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19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00572564 | |
005 | 20110228164638 | |
007 | ta | |
008 | 971107s1997 ulkaj 001c kor | |
020 | ▼a 8935601950 ▼g 94340 | |
020 | 1 | ▼a 8935601977(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 |
041 | 1 | ▼a kor ▼h fre |
049 | 1 | ▼l 111097360 ▼l 111097361 ▼l 111097362 |
082 | 0 4 | ▼a 320.973 ▼2 22 |
085 | ▼a 320.973 ▼2 DDCK | |
090 | ▼a 320.973 ▼b 1997 ▼c 1 | |
100 | 1 | ▼a Tocqueville, Alexis de, ▼d 1805-1859 ▼0 AUTH(211009)41511 |
245 | 1 0 | ▼a 미국의 민주주의. ▼n 1 / ▼d 알렉시스 드 토크빌 지음 ; ▼e 임효선, ▼e 박지동 [공역] |
246 | 1 9 | ▼a De la democratie en Amerique |
260 | ▼a 서울 : ▼b 한길사, ▼c 1997 | |
300 | ▼a 2책(p. 1-531) : ▼b 삽화, 연표 ; ▼c 23 cm | |
440 | 0 0 | ▼a 한길그레이트북스 ; ▼v 24ㆍ25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지동, ▼d 1939-, ▼e 역 |
700 | 1 | ▼a 임효선, ▼d 1943-,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0.973 1997 1 | 등록번호 11109736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973 1997 1 | 등록번호 111097361 | 도서상태 간편대출신청중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973 1997 1 | 등록번호 1110973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알렉시 드 토크빌(지은이)
‘혁명 시대 민주주의의 예언자’ 토크빌은 프랑스혁명 이후 변혁과 반동의 물결이 교차되는 격동의 세월 속에서 정치현실과 사회갈등을 두루 경험하고 많은 저술을 남겼다. 1831년 미지의 신세계 아메리카를 탐방한 후 토크빌은 『아메리카의 민주주의』(1835, 1840)를 써서 일약 신예 사상가로 명성을 떨쳤다. 1839년 향리에서 하원 의원으로 선출된 이후 오랜 의정활동을 통해 토크빌은 노예제폐지와 자유무역을 위한 법안을 발의했으며, 산업사회의 계층갈등, 공교육과 종교문화의 충돌, 알제리 식민문제와 인종 갈등 등 당대의 정치사회적 현안을 해결하려 애썼다. 1848년 2월혁명 이후 성립한 제2공화국에서 토크빌은 제헌의원을 거쳐 국민의회 의원과 외무장관을 역임했으나, 1851년 루이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공화국이 몰락하자 정계를 은퇴했다. 현실정치에 실망한 토크빌은 역사로 눈을 돌려 프랑스혁명을 연구했으며 마침내 『앙시앵 레짐과 프랑스혁명』(1856)을 내놓았다. 만년의 힘든 연구생활로 병약해진 토크빌은 1859년 요양 중에 숨을 거두었다. 『아메리카의 민주주의』가 토크빌에게 사상가로서의 명성과 정치인으로서의 입지를 마련해준 젊은 시절의 야심작이라면, 『앙시앵 레짐과 프랑스혁명』은 그가 모험과 회한으로 가득 찬 정치역정을 뒤로하고 사색과 관조의 시기에 접어들어 저술한 만년의 노작이다. 하지만 20여 년의 세월을 사이에 두고 있는 양대 저작에는 그가 일생을 두고 추구해온 궁극적인 문제의식이 면면히 흐르고 있다. 요컨대 논지는 민주주의이고, 분석 대상은 평등이며 주제는 자유이다. 그리고 『빈곤에 대한 성찰』(1835)에서 『알제리 논고』(1841, 1962 출판)를 거쳐 『회상록』(1851, 1893 출판)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19세기를 증언하는 토크빌의 저술들은 오늘날 새로운 조명을 받고 있다. 그가 남긴 서한문, 여행기, 소책자, 회고록, 정책자료집 따위에서도 현대 민주주의 사회의 추세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읽을 수 있다. 갈리마르 출판사가 내놓은 『토크빌 전집(Oeuvres completes d’Alexis de Tocqueville)』(1951-2002)은 모두 29권에 달한다.
