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572606 | |
005 | 20211122100740 | |
007 | ta | |
008 | 971107s1997 ulk 000c kor | |
020 | ▼a 8975481638 ▼g 0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097492 ▼l 111097493 ▼l 111097494 |
082 | 0 4 | ▼a 378.001 ▼2 21 |
085 | ▼a 378.001 ▼2 DDCK | |
090 | ▼a 378.001 ▼b 1997 | |
100 | 1 | ▼a Jaspers, Karl, ▼d 1883-1969 ▼0 AUTH(211009)22286 |
245 | 2 0 | ▼a (칼 야스퍼스의) 대학의 이념 / ▼d 칼 야스퍼스 저 ; ▼e 이수동 역 |
246 | 1 9 | ▼a Die Idee der Universitat |
246 | 3 9 | ▼a Idee der Universitat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1997 ▼g (2002) | |
300 | ▼a 193 p. ; ▼c 23 cm | |
700 | 1 | ▼a 이수동, ▼e 역 ▼0 AUTH(211009)104228 |
900 | 1 0 | ▼a 야스퍼스, 칼,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110974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113829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110974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110974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511255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110974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113829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110974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110974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8.001 1997 | Accession No. 1511255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학문이란 무엇이며, 우리의 삶에 학문이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 학문을 통해서 우리는 무엇을 인식하게 되는가를 밝힌 야스퍼스의 저서. 그는 이 책에서 대학과 학문의 역사적 발전과정 뿐 아니라 대학에서 교양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등을 설명하고 있다.
책은 전체 3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1부에서는 학문의 본질, 정신·실존· 이성, 교양을, 2부에서는 연구·교육·교수, 학문의 교류, 대학제도, 학문의 체계에 대해 논한다. 마지막 3부에서는 대학의 존립 필요조건인 인적요소, 국가와 사회, 재정적 기반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칼 야스퍼스(지은이)
야스퍼스는 ‘실존철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고 ‘실존철학’을 제목으로 하는 책을 최초로 쓴 독일의 철학자이다. 실존철학은 물론 심리학, 정신의학, 정치철학, 세계철학사 등에 대한 열정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여러 저작을 남겼다. 그가 28세에 쓴 『정신병리학총론』은 아직까지도 정신병리학의 교과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의학을 먼저 전공하고 심리학, 철학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해온 독특한 이력은 그가 철학을 하기 위해 일부러 선택한 과정이었다. 야스퍼스 스스로 의학과 자연과학을 섭렵한 자신에게서는 철학이 살아 숨 쉴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러한 이력 덕분에 야스퍼스는 과학자들에게는 철학자로 여겨지고 철학자들에게는 과학자로 여겨지는 곤란함을 겪었다. 야스퍼스가 보기에 철학자들은 실재를 너무 도외시했고 과학 자들은 사유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 야스퍼스의 평생의 화두는 독단에 빠지지 않는 참다운 철학이었다. 야스퍼스는 나치 시절에 부인 거트루드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강제로 휴직을 해야 했을 때 한 마지막 강의에서 “우리의 강의는 중단되지만 철학함의 자세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라고 말해 그치지 않는 박수를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야스퍼스의 태도는 나치 통치가 종식된 후 독일에서 대중적 인기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바젤로 이주하게 된 이유에서도 엿볼 수 있다. 대중들이 자신을 좋아하면서도 자신의 사상에 동참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실망한 야스퍼스에게 대중의 인기는 “우정 어린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해도 참답지 못한 것이어서 유해한” 것이었다. 야스퍼스는 나치 시절을 지나 살아남았다는 것 자체가 죄책이며 인간은 누구나 어떻게 통치되는지에 대해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바젤에서 야스퍼스는 헛된 명성에서 벗어나 인기와는 무관한 자기 자신의 고유한 삶을 살았다. 태어날 때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고 평생토록 죽음의 문턱을 넘나들며 살았던 야스퍼스는 그 덕분에 오히려 삶이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알았다고 한다. 야스퍼스는 어디에서나 소박함을 유지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유언장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러고는 생전에 매입해 두었던 조국 독일을 바라볼 수 있는 묘역에 묻혔다. 야스퍼스는 평생 스스로 ‘다르게는 될 수 없는 자기 자신의 존재’라 묘사했던 그 자기 자신으로 살았다. 주요 저서로 『정신병리학총론』(1913), 『세계관의 심리학』(1919), 『현대의 정신적 상황』(1931), 『철학 I, II, III』(1932), 『이성과 실존』(1935), 『실존철학』(1938), 『죄책론』(1946), 『진리에 관하여』(1947), 『철학적 신앙』(1948), 『역사의 기원과 목표』(1949), 『원자탄과 인류의 미래』(1958), 『계시에 직면한 철학적 신앙』(1962)이 있다.
이수동(옮긴이)
저자는 1954년생으로 한국에서는 정치학을 전공하였고, 1980년부터 1986년 까지 독일 레겐스부르그 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석사학위(부전공: 정치학)를 취득하였으며, 1991년 독일 뷔르쯔부르그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부전공: 정치학)를 취득하고 1991년 귀국하였다. 박사학위논문은 ‘한국산업사회의 성취윤리’(Das Leistungsethos der industriellen Gesellschaft in Korea). 울산대학교 외 많은 대학에 출강하였으며, 현재는 울산폴리텍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울산광역매일 신문사 주필과 사단법인 미래창업경영연구원 연구기획실장을 맡고 있다. 또한 국가보훈처 소속 ‘나라사랑교육’ 통일안보교육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칼 야스퍼스(Karl Jaspers)의 ‘대학의 이념’(Die Idee der Universit?t)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지적 삶 1. 학문의 본질 = 23 학문의 기본 특성 = 23 협의의 학문과 광의의 학문 = 25 과학의 한계 = 30 과학의 효용과 목적 = 31 학문의 전제조건 = 35 학문의 방향 설정 = 40 학문 : 진실성의 조건 = 43 과학과 철학 = 45 2. 정신, 실존, 이성 = 49 3. 교양 = 53 제2부 대학의 과제 4. 연구, 교육, 교수 = 63 연구 = 66 교육 = 74 교수 = 83 5. 학문의 교류 = 91 논쟁과 토론 = 94 학문의 연계성과 학파의 형성 = 95 학문과 세계관 = 97 6. 대학제도 = 101 조직이념의 약화 = 101 제도의 불가피성 = 107 대학의 구성원과 제도 = 109 7. 학문의 체계 = 113 학문의 분류 = 114 학부 = 118 대학의 확장 = 123 제3부 대학존립의 필요조건 8. 인적 요소 = 137 적성 = 139 적성의 분포와 대중의 특성 = 145 선발과정 = 151 9. 국가와 사회 = 163 자유로운 대학의 지위 = 163 대학의 변화 = 164 국가의 역할 = 168 지적 귀족사회의 원리 = 174 진리탐구와 정치 = 176 대학과 국가 = 181 대학의 사회적 기여조건 = 183 10. 재정적 기반 = 185 지금까지의 상황 = 185 학생 = 186 대학 교수 = 187 연구소의 재정 = 189 재단 = 191 결론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