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9c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0572587 | |
005 | 20100805053718 | |
007 | ta | |
008 | 971107s1997 ulkj 000a kor | |
020 | ▼a 8981332266 ▼g 04810 : ▼c \6000 | |
020 | 1 | ▼a 8981331243(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097432 ▼l 111097433 ▼l 111097434 |
082 | 0 4 | ▼a 089.97 ▼2 21 |
090 | ▼a 089.97 ▼b 1997 ▼c 301 | |
100 | 1 | ▼a 김정희 ▼0 AUTH(211009)19062 |
245 | 1 0 | ▼a 완당 시선 / ▼d 김정희 지음 ; ▼e 신호열 역주. |
260 | ▼a 서울 : ▼b 솔 , ▼c 1997. | |
300 | ▼a 218 p. : ▼b 연보 ; ▼c 20 cm. | |
490 | 0 0 | ▼a 나랏말씀 ; ▼v 301 |
700 | 1 | ▼a 신호열 ▼0 AUTH(211009)67579 |
740 | ▼a 나랏말쌈, 301 | |
950 | 0 | ▼b \6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110974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110974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110974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510569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510569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110974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110974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110974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510569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089.97 1997 301 | 등록번호 1510569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김정희(지은이)
조선후기 조선 금석학파를 성립하고, 추사체를 완성한 문신. 실학자·서화가. 예산 출신. 본관은 경주. 자는 원춘(元春), 호는 추사(秋史)·완당(阮堂)·예당(禮堂)·시암(詩庵)·과노(果老)·농장인(農丈人)·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등이다. 조선조의 훈척 가문(勳戚家門)의 하나인 경주 김문(慶州金門)에서 병조판서 김노경(金魯敬)과 기계 유씨(杞溪兪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나 큰아버지 김노영(金魯永) 앞으로 출계(出系: 양자로 들어가서 그 집의 대를 이음)하였다. 그의 가문은 안팎이 종척(宗戚: 왕의 종친과 외척을 아울러 이르던 말)으로 그가 문과에 급제하자 조정에서 축하를 할 정도로 권세가 있었다. 1819년(순조 19년) 문과에 급제하여 암행어사·예조 참의·설서·검교·대교·시강원 보덕을 지냈다. 1830년 생부 김노경이 윤상도(尹商度)의 옥사에 배후 조종 혐의로 고금도(古今島)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순조의 특별 배려로 귀양에서 풀려나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로 복직되고, 그도 1836년에 병조참판·성균관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1834년 순조의 뒤를 이어 헌종이 즉위하고, 순원왕후 김씨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이때 그는 다시 10년 전 윤상도의 옥사에 연루되어 1840년부터 1848년까지 9년간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헌종 말년에 귀양이 풀려 돌아왔다. 그러나 1851년 친구인 영의정 권돈인(權敦仁)의 일에 연루되어 또다시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되었다가 2년 만에 풀려 돌아왔다. 이 시기는 안동 김씨가 득세하던 때라서 정계에는 복귀하지 못하였다. 그는 아버지의 묘소가 있는 과천에 은거하면서 학예(學藝)와 선리(禪理)에 몰두하다가 생을 마쳤다.

목차
목차 일러두기 = 4 해설 = 195 추사연보 = 213 1부 나날의 삶 은어를 쥐에게 도둑맞고서 초의艸衣에게 보이다 = 13 청어 = 15 난반爛飯 = 16 낮잠 = 17 국화를 밀다 = 20 단오 = 22 칠석 = 23 해상의 중구일에 = 24 뜰풀 = 25 민요를 흉내내어 = 26 소나기 = 27 초량初凉 = 28 가을 생각 = 29 초가을 = 31 가을을 보내며 = 32 눈 내리는 밤에 = 36 2부 함께 가는 길 자하紫霞의 돌에 = 39 이재彛齋의 귀양길에 = 44 조수삼趙秀三의 연경 길에 = 45 자기慈기의 부채에 = 46 두강斗江에서 = 47 두보 시의 운을 빌어 = 49 이진수李璡秀를 보내며 = 50 우사연등芋社燃燈 = 55 야운거사野雲居士에게 부치다 = 56 나양봉羅兩峯의 매화 족자에 = 57 소치小癡의 지화指畵에 = 58 황산黃山의 돌 그림에 = 59 난초 그림에 = 62 청계靑溪의 복거卜居에 = 63 시 모임을 가지다 = 68 이군의 시를 기리며 = 69 금헌今軒과 시를 짓다 = 71 그대가 내가 되면 = 87 3부 옛사람‥‥그리고 길에서 연무당 = 91 이요루 = 92 만세교 도중 = 93 안시성 = 94 성동 피서 = 95 옛 돈을 만지며 = 96 송경 도중 = 97 이천 도중 = 98 요동벌 = 100 화엄사에서 돌아오는 길에 = 103 도중 = 104 4부 자연과 더불어 선유동 = 107 상선암 = 108 환풍정 = 109 북벽 = 110 사인암 = 111 운기동 = 112 가을날 과지초당瓜地草堂에 거듭 오다 = 114 부왕사 = 115 산영루 = 116 산사 = 117 수락산사 = 118 실제 = 120 우점 = 121 실제 = 123 북둔北屯에서 도화를 구경하다 = 127 계관화 = 128 추모란 = 130 마니산 절정에 오르다 = 131 석경루에서 자다 = 136 삼도三島의 놀이를 떠나면서 = 137 5부 진실을 위하여 봄갈이를 보고 = 141 섬 아이에게 = 142 만세루 = 144 보담재寶覃齋 = 147 중추의 밤에 = 151 작불신作佛辰에 답하다 = 154 초의艸衣에게 주다 = 158 풍선豊禪에게 주다 = 159 소유선사小遊仙詞 = 160 6부 이런저런 것들 우연히 짓다 = 175 연자방아 = 177 태제台濟에게 화답하다 = 179 시골집 = 180 대정촌사 = 181 동청잎 = 182 우물물을 긷다 = 183 산 그리는 것을 위하여 짓다 = 184 보리타작 = 185 서오자의 운을 빌다 = 187 여름날 손이 오다 =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