임효선(옮긴이)
<미국의 민주주의 2>
박지동(옮긴이)
서울대 문리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사 기자로 1967년부터 1975년까지 활동하였다. 유신독재시기, 언론폭압에 맞서 공정보도에 의한 언론민주화 운동을 하던 기자·PD·아나운서 등 134명을 정권과 신문사가 합작하여 퇴출시킬 때 밀려났다. 고려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광주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광주대 언론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저서] 『새로쓰는 한국언론사』(공저) 『현대고급영문해석연구』(1~5권) 『소냐』(톨스토이 부인전기)(역) 『언론사회연구방법』 『新聞學硏究』 『바로보는 한국언론 100년』(공저) 『진실된 인식 공정한 논술』 『언론사상사』(1~2권) 『논술의 방법』(1~2권) 『한국언론실증사』(1~2권) 『일본의 조선 침략사』(1~5권)

목차
목차 한 자유주의 사상가의 정치사회학 / 임효선 = 27 제12판 저자 서문 = 55 서론 = 59 제1장 북아메리카의 외형 = 77 제2장 영국계 아메리카인들의 기원과, 그들의 미래와 관련한 그 기원의 중요성 = 87 영국계 아메리카인들의 법률과 관습이 드러내고 있는 몇 가지 변칙에 대한 이유 = 103 제3장 영국계 아메리카인들의 사회상태 = 105 영국계 아메리카인들의 사회상태의 현저한 특징은 그 기본적 민주주의이다 = 105 영국계 아메리카인들의 사회상태의 정치적 귀결 = 113 제4장 아메리카의 주권재민 원칙 = 115 제5장 타운제도와 자치기구 = 119 아메리카의 타운제도 = 120 타운의 범위 = 122 뉴잉글랜드에 있어서 타운의 권력 = 122 타운에서의 생활 = 124 뉴잉글랜드의 타운정신 = 127 뉴잉글랜드의 카운티 = 129 뉴잉글랜드의 행정 = 131 합중국 행정에 관한 전반적인 평가 = 140 주의 입법권 = 144 주의 행정권 = 145 합중국에 있어서의 지방분권 행정의 정치적 결과 = 146 제6장 합중국의 사법권과 정치사회 = 161 아메리카의 판사들에게 부여된 독특한 권력 = 167 제7장 합중국의 정치적 재판관할권 = 169 제8장 연방헌법 = 177 연방헌법의 개요 = 179 연방정부의 권력 = 181 연방정부의 입법권 = 182 상원과 하원의 차이점 = 185 행정권 = 185 합중국 대통령과 프랑스 입헌군주의 차이점 = 187 행정부의 권력을 증대시키는 몇 가지 우연한 원인 = 190 대통령의 업무수행과 상·하원 = 191 대통령 선거 = 192 선거양식 = 197 선거의 위기 = 200 대통령의 재선 = 202 연방법원 = 204 연방법원의 재판관할권을 결정하는 방법 = 207 재판관할권의 여러 경우 = 208 연방법원의 소송절차 = 213 국가권력에 있어서의 대법원의 높은 서열 = 215 주헌법에 대한 연방헌법의 우월성 = 217 합중국 헌법과 다른 모든 연방헌법들과의 비교 = 221 연방제도의 일반적 장점과 아메리카에서의 특수한 유용성 = 224 영국계 아메리카인들의 연방제도 채택 이유 = 230 제9장 합중국의 민권지배의 원리 = 239 제10장 합중국의 정당 = 241 합중국에 있어서 귀족정당의 잔해 = 247 제11장 합중국의 언론자유 = 249 언론자유 속의 여론과, 검열 속의 여론 = 257 제12장 합중국에 있어서의 정치결사 = 261 유럽과 합중국에 있어서의 결사권의 차이 = 266 제13장 합중국의 민주정치 = 271 보통선거 = 271 국민의 선택과 아메리카 민주주의의 본질적 장점 = 272 단점의 보완 = 274 선거관계법에 대한 민주주의의 영향 = 277 민주주의에서의 관리들 = 278 민주주의에 있어서 관료들의 자의적 권력 = 280 합중국 행정의 불안정성 = 283 민주주의에서의 세금 = 284 민주주의에서의 관리들의 봉급 = 289 합중국 정부를 절제하게 하는 또 다른 이유 = 291 합중국과 프랑스의 세출을 비교할 수 있는가 = 292 민주정치에 있어서 지도자들의 부패와 부정 = 298 민주정치가 발휘할 수 있는 노력 = 299 아메리카 민주주의의 자제 = 302 아메리카 민주주의의 외교 = 305 제14장 아메리카 민주주의의 장점 = 311 아메리카 민주주의에서의 법률의 일반적 경향 = 311 합중국에 있어서의 공공정신 = 316 권리의 개념 = 319 준법정신 = 322 정치기구 전반에서의 활동 및 사회에 대한 그 영향 = 324 제15장 합중국에 있어서 다수의 무제한한 권력과 그 결과 = 331 다수의 만능과 입법 및 행정의 불안정 = 334 다수의 횡포 = 335 다수의 만능이 관리들의 임의적 권한에 미치는 영향 = 340 다수가 사상에 미치는 힘 = 340 다수의 폭정이 국민성에 미치는 영향 = 344 다수의 절대권력이 최대의 위험 = 347 제16장 다수의 폭정을 완화하는 요인 = 351 중앙집권화된 행정의 결여 = 351 민주주의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사법관 = 352 배심원제도 = 360 제17장 합중국에 민주공화정을 유지시켜주는 주요 원인 = 369 민주정치 유지에 기여하는 우연한 또는 섭리적인 원인 = 370 민주공화국의 유지에 미치는 법률의 영향 = 380 관습의 영향 = 381 정치제도로서의 종교 = 381 정치에 미치는 종교적 견해의 간접적 영향 = 383 종교를 강력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 = 388 교육, 습관 및 실제적 경험의 기여 = 396 자연환경보다는 법률, 법률보다는 관습이 큰 기여를 했다 = 401 다른 나라들에서도 법률과 관습만으로 족한가 = 405 유럽국가에 관한 선례의 중요성 = 408 제18장 합중국에 거주하는 세 종족의 현황과 전망 = 415 합중국 영토 안에 거주하는 인디언 부족들의 현황과 전망 = 421 합중국 흑인의 상황 및 백인들을 위협하는 위험 = 443 아메리카합중국의 지속가능성과 그것을 위협하는 위험 = 472 합중국의 공화제도와 그 존속가능성 = 509 아메리카가 상업적 번영을 누리는 원인들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516 결론 = 525