓 핀 매화 = 138
우연히 쓰다 = 139
서가구의 눈을 읊은 운에 차하다 = 140
매화와 대를 노래하다 = 141
금오신화를 윤예원에게 빌리다 = 142
석죽화 = 143
김정랑의 벽상 운에 차하다 = 144
눌재에 차운하여 중에게 주다 = 145
눈 속에서 = 146
동지 이튿날 = 147
밤눈 = 148
홍공신을 보내어 서울로 가다 = 149
매화가 지다 = 150
매화를 보고서 짓다 = 151
병중에 짓다 = 152
거문고 노래를 듣다 = 153
송별 = 154
4부 과회를 그리워하면서
천안에서 짓다 = 157
읊어 경범에게 보여주고 화답을 재촉하다 = 158
과회를 그리워하면서 = 159
유배지의 유미암에게 = 160
또 부치다 = 165
유생에게 보여주다 = 166
퇴계의 시를 보고 화답하다 = 167
조일사의 상소 뒤에 제하다 = 168
자식 잃은 사람을 위로하다 = 169
일재의 운에 화답하다 = 170
서재의 여러 상사들 운에 답하다 = 171
차운하여 오군에게 주다 = 172
경임 사수와 더불어 이야기하다 = 174
무료하여 읊조리다 = 175
인중에게 화답하다 = 176
인중이 시로써 나를 불러 화답하게 하다 = 177
우연히 읊다 = 178
김수재 희숙에게 주다 = 179
촌경 = 180
오군에게 주다 = 181
손님이 오다 = 183
중이 막걸리를 주므로 = 184
병학 = 185
강호계회도 = 186
정중 중선 대수의 운에 화작하다 = 187
농가를 슬퍼하다
보리 베는 것을 보고서 = 188
콩 심는 것을 보고서 = 189
김 매는 것을 보고서 = 190
문암의 운에 차하다 = 191
월출산을 보면서 = 192
면앙정 운 = 193
5부 혼돈주가
고검가 = 197
천마가 = 201
혼돈주가 = 208
아들을 훈계하다 = 211
문인에게 보이다 = 212
권학 = 213
또 앞장의 뜻을 넓히다 = 214
문인에게 보이다 = 215
양군에게 주다 = 216
윤탄지의 해정에 기제하다 = 217
서가구가 보운하기를 요구하기에 = 218
용인관 판상의 운으로 경원을 전별하다 = 220
석천의 운에 차하다 = 221
소쇄원 주인의 만사 = 222
강정에 모여 술을 마시다 = 223
부질 없이 쓰다 = 224
운대사를 작별하고 그 운에 화답하다 = 225
소쇄정 운 = 226
묵죽 = 227
김박사 태용을 전송하면서 = 228
등곡상인에게 주다 = 229
연대암에서 덕무에게 주다 = 230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반죽헌에게 주다 = 231
차운하여 소재에게 부치다 = 232
백수의 집에서 짓다 = 234
소회가 있어 읊어 공간에게 보이다 =